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일의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과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동향과 시사점

        이병준(Byung-Jun Yi)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현 정부에서는 국가적으로 이전 정부에서 수립된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의 세부적 추진을 위하여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이 왜 필요하며, 그 방향성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역차원에서의 논의와 방향설정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진국, 특히 독일의 인적자원개발의 정책과 시스템설계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로 독일에서는 지역인적자원개발이 경제·산업 정책과 고용정책, 복지정책과의 연관성속에서 그 역할과 기능이 검토되고 있다. 둘째로 독일은 중앙에서 통제하고 간섭하는 정책에 대한 실패경험을 통하여 철저하게 지역자체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전개시켜나가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는 비록 늦게 진행되어도 합의한 후에는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독일은 인적자원개발정책을 정부가 지원과 평가는 하되 민간이 주도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철저한 제3섹터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어 이 또한 관주도 운영문화에 익숙한 우리에게 많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government is promoting the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HRD) Project at state level for the purpose of detailed promoting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policy established by the former government. However, still leave much to be desired for the discussion about why the RHRD policy is needed and how it should be made advanced, and for the directional establishment there of too. In this circumstances, the study on the advanced country, in particular, Germany's RHRD policy and its system design required will be full of suggestion to us. First, it is discussed, in Germany,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RHRD with its correlation with her economic & industrial policy, employment policy & welfare policy. Second, the government of Germany, through her experience in failing in central control & interference policy, is leading to evolve the RHRD project in strict accordance with the local members' agreement. This is of good merit that it has strong driving power once it reach an agreement though it may progress some tardily. Third. the government of Germany is managing RHRD policy in the strict third sector way, based upon support and appraisal by the government, but upon private-initiative. This also give us, who are accustomed to the government-centered management culture, lots of alternativ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이주자 통합에 있어서의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연구

        이병준(Byung-Jun, Yi),김영순(Young-Soon, Kim),김향미(Hyang-Mi,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이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향후 어떠한 철학과 가치지향성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해석적이고 담론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화예술 교육 현장 실무자 5명으로부터의 질적 자료 분석 결과, 대체로 상호문화주의를 표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현장 실천가들은 이주배경을 지닌 집단을 교육대상화하는 데 반대하며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와 자기활동성 강화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에는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간의 혼돈을 보이거나 이 두 입장 간의 구별이 현장에서는 무의미하다는 의견도 함께 개진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두 번째 논의에서는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담론이 비교 분석되었는데, 다문화교육은 민족을 하나의 중요한 집단으로, 그리고 문화와 정체성은 실체가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집단이 아닌 개인을 중요하게 여기고 문화와 정체성은 관계와 맥락에 의해서 규정된다고 보는 점에서 크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적 접근과 상호문화적 접근이 역량개발과 문명화된 학습과정의 측면에서는 현실적으로는 두 영역이 연계되어 나타나기에 둘 간의 균형을 함께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되고 있다. This study provides analytical and discursive results on what philosophy and value orientation are required in the future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from five hands-on workers in char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how that immigrants tend to advocate interculturalism in general. In addition, the hand-on workers generally oppose the designation of groups with imigrant backgrounds as those who require education. Immigrants have recognized that enhancing participation and self-a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ducation. In the second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s an ethnic group as an important group and recognizes the substantiality of culture and identity, whereas the inter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individuals rather than groups and regards that culture and identity are defined by mutual relationship and context. Therefore, a big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could be identified. However, in this study, it is identified that two real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pproach are linked and developed in reality in terms of the process of capability development and civilized learning. So, it is regarded necessary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two.

