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들의 치매노인 돌봄 경험

        이봉숙(Yih, Bong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치매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및 이의 돌봄 주체인 요양보호사 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의 치매노인 돌봄경험을 통해 돌봄행위 내면에 배어 있는 돌봄의 의미를 알아보고 행위수행의 촉진 및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질적인 돌봄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서술묘사적 방법을 적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치매교육과정을 이수한 10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자료는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 여 직업선택의 기준, 역할수행위기, 그리고 역할 수행 전략 등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넓은문’, ‘돌봄의 상품화’ 등이 직업 선택기준으로 도출되었으며, 역할수행적 측면에서는 역할위기로 ‘내마음의 벽’, ‘질병의 벽’, ‘사회적 벽’이 주제로 도출되었 다. 마지막, 수행전략으로 ‘나는 촛불이다’, ‘자율성과 지속성’, 그리고 ‘사회적 효의 실천자’ 등이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 는 돌봄이 가정에서 무보수 성차적 역할로 가치폄하 되던 사회적 고정관념으로부터 사회적 효의 실천이라는 새로운 상품브 랜드로 재탄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long-term care workers who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at home. A descriptive exploratory methodology was applied within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long-term care workers who had at least 3 years working experience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data were analyzed withi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Job selection, struggling and strategies for the role accomplishment were found to be the main categor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role of caring as social filial piety from the concept of nonpayment of work in the family.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여성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다문화 환자 돌봄 경험

        이봉숙(Yih, Bong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결혼이주를 통한 외국여성의 국내이주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질병 및 출산으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관광 등 외국인 환자의 국내 의료기관 이용이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에 발맞추 어 여성전문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국인 환자에 대한 인식과 돌봄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임상현장 에서 외국인 산모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임상간호사의 경험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서사연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다문화 환자 및 자녀를 돌본 경력이 5년 이상인 임상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외국인 환자를 돌본 임상간호사의 경험은 돌봄제공자의 시각에 따라 자민족중심 시각, 수용적 시각, 그리고 문 화중심시각으로 나누어 각 시각에 따라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파악해내었다. 특히 타문화에 대한 존중 및 환자 맞춤형 돌봄 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돌봄제공자는 스스로를 치료적 돌봄제공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현장에서 는 타문화에 대한 민감성과 문화중심 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과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foreign wives in Korea. A narrative study approach within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was appli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clinical nurses who had at least 5 years working experiences caring for foreign wives and their children in the Women and Children's clinical setting. The narrative stories of the clinical nurses were analyzed in the frame of culture-bounded nursing care. In the culture-bounded nursing care, ethnocentric viewpoints, acceptable viewpoints, and culture-based viewpoints were identified within the time frame. Significantly, the narrator identified herself as a therapeutic caregiver in the culture-based viewpoints providing tailored caregiving for foreign wives. This study requires cultural sensitivity of nurses who care for the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elf-awarenes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reach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care.

      • KCI등재

        대학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유형 분석 연구: 내러티브 분석 중심

        이봉숙(BongsooK Yi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지도교수를 중심으로 한 학생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생간 상호작용의 작동원리를 파악하고 유형화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내러티브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경험 속에 나타나고 있는 구조적 패턴과 기전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학과소속 지도교수로부터 년 2회 총 6회 이상 학생상담을 경험한 4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인터뷰와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자료는 Burke(1945)가 내러티브 분석에서 사용한 행위주체, 행위동기, 행위결과를 중심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최종 도출된 상호작용 유형은 주도적 상호작용, 피상적 상호작용, 보은적 상호작용이다. 주도적 상호작용 유형은 학생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지향적인 자아성자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유형이다. 반면 피상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교수와의 교류를 통해 자아성장의 경험이 강하게 피력되지 않고 있는 특성이 있으며, 마지막 보은적 상호작용 유형은 정서지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자아성장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세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통해 교수자와 학생 모두 서로 발전시킬 수 있는 모델이 무엇이며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지도교수 중심 학생 상담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and dimension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FSI). A narrative methodology was applied within the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Data was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involving 10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more than 6 times over the prior 6 semester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ctors" perspectives, the motivation of actions, and actions toward goal achievement. Three major type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s emerged from our analysis. First, the initiative interaction type reflects 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within FSI and is goal achievement-oriented. Second, the stereotyped interaction was characterized as a unified reaction to the FSI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development. Lastly, the reciprocal interaction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narrators who had potential and flexibility for self-development in the circumstances involving support from profes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aculty-student interaction does not represent the best way to support students for their successful school lives. Faculty needs professionality and sensitivity for student teaching, and students must exhibit curiosity and activeness in developing their knowledge. Positive outcomes from the FSI will be expected in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COVID-19로 수업전환(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이봉숙(Bongsook Yi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해 시행된 4차례의 수업전환이 학습자의 학업성취과정에 미친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서사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전환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업성취경험을 수업전환 시작 시점부터 순차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4차례의 수업 전환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6명의 포커스그룹 면담과 4명의 심층 면담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수업전환 시점별 학업성취경험을 시간 순으로 분석하였으며, 순업전환에 따른 연구참여자들의 학업성취 경험은 인식, 갈등, 수용, 정립의 과정을 거치며 주어진 현실에 적응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전환에 따른 학습자의 학업성취 과정을 제시해 주고 있으므로 교수자는 수업전환에 따른 교수법 연구에 있어서 교수자와 학생이 서로 소통하는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 학습자의 학업적응 양상을 고려한 수업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placed under the converted process of face-to-face learning mode to online learning modes. A narrative study was approached in a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of six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of four students from Jun to December 2020.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ere analyzed within the learning modes. Four steps of learning strategies of students emerged from the analysis: recognition, conflicts, adaptation, and reconcilement. Each learning mode featured common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degree of familiarity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potential guidelines for effective instruction of teaching staff who confront different teaching modes by deeply understanding students and promot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ing staff.

      • 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유병률

        김정순,이수일,정영인,황인경,이봉숙,김민정,초의수,전진호,정인숙,Kim, Jung-Soon,Lee, Su-Ill,Chung, Young-In,Hwang, In-Kyung,Yih, Bong-Sook,Kim, Min-Jeong,Cho, Eu-Soo,Chun, Jin-Ho,Jeong, Ihn-Sook 대한예방의학회 2003 예방의학회지 Vol.36 No.1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ople, aged 65 or above,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 Total of 1,101 old people, aged 65 or above, living in Busan as of December 31, 2001 were selected using stratified three-stage cluster sampling. Cognitive impairment was determined from the MMSE-K score, and dementia confirmed from five psychometric measures and the Barthel index. The crude prevalence, sex-age adjusted for the Korean population, were obtained. Results : With the cut-off point for cognitive impairment was set at 24 points, or below, on the MMSE-K scale, the crud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29.3% (15.7% for men and 37.5% for women), and the sex-age adjusted prevalence was 30.5% (17.5% for men and 37.0% for women). When the cut-off point for cognitive impairment was set at 20 points, or below, on the MMSE-K scale, the crud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s were 10.0% (4.1% for men and 13.5% for women), and 10.6% (4.7% for men and 13.1% for women), respectively. The crude dementia, and the sex-age adjusted rates were 7.4% (2.4% for men and 10.5% for women), and 8.0% (2.7% for men and 10.0% for women),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this study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reported by oth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ur results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ime and space, diagnostic tools, response rates, and distribution of male and female subject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