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훌륭한 디자인이란?

        이복순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장식미술학과 1973 裝美 Vol.- No.1

        디자인의 "훌륭함"과 "옳바름"은 그것의 목적이나 환경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떠나서는 쉽게 평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것이 판단을 주저케 하는 이유는 아니다. 사람은 누구나 "나는 저것이 마음에 든다 나에게는 저것이 다른 것보다 아름답고 만족스럽다"라던가 "이것은 훌륭한 전문가다운 해석이다. 예술에 대해 아무런 가식도 없음을 신에게 감사한다"라고 말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 이론적으로 잘 조화된 디자인이란 눈이나 손에 아주 자연스럽게 전달되므로 굳이 이런 논평들이 필요치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성이나 인간사회가 그렇게 단순히 자연스럽지 못한 것이다. 가장 적당한 해석이란 실증을 위한 조건들이 대부분의 디자인에서의 과감하고 환상적인 요구인 어떤 절대성에 관련될 때 가능한 것이다. 반면에 디자인 편에서는 "여기 너무나 잘 이해 될 수 있고 그래서 더욱 완전한 해석에 도달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디자인이 바로 그런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년기 여성의 부모-자녀와의 관계회복과 자기실현을 위한 모래상자치료를 적용사례연구

        이복순,이미나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0 모래상자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의 별거 등으로 온전한 사랑 속에서 성장하지 못한 여성이 결혼하 여 중년에 이르러 두 자녀가 사춘기를 맞으면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만큼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자녀양육의 스트레스를 경험한 중년여성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이다. 내담자는 공부 잘하고 착하던 중2 아들이 성적이 떨어지고 등교를 거부하면서부터 부모역할에 더 자신이 없고 무기력 하고 우울해 하였다. 또한 내담자는 머리 아플 때마다 5-6년간 두통약을 복용해왔고, 빨래나 음 식을 태우거나 약속을 자주 잊는 등 건망증이 심하다고 호소하였다. 내담자는 자신이 욕구를 억압하고 삶의 전반을 온통 자녀양육에 두고, 최선의 노력으로 자녀 를 위해 헌신하였다고 자부할 수 있지만, 뒤돌아보면 죄책감과 회한으로 그 동안 믿어온 자신의 가치관이 무너지는 체험과 함께 진정한 자기의 모습을 찾고자 상담을 의뢰하였다. 총 15회기의 상담이 진행되는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는 모래상자의 표현과 함께 오랫동안 무의식 안에 억압해 왔던 욕구와 갈등 등을 의식화하면서 자신을 치유해 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내담자 는 자신에 대한 부적절함을 극복하고 자신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자녀들과의 갈등관계가 완화 되어, 여유를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자녀를 바라볼 수 있게 된 사례이다.

      • KCI등재후보

        중년 여성의 모래상자에 나타나는 뱀의 상징적 의미

        이복순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6 모래상자치료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모래상자에 나타난 뱀의 상징적 의미를 고대 신화를 중심으로 고찰 하고, Jung의 개성화 과정과 Neumann의 자아발달단계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뱀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뱀의 생태학적 특성과 고대 여러 문헌들과 신화에 서 뱀이 어떻게 묘사, 해석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1.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형상화한 뱀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모래상자치료과정에서 형상화한 뱀은 개성화과정과 자아발달과 어떤 상관관계 인가? 연구결과 뱀은 부정적,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며, 뱀이 허물을 벗는 모습은 실제 사례에서 재탄생의 신비와 지혜를 상징하였다. 모래상자치료는 의식과 무의식의 간격을 좁혀가는 작업이 며, 무의식의 욕구를 의식에 동화시켜 살아갈 때 정신구조에 변환이 오고 삶이 통합될 수 있 다. 이때 뱀은 부정적 특성에서 벗어나 지혜와 통합의 상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과정에서 등장한 뱀의 상반된 정신요소가 통합 되어가는 과정과 뱀이 형상화되는 것에 상응하여 내담자의 정신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안내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래상자에 나타난 뱀의 상징이 내담 중년여성의 개성화과정과 자아발달과정을 한 눈에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위탁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이복순,이미나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1 모래상자치료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위탁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 상은 G시 ○○초등학교 5학년 11세 여아로 모래상자치료 사례를 통해 자아존중감 향상의 효 과성을 보기 위한 사례이며, 모래상자치료를 시작하기 전과 후에 HTP 검사와 SCT검사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 사례는 총 17회기로 2010년 9월 5일에서 2010년 11월 21일 주1회 매 회기별 약 50분씩 실시하였다. 본 연구사례의 상담목표로는 첫째, 치료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본적인 신뢰감 회복하기와 둘째, 모래상자치료를 통해 내재된 감정 표출하기, 그리고 셋째, 자아존중감 의 향상시키기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사례 과정을 통해 초반부 내담아동은 자신의 의지로 정서 적ㆍ행동적 문제나 자기 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또래관계 형성을 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또 한, 내담아동은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는데 중반기에서 소통의 의미 를 나타내는 상징물을 사용하면서 상담자와의 신뢰감이 형성되었으며 모래상자치료에 적극 참 여하는 모습과 자발적인 감정표출이 자연스러워졌다. 결론적으로 내담아동의 자아가 성장하는 적응의 단계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모 래상자치료과정이 내담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이복순,정윤태,이훈희 한국사회혁신학회 2010 한국사회혁신학회보 Vol.1 No.1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이후 저출산이 화두가 되어왔다. 그 이후 매스컴과 학계에서 저출산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있어왔으나 그 철학적 배경이 결핍되어 있고 시대의 변화도 읽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기초로 새로 운 시각에서 저출산의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저출산 요인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으로 나누어서 파악하고, 이들 요인에 따른 저출산 실태와 파생되는 문제들을 원인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저출산 원인으로 자녀 보육, 교육비부담과 같은 경제적비용 부담, 출산지원책의 부족, 라이프 스타일의다양화, 고용불안,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