      • KCI등재

        고령사회에서의 노인학습망 조성을 위한 핵심가치에 대한 탐구

        이병준(Yi, Byung-Jun),주현정(Ju, Hyun-Jung),김향미(Kim, Hyang-Mi) 한독교육학회 2019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4 No.3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의 이행이 빠르게 가속화되는 가운데 노년기의 학습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곧 베이버 부머 세대들이 본격적으로 노년세대로 진입하는 등 해가 갈수록 새로운 노인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그에 맞는 교육영역에서의 대응은 여전히 미비하다. 현재의 민간에서 운영되는 노인교실, 노인복지관의 노인대학, 시니어클럽에서 제공되는 직업훈련 및 창업훈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운영되는 노인인력개발원과 노인취업교육기관들, 일부 노인요양시설들 그리고 대학에서 운영하는 시니어대학 등을 제외하고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학습자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공급은 여전히 부족하며 그 마저도 다양한 노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학습자들의 주체적인 그리고 노인학습자들간의 자발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학습이 더 요구된다. 이러한 노인학습망의 조성을 위한 논의는 매우 필요한데 이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Illich의 <학습망>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노인교육의 공급망 현황을 파악하고 Illich의 학습망 담론은 분석한 후 현장에서 통용가능한 노인학습망 조성을 위한 핵심가치를 논의하여 융합, 연결, 무형식학습, 지역성, 기호망, 존재지향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is rapidly moving into an aging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personal and social interests in learning during the elderly period have been on the rise. The baby-boom generation soon enters the elderly age range,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keeps rising every year. However, the educational systems for these elderly people are still poor. At present, there are som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aged such as senior classes operated with private funds, elders’ colleges in senior welfare centers, vocational training & startup straining programs at senior clubs, government-run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and job training institutes for the aged,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senior colleges. Other than the above mentioned, there are no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s designed for the aged. While the number of elderly learners is rising at a rapid pace,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m are still short. Even the existing facilities are not enough to meet elderly people’s diverse needs. Therefore,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for learner-led or voluntary network-based learning. In addition,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network for the aged is critical. It is Illich’s ‘Learning Web’ theory which can provide a theoretical model for such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a current educational network for elderly peopl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analyzed Illich’s Learning Web. Then, it discussed core values needed to establish a practical learning web for the aged and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convergence, connection, informal learning, locality, semiotic net, being orientation.

      • KCI등재후보

        무용수가 인지하는 예술적 역량 연구

        이병준 ( Byung Jun Yi ),김정숙 ( Jung Suk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들이 인지하는 예술적 역량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무용수 197명을 대상으로 전공(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과 경력(저:6년 이하/고:6년 이상)에 따른 예술적 역량의 두 가지 하위 요인인 문화 예술 공통 역량과 예술적 역량을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전공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으며 예술적 역량 요인이 무용수의 무용경력에 따른 수준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무용수의 무용수행에 있어서 창의력을 요구하는 심리적 측면은 신체의 테크닉과 함께 무용 예술작품 형성에 필수적이며 좋은 무용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용수의 심리 인지에서 기초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무용수를 위한 예술적 역량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변인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예술적 역량에 관한 심층적 분석 연구가 요망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stic competencies profile in female dancer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tistic competencies as functions of dancer career(low: 6 years downward/ high: 6 years up) and dance major(Korean, Ballet, Modern). One hundred ninety seven female dancers majoring in Korean, Ballet, Modern dance completed the Profile of artistic competencies scale(ACS). The ACS included two artistic competencies: culture art common competencies, artistic competencie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statistical procedures exhibi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S among Korean, Ballet, and Modern dancers. High career dancers reported more positive ACS than low career dancer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various psycho-social perspectives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xcessive physical activities might play a central role in mental health. This work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rtistic competencies.

      • KCI등재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이병준(Byung-Jun Yi),손현미(Hyun-Mi Son),최말옥(Mal-Ok Choi),한현우(Hyun-Woo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교육, 행정, 복지, 의료 분야의 실무가들 대상으로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주요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적절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8개의 구성요소와 51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육, 행정, 복지, 의료 영역의 실무자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4개 구성요소의 26개 문항이 최종도구로 확정되었다. 그리고 수렴, 판별타당도, 준거타당도, 외국인 친구나 가족 유무의 집단비교를 통해 상호문화역량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22이었다. 연구결과, 유연성과 민감성은 갈등관리 역량의 하위요소로 포함되었고, 공감이 존중의 역량과 합쳐졌으며, 문화적 지식의 역량군은 삭제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학술적 담론이 사회적, 실천적 담론으로 확산되지 못함을 보여주므로 상호문화주의와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인식고취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단순히 타인과의 문화차이에 대한 이해를 넘어 성찰을 통한 적극적 의사소통의 실천행위를 강조하는 상호문화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new assessment tool examin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on verifying its validity and credibility. To do so, this study targeted educators, administrators, social workers, and medical employees. Through Delphi survey, the items of 8 categories and 51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at first in process of examining relevance and content validity, and of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FGI comprised of the experts. Then, in an attempt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352 survey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examining construct validity, 4 categories and 26 question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multi-attribute and multi-question matrix,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and this tool’s validity was also able to be confirmed by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test scores of compared groups. This newly developed tool showed .992 of credibility(Cronbach’s a). Since intercultural competence is not a simpl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s with others, developing program and applying it to help strengthen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erms of its focusing on active communication and behavior through reflection are needed.

