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 환자의 관절경적 봉합술

        이봉근,조남수,박근호,문성철,이용걸,Lee, Bong-Gun,Cho, Nam-Su,Park, Keun-Ho,Moon, Seong-Cheol,Rhee, Yong-Girl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3

        목적: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에 시행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받은 1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시 평균 연령은 46.9세(19~64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8.3개월(12~36개월)이었다. 12례 모두 depth가 6 mm 이상의 파열인 grade 3에 해당되었다. 3예는 완전 파열로 전환하여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9예는 남아있는 건을 보존한 상태에서 경 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운동시 평균 VAS 점수는 수술 전 6.2점에서 최종 추시시 2.0점으로 감소하였고(p<0.001), 평균 전방 거상 범위는 수술 전 163.3도에서 최종 추시시 169.8도로 향상되었다(p=0.038). UCLA 점수는 수술 전 18.4점에서 최종 추시시 30.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 우수 2예, 양호 8예, 보통 2예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61.8점에서 최종 추시시 76.8점으로 향상되었다. 수술 후 최소 6개월 이후 총 5예에서 자기공명영상 추시 검사가 시행되었고 모두 완전 치유된 회전근 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은 1년이상의 추시에서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남아있는 건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 경 건 봉합술이, 남아있는 건이 불량할 경우 완전 파열을 만들어서 봉합하는 술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for partial articular surface tendon avulsion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symptomatic, partial articular surface tendon avulsion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between Mar. 2006 and Sep. 200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3 months(12~36 months), and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46.9-year-old(19~64 years). Three cases had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after conversion to full-thickness tear and nine cases had transtendon repair with preserving bursal side cuff. Results: The mean VAS during motion was 6.2 before treatment and 2.0 at final follow-up (p<0.001). The passive forward flexion improved from $163.3^{\circ}$ preoperatively to $169.8^{\circ}$ postoperatively (p=0.038). The mean UCLA score improved from 18.4 preoperatively to 30.1 with 2 excellent, 8 good and 2 fair results at final follow-up. The mean KSS improved from 61.8 preoperatively to 76.8 at final follow-up. By examining the postoperative MR images of 5 patients, complete healing was observed in all of them. Conclusio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may be an effective procedure for partial articular surface tendon avulsion in pain relief and improvement of the range of motion. If the remaining bursal side cuff fibers are intact, transtendon repair procedure with preserving the intact bursal layer of the tendon can be considered. If the remaining bursal side cuff fibers are friable or little, completion from partial-thickness to full-thickness tears with subsequent cuff repair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수상 레저, 플라이 피쉬 중 발생한 상완골 간부 골절 -4예 보고-

        이봉근 ( Bong Gun Lee ),박기철 ( Ki Chul Park ),최연호 ( Youn Ho Choi ),정우성 ( Woo Sung Jung ),황규태 ( Kyu Tae Hwa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A fracture of the humeral shaft can occur by direct or indirect injury. Most occur as a result of direct injury mechanisms such as falls from a height, direct blows, and traffic accidents. Recently, the population enjoying watersports for leisure is increasing and ``flyfish riding``, in which passengers ride an inflatable raft drawn by a motorboat, may cause humeral shaft fracture as twisting and axial compression forces occur on the humeral shaft while boarding. Accordingly, the incidence of humeral shaft fracture is expected to increase as more people are expected to enjoy leisure sport activities such as ``flyfish riding``. We report 4 cases of humeral fracture that occurred during this activity in the year 2011.

      • KCI등재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개방적 수술 술기

        이봉근(Bong-Gun Lee),이용걸(Yong-Girl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2 No.2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와 및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은 재탈구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의미있는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불안정성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개방적 술식을 고찰하고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대해 연구하고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시술되고 있는 개방적 술식들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결과: 전방 관절낭 관절와 순을 복원한 후 재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에 방사선학적으로 골결손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관절와 결손을 복원하기 위해 오구돌기 이전술(Bristow 술식 또는 Latarjet 술식)이나 자가 장골 이식을 사용할 수 있고, 상완골 두의 후상방골 결손(Hill-Sachs병변)에 대해서는 회전 절골술이나 동종골 이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골 결손에 대한 인공 관절 치환술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제한적이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개방적 술식을 통해 골 결손을 복원해야 재탈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관절경술을 통한 골 병변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도 장기간의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An osseous defect in the glenoid and humeral head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pen surgical techniques and introduce our experiences with anterior instability with a significant osseous defe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articles that have focused on and/or mentioned the affect of osseous defects o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e open surgical techniques and its related pearls are summarized in this review. Results: Accurate evaluation fo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sseous defect is critical for preventing recurrence after restoration of the anterior capsulolabral structure. The glenoid bone restoration techniques include the coracoids transfer (the Bristow procedure and the Latarjet procedure) and a structural iliac bone graft. Rotational humeral osteotomy and an osteoarticular allograft could be used for repairing a significant posterosuperior humeral defect (Hill-Sachs lesion). Shoulder arthroplasty may be tried for treating a humeral bone defect, but more study on this is needed. Conclusion: Open surgical restoration decreases the risk of recurrence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hat is combined with a significant osseous defect. Arthroscopic surgery currently has limitations for treating an osseous defect, but it will become useful in proportion to the development of arthroscopic instruments and techniques in the future.