        이복순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13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식이요법에 대한 연구로서, 두 이론의 사상적 배경과 몸, 병의 원인, 식이요법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아유르베다는 상키야 철학을 근본으로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본 몸은 쁘라나(prāpṇa)와 나디(nānḑi), 짜끄라(cakra), 말라(Mala)로 이루어지며, 단지 병의 증상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질병원 원인을 찾는다. 와따․ 삐따․ 까파 등 세 도샤의 불균형이 모든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 계절의 변화 등의 외적요인이나 잘못된 감정과 같은 내적요인 또한 이러한 불균형을 일으킨다. 체질별 세 도샤에 따른 식이요법을 제시하였다. 한의학은 중국의 음양 및 오행 이론을 근본으로 몸은 오장(五臟), 육부(六腑)와 정신기혈(精神氣血) 및 경락(經絡)으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병의 원인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체내의 음양, 기혈, 장부, 경락이 모두 상호의존 및 상호 제약하는 상대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평형상태가 무너지면 한 동안 자기조절 작용이 약화 되어 질병이 발생한다. 한의학의 식이요법은 체질별 사상체질의 특성에 알맞는 식이요법을 체시한다. 아류르베다와 한의학의 몸에 대한 관점과 식이요법이 아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OTUB1 knockdown promotes apoptosis in melanoma cells by upregulating TRAIL expression

        이복순,Sung Un Kang,Mei Huang,Yeon Soo Kim,Young-Sun Lee,Jae-Yong Park,김철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1 BMB Reports Vol.54 No.12

        Melanoma, the most serious type of skin cancer, exhibits ahigh risk of metastasis. Although chemotherapeutic treatmentfor metastatic melanoma improves disease outcome and patientsurvival, some patients exhibit resistance or toxicity to the drugtreatment regime. OTUB1 is a deubiquitinating enzyme overexpressedin several canc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effects of inhibiting OTUB1 expression on melanoma-cell proliferationand viability and identified the underlying molecularmechanism of action of OTUB1. We did endogenous OTUB1knockdown in melanoma cells using short interfering RNA,and assessed the resulting phenotypes via MTT assays, Westernblotting, and cell-cycle analysis. We identified differentiallyexpressed genes between OTUB1-knockdown cells and controlcells using RNA sequencing and confirmed them via Westernblotting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apoptotic andcell survival signaling pathways upon OTUB1 depletion. OTUB1depletion in melanoma cell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causedsimultaneous accumulation of cells in the sub-G1 phase, indicatingan increase in the apoptotic-cell population. RNA sequencingof OTUB1-knockdown cells revealed an increase in thelevels of the apoptosis-inducing protein TRAIL. Additionally,OTUB1-knockdown cells exhibited increased sensitivity toPLX4032, a BRAF inhibitor, implying that OTUB1 and BRAFact collectively in regulating apoptosis. Taken together, ourfindings show that OTUB1 induces apoptosis of melanomacells in vitro, likely by upregulating TRAIL, and suggest thatapproaches targeting OTUB1 can be developed to provide noveltherapeutic strategies for treating melan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