      • KCI등재

        재현의 교육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병준(Byung-Jun Yi),김경미(Kyung-Mi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4

        재현은 세상을 바라보는 특정한 방식이며 선택적 재구성 방식이다. Molenhauer은 ‘삶의 양식의 재현이 가장 중요한 도야의 문제’라고 언급하면서 중요한 교육학적 원리로서 ‘재현’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재현(representation)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재현이 갖는 교육적 가치에 새롭게 주목하고 교육학적 행위로서의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교육학적 행위의 핵심은 중요한 것을전달하고 공유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유·보존·전승은 ‘재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문화적 기억을 전달하는 행위로서 재현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논의들 중에서 예술적 재현·역사적 재현은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교육학적 재현과는 어떻게 의미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재현은 주체-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모든 인식적 과정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교육학적 행위이며 다음의 세 가지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무엇이 중요한것인가에 대한 가치판단과 선택의 문제, 둘째, 재현대상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의문제, 셋째, 재현된 것을 어떻게 전승할 것인가에 대한 동기부여의 문제이다. 교육적 원리로써 재현의 교육적 가치에 새롭게 주목하고 교육과 문화의 관계 속에서 예술적·역사적·교육적인 재현의 의미와 연관성을 검토해보는 것은 새로운 교육학적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Representation is a specific way of loking at the world and an optional reconstruction. Molenhauer emphasized representation as an important pedagogical concept, noting that ‘representation the way of life is the most important isue.’ Through the discusion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sought to pay new atention to the educational value of representation and to examine its meaning as an educational act. The core of pedagogical behavior is to communicate and share what is important, because this sharing, preservation and transfer is done through representation. Among the various levels of discusion on representation as an act of conveying cultural memories, artistic representation, historical representation and educational representation were each intended to examine how it works and what its educational meaning was. As a result, representation is the fundamental pedagogical act that act on al cognitve proceses. The folowing thre problems must be considered : First, the question of value judgment and choice about what is important; second, how to representation what is important; and third, how to transfer what is representation. Also, artistic, historical, and educational representation have important intersections in the interconection, so reviewing its meaning and asociation could give a new perspective on the principles of pedagogy.

      • KCI등재

        문화센터 신입 담당자의 OJT(On the Job Training)를 통한 무형식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이병준 ( Byung Jun Yi ),황규홍 ( Kyu Hong Hw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2

        우리나라에서 문화센터는 중요한 평생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센터는 지역 주민의 다양한 학습욕구를 충족시켜 주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의 입장에서 문화센터는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고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는 부서로 인식되고 있다. 문화센터와 고객을 연결하는 것은 담당자들이다. 따라서 담당자들에게는 평생교육사로서의 역량 뿐 아니라 고객응대 서비스와 시설관리 및 운영에 관한 역량도 요구되었다. 문화센터의 담당 자들은 신입 시기에 무형식학습을 통해서 그러한 내용들을 습득하였다. OJT의 과정을 문화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문화센터 담당자들은 고객응대와 강사관리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지식과 업무 요령들을 직접 몸으로 부딪히고 경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배웠다. 신입사원 기간에 이루어진 OJT는 담당자로 하여금 문화센터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밑거름이 되었으며, 유능한 담당자가 되기 위한 계속적인 학습의 동기로 작용 하였다. In our country, culture center is becoming an importan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Culture center satisfies various desires of local residents for learning and makes various efforts to provide good-quality education. From standpoints of department stores and hyper markets, culture center is recognized as a division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ducing new customers and maintaining existing customers, not a division assorted. People in charge connect culture center to customers. Therefore, people in charge have not only capabilities of lifelong teacher but also intensively working burdens inquiring customer-responding service, facility management and managing capabilities. People in charge of culture center learn lots of contents from predecessor or senior through the informal learning while they were new employe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ze those contents of informal learning from an angle of culture recognition and examine job capabilities obtained by OJT. People in charge of culture center learned knowledge and working methods about customer response, lecturer management and program operation through the OJT. OJT fulfilled during the period of new employees became foundation to conduct works of culture center successfully for people in charge and motive of continuous learning so as to be competent managers.