      • KCI등재

        외회전력이 소실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단일 절개법을 이용한 역형 견관절 치환술과 건 이전술

        이봉근(Bong Gun Lee),오정한(Jeong Han Oh),최연호(Youn Ho Choi),이용걸(Yong Girl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3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적절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되며 최근 역형 견관절 치환술이 그 하나의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원근까지 파열되어 능동적 거상 및 외회전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역형 견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경우 능동적 외회전은 향상이 되지 않아 수술 이후에도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남게 된다. 이런 경우 역형 견관절 치환술과 광배근 및 대원근 이전술을 동시에 시행하면 능동적 거상과 외회전력을 복원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런 술식으로 관절운동 범위 및 기능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s, operative treatment is considered if there is no improvement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is an option among several treatments. However, in cases of massive rotator cuff tears that extend to the teres minor with combined loss of active elevation and external rotation,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alone might not restore the active external rotation. As a consequence, patients continue to feel inconvenienced in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with latissimus dorsi and teres major transfer, can restore functional range of motion in forward fl exion and in external rotation. Herein, we report a case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고령의 환자에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및 관절병증을 위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

        이봉근(Bong Gun Lee),조남수(Nam Su Cho),최일헌(Il Hoen Choi),이용걸(Yong Girl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목적: 고령의 환자에서 견관절 관절병증이 동반된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로 역형 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후 단기 추시를 통하여 역형 치환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9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과 관절병증으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1년이상 추시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9.3(58-80)세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7.9(12-32)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회전 중심의 내측 전위, 상완골의 하방 전위, 관절와의 하방 경사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통증 주관적 시각 척도, 관절 운동 범위, 근력, Constant 점수, UCLA 점수 및 Korean 견관절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동통은 수술 전 7.2±3.6에서 수술 후 1.6±1.0으로 호전되었으며, 전방 거상은 51.5°±28.4°에서 131.5°±20.7°로 증가하였으나 내회전은 평균 제 2요추에서 제 5요추로 감소하였다(p<0.001, 0.011).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23.9±5.1점에서 수술 후 62.2±9.1점으로 증가하였으며, UCLA score는 7.6±2.4점에서 26.3점±3.6점으로, Korean 견관절 점수는 27.0±7.5점에서 수술 후 69.2±10.4점으로 증가하였다(p<0.001). 방사선학적으로 술 후 상완골 두 회전 중심은 평균 내측으로 20.6±4.3 ㎜, 하방으로 22.8±5.56 ㎜가 전위되었고, 관절와의 하방 경사는 평균 12.1°±4.3° 증가하였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견갑 하방 충돌이 관찰되었다. 결론: 역형 견관절 치환술은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전방 거상 운동 범위는 술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내회전 운동 범위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역형 견관절 치환술은 수술 술기가 어려운 점과 합병증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신중하게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wanted to assess the short term clinical outcomes and the effectiveness of reverse total shoulder replacement for massive rotator cuff tears with cuff tear arthropathy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7 and January 2009, 17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on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69.3 (58-80) years. The follow up period was an average of 17.9 (12-32) months. The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the range of motion, the muscle strength, the Constant score, the UCLA score and the Korea shoulder score. We performed radiological measurements of medializa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distalization of the humerus, and tilting of the inferior glenoid o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Results: The VAS improved from 7.2±3.6 preoperatively to 1.6±1.0 postoperatively. The average preoperative active forward flexion was 51.5±28.4 degrees, which improved to 131.5±20.7 degrees at the final follow-up. The internal rotation was deteriorated from L2 to L5 (p<0.001, 0.001, 0.011). The average Constant score improved from 23.9±5.1 points before surgery to 62.2±9.1 points at the time of follow-up and the UCLA score and KSS score also rose from 7.6±2.4 and 27.0±7.5 points to 26.3±3.6 and 69.2±10.4 points respectivel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radiological measurements, the medialization of rotation of the center was a mean of 20.6 ㎜±4.3 and the distalization of the humerus was a mean 22.8 ㎜±5.56. The glenoid inferior tilting increased a mean of 12.1±4.3 degrees. Inferior scapular notching was observed in two cases. Conclusion: The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produced good results when used for the treatment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cuff tear arthropathy. Forward flex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but on the contrary internal rotation was deteriorated. Considering the technical difficulties and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the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should be judiciously used by expert surgeons.

      • 수부에 발생한 지방종성 종양

        이광현,이봉근,봉현종,Lee, Kwang-Hyun,Lee, Bong-Gun,Bong, Hyun-J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지방종성 종양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수부에 발생한 지방종성 종양 11예를 수술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그 임상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수부종양으로 수술받았던 환자 중 조직학적으로 지방종성 종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선별하였으며 후향적으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의무기록 및 방사선학적 검사 그리고 수술전후 사진기록을 조사하였다. 재발여부는 전화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11예 중 8예가 지방종이었으며 비전형 지방종(atypical lipoma)가 1예, 조갑하 혈관 지방종(subungal angiolipoma)가 1예, 섬유지방종(fibrolipoma)이 1예이었다. 발생부위로 수지에 발생한 경우가 4예이었으며 무지구근부 2예, 소지구근부 2예, 수장부 1예, 손목 2예이었다. 전례에서 수장부에 발생하였다. 증상으로 대부분 종물감을 호소하였으며, 통증이 동반된 경우는 2예, 감각이상을 호소한 경우가 1예 있었다. 통증이 있었던 2예 중 1예는 조갑하 혈관지방종이었고 1예는 수장부에 발생한 단순 지방종이었다. 비전형 지방종은 2 cm 가량의 주위조직을 포함한 광범위 절제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10예에서는 단순 절제를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 지방종의 크기가 5 cm이상으로 수술 후 수술부의 원위부에 감각저하 및 수술 절개부에 과감각을 호소하는 경우가 1예 있었고 기타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전화면담이 가능했던 10예 중 재발은 없었다. 결론: 수부에 발생하는 지방종성 종양은 대개 종물감외에는 증상이 없으나 드물게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육안 소견은 비슷하나 조직의 성상은 다양하였다. 수술을 할 경우 합병증의 위험은 적으나 종괴가 클 경우 수술 중 신경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세심한 수술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Lipomatous tumor occurred in hand is very rare. There is a broad spectrum of lipomatous tumors including lipomas, variants of lipomas, lipomatosis, liposarcomas and so on. We report the clinical features of 11 cases of lipomatous tumor which occurred in hand.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2 and 2008, 11 cases were histologically diagnosed as lipomatous tumor in hand. We reviewed all medical records and clinical photographs retrospectively and ascertained recurrence by telephone interview. Results: Eight cases were ordinary lipomas. Three cases were angiolipoma, fibrolipoma and atypical lipoma respectively. Four cases occurred in finger, two cases in thenar area, two cases in hypothenar area, one case in palm, two cases in wrist. All cases were situated on volar surface. All patients complained of palpable masses. One patient with subungal angiolipoma felt pain. There was no neurologic sign or vascular symptom preoperatively. In one case, postoperative complication (hypoesthesia in $5^{th}$ finger) was developed. There was no local recurrence. Conclusion: In our study, lipomatous tumors occurred in hand did not recur. Patients mainly complained of feeling of lump. Pain was uncommon symptom.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rare if operation was performed carefully.