      • KCI등재

        노자 <도덕경> 으로 본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에 대한 탐구

        이병준(Byung-Jun Yi),박지은(Ji-Eun Par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5

        노자 <도덕경>은 고전으로 실제로 지혜와 사유능력을 형성해가는 주체로서 인간의 사유능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논고는 노자의 <도덕경>의 고전적 가치를 통해 일상의 고정된 틀을 벗어난 동아시아 미적 교육의 현대적 가치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현실의 미적 교육은 자신의 시시한 감정조차도 인식하지 못한 채 짜여진 프로그램 속에서 수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자사상은 갖춰진 체계 안에서의 움직임을 지극히 제한함에 있어서 인간을 이해하는데 폭넓은 문화적 관점을 수용하게 해준다. 기존의 노자사상 연구들의 다양한 관점의 접목은 그의 사유에서 심미적인 이상을 발견하고, 미적 교육과의 연계를 통해서 열린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동아시아의 공통 미적 관점인 노자 사상인 도를 통해 예술적 가치를 찾고, 예술을 바라보는 직관능력을 키우는 게 이 논고의 목적 중의 하나이다. 하나의 경험이 일상의 삶에서 연속되는 의미와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모든 활동에서 신뢰하고 헌신할 만한 삶의 이상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 ‘무엇이 아름다운 삶인가’라는 명제 앞에서 답이 아닌 삶 속에서 그 질문을 심화시키고 그 질문으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노자의 미적 사상이 함축되어 되새겨지는 순환의 과정을 통해 질문의 보편성을 넘어 자신만의 특수성을 구해가는 탐구의 과정이 될 것이다. Laozi <Taoteching> is a classic that actually plays a role in enhancing human thinking as a subject that forms wisdom and thinking 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odern value of East Asian aesthetic education outside the fixed framework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classical value of Laozi s <Taoteching> In real-life aesthetic education, passiv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 program designed without even recognizing one s trivial emotions. The idea of Laozi allows us to embrace a wide range of cultural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humans in extremely restricting movement within a system. The incorpor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idea of Laozi discovered aesthetic ideals in his thoughts and enables open reflection through linkage with aesthetic education. In addition, one of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find artistic values and develop the intuitive ability to see art through Tao, a common aesthetic perspective of East Asia. In order for an experience to have a continuous meaning and value in everyday life, it must have an ideal goal of a life that can be trusted and dedicated in all activities. In front of the proposition What is a Beautiful Life, it will be a process of exploring beyond the universality of quest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question in life, not the answer, and reflecting on Laozi s aesthetic ideas.

      • KCI등재

        평생학습연구에 있어서의 교육학적 생애사 접근

        이병준(Yi, Byung J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1

        평생학습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은 평생교육 이론연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현재 생애사연구는 사회학에서는 세대와 (사회적)이력, 심리학에서는 인성과 정체성 형성, 역사학에서는 심성과 구술사 연구 등 사회과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생애사 연구는 학습의 관점에서 한 인간의 삶의 경험을 조명한다. 생애사적 학습 연구에서 ‘개인의 발견’과 ‘기억의 발견’, 훔볼트와 딜타이, 그리고 생물학적 구성주의는 생애사적 학습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내러티브역량을 통해 구성되는 생애사적 지식은 인간의 사고와 행위를 연결하는 중요한 이론적 구성물로 인식된다. Biographical approaches on the lifelong learning study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theoretical study of the lifelong study. Currently, biography study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of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generations and social history study in sociology, formation of humanity and identity study in psychology, and disposition and oral history study in the historical science. On the other hand, biography study in the pedagogical standpoint illuminates the human life and experiences in the learning aspects. 'Discovery of an individual' and 'discovery of memory', Humboldt, Dilthey, and biological constructivism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basis of the biographical learning. In addition, biographical knowledge composed through narrative competence is an important theoretical element which connects human thinking with behavior.

      • KCI등재

        예술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이병준(Yi Byung-J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2

          전통적 의미의 장르 중심의 예술교육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미학의 일상화 논의가 확산되어가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매체와 코드의 세기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가 계속되고 있고 이와 관련한 문화적 역량과 예술적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된 환경속에서 예술교육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는 예술교육을 일상성까지를 포함한 미학교육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이고, 둘째는 예술교육을 문화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작업이다. 또한 예술교육의 학문적 위상을 바르게 하기 위하여 예술교육을 예술이론과 미학이론으로부터 독립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교육적 사고와 실천을 예술적 사고와 실천과 정확히 구별하는 작업으로부터 시작된다.   The genre-focused education featuring traditional meaning has faced its turning point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argument on the matter of daily-based aesthetics has been expanding academically ,at the same time, the change of a medium and a code also has been perceived socially as the happening of the century.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continues focusing on the human competency which is demanded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it is also regarded that its related cultural competency and artistic competency as being brought into relief.<BR>  This paper presents two ways to make art education transformed into new paradigm, passing through the changed environment. First is the work that expands art education up to aesthetic education involving daily basis. Second is the conduct that approaches to art education in the aspect of cultural education. Besides, it is considered as necessary to distinct art education from art theory and aesthetic theory, in order to make art education positioned right scholarly. It originates from the work of distinguishing educational thought and praxis, from artistic thought and prax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