      •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

        김태승,김종헌,이봉근,김순명,Kim, Tai-Seung,Kim, Jong-Heon,Lee, Bong-Gun,Kim, Soon-M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저자들은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의 유골 골종의 진단과정 및 임상양상에 있어 장관골의 간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과의 차이점이 있어 이를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병리학적으로 유골 유종이라고 진단된 20예중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예, 여자 2예로 진단당시 평균연령은 17세(8~29세)이었다. 전자간에 발생한 경우는 4예, 전자하 2예, 대퇴경부 1예, 비구 1예에 발생하였다. 진단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주사검사,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C -반응단백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소파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3예에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이 증상을 호소한 부위로 고관절부위 6예, 슬관절부위 3예, 요추부위 3예이었으며, 2예에서는 슬관절 질환에 대한 검사 및 수술을 시행한 바 있었다. 2예에서 파행을 주증상으로 호소하였고, aspirin 등의 소염제에 동통이 완화된 예는 3예이었다. 병리학적으로 진단되기까지 추정진단으로 감염과 감별하지 못한 예는 2예, 반월상연골판파열 1예, 슬내장증 1예, Legg-Calve-Perthes disease 1예, 요추부 추간판 탈출의증 1예였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중 5예에서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자기공명검사에서 고관절 활액막염으로 1예, 감염성 질환으로 1예를 진단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에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주증상으로 파행을 호소할 수 있으며, 고관절 부위 통증뿐만 아니라 슬관절 부위 통증을 나타내며, 이중 슬관절 부위 통증이 고관절부위 통증보다 더 심한 예가 있어 진단에 주의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만성 염증질환과 감별해야 되지만,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영상진단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중 컴퓨터단층촬영이 더 추천된다. Purpose: We experienced 8 case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d som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those arising on long bone. we reports the characteristic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the hip joint. Materials and Methods: 8 cases of osteoid osteoma were diagnosed during 1985 to 2004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ll cases were comfirmed patholgically. 6 cases were male, 2 cases were female patients. The mean age was 17 years old (ranged from 8 to 29). They occurred in intertrochanteric area (4 cases), subtrochanteric area (2 cases), acetabulum (1 case) and femoral neck (1 case). We used radiologic tools including magnetic resonance image, computed tomography, bone scintigraph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Results: The patients expressed various symptoms including thigh pain, knee pain,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respectively. 2 patients had experienced operation on knee joint. 3 patients showed limping gait. Aspirin relieved the pain in 3 patients. The difference in circumference was 1cm between both thighs in 2 cases. Conclusion: Patients with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ve various symptoms such as severe knee pain and claudication, differ from infectious disease b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 reactive protein and had better diagnostic result in computed tomography.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환자에서 불량한 임상 결과의 원인 인자

        이희제(Hee Jae Lee),주일한(Il Han Joo),허정민(Jeong Min Hur),오현근(Hyun Keun Oh),이봉근(Bong G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환자를 분석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631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외래 추시를 하고 추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상 재파열이 확인된 42예의 환자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술 전후 운동 범위, 관절경하 건의 파열 정도 및 양상, MRI 검사상 파열 및 재파열의 크기, 파열의 진행 여부, 지방 변성 정도 등 환자의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로 평가하였다.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찾기 위해 ASES 점수가 80점 미만인 군을 불량한 임상 결과의 군으로 정의한 뒤 80점 이상인 군과 비교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의 위험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군(n=42)의 수술 후 임상 결과는 수술 전에 비하여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 단변량 분석상 수술 전 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 파열의 진행은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고 동반된 견갑하건의 봉합은 양호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견갑하건의 봉합을 제외한 수술 전 VAS 점수 및 파열의 진행만이 불량한 임상 결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수술 전 VAS 점수와 추시 MRI 검사에서 회전근 개 파열의 진행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을 진단받은 환자의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 있는 위험 인자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poor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with retear after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8, among 631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of a rotator cuff tear, 42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up for more than one year and showed a retear of the repaired cuff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The preoperative demographic data, range of motion,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fatty degeneration, and tear progression on postoperative MRI, as well as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Patients who scored <80 points on the ASES score were allocated to the poor function group. The risk factors for poor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ASES scores of 80 or above. Results: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results in the group with retear (n=42)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e pre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tear progression to have associations with a poor shoulder function. In addition, subscapularis repair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 good shoulder function. The preoperative VAS score and tear progression except for subscapularis repair wer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retear after rotator cuff repair, the preoperative VAS and tear progression in postoperative MRI are factors predicting a poor functional outcome.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발생한 연합건의 석회성 건염 - 증례보고 -

        이창훈,김성재,이승훈,구민회,이봉근,Lee, Chang-Hun,Kim, Sung-Jae,Lee, Seung-Hun,Koo, Min-Hoi,Lee, Bong-G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석회성 건염은 건의 부착부 주변에 발생하는 병변으로 견관절에서는 주로 극상근의 대결절 부착 부위의 근위부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상완 이두근 단두건과 오구상완근의 연합건의 석회성 건염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Calcific tendinitis usually occurs within the area where tendon inserts to bone. In the shoulder joints, most cases occur within the supraspinatus tendon just proximal to the greater tuberosity. We report a rare case of calcific tendinitis occurred within the conjoined tendon of coracobrachialis and short head of biceps brachii in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diagnosed by means of ultrasonographic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