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선 조사와 4-메틸모포린-N-옥사이드 용액을 이용한 볏짚의 전처리 방법

        이병민 ( Byoung Min Lee ),이진영 ( Jin Young Lee ),강필현 ( Phil Hyun Kang ),전준표 ( Joon Pyo Jeu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2세대 바이오매스 볏짚을 이용하여 전자선 조사 후 NMMO 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볏짚은 전자선 500 kGy 조사 후 NMMO 처리를 한 경우 72시간의 효소당 화를 거쳐 글루코스 60.8%와 자일로스 9.7% 포함 약 83.8% 정도의 당수율을 보였다. 이 전처리 공정은 유해한 화학물질 을 사용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이며 전자선 조사와 NMMO 처 리의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량이 너무 높다는 단점이 있으며 추후에는 낮은 전자선 조사량과 여러 가지 단일공정을 통합한 새로운 복합전처리 방법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단점을 보완한다면 전자선 조사라는 친환경적 방법과 더불어 NMMO 용액의 재활용성을 이유로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의 산업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facile two-step pretreatment method was investigated for producing fermentable sugars. Rice straw was pretreated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EBI) and 4-methylmorpholine-N-oxide (NMMO) prior to enzymatic hydrolysis. In the first stage, the EBI on the rice straw was carried out at various doses (100, 300, 500 kGy) and then, irradiated rice straw was stirred with NMMO solution at 120oC for 1 h for the second stage. The pretreated rice straw was hydrolyzed by cellulase 1.5 L (70 FPU/ml) and Novozyme-188 (40 CbU/ml) at 50oC for 24, 48, and 72 h. A sugar yield of 83.8% was obtained from the pretreated rice straw after 72 h of enzymatic hydrolysis. Also, FTIR and XRD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treatment of the rice straw was effective due to the synergic effects of the two-step pretreatment. In conclusion, rice straw might be a potential substrate for bioethanol production by yeast fermentation.

      • KCI우수등재

        문화환경 취약지역 지원을 위한 기준 설정 및 정책 모델화

        이병민(Byungmin Lee)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환경변화에 따라 삶의 질과 문화가 중요해짐에 따라 문화환경 취약지역에 대해 문화향유 기회를 보장하려는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성장촉진지역 등 인프라와 기반시설 위주의 기존 지표에서 나아가 수요기반, 삶의 질 고려와 함께, 생태・문화・사회・정치・경제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환경 취약지역에 대한 지원의 기준설정을 마련하고자 논리적 정당성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단계별 유형화와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문화적인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화적 수요와 공급의 평균 이하 취약지역에 대한 고려요인들에 대한 지표를 분석하고, 문화환경 취약지역 정책지원의 모델화를 시도해 보았다. 기존에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던 다양한 사업들의 정리를 통해 기준을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주민 중심의 거버넌스 체계마련 및 자생력의 확보, 질적인 일자리 창출, 실질적인 지역 정착제도 마련,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문화적 접근성의 상대적인 완화 등 수요와 공급을 함께 고려한 균형적인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Despite various efforts, the gap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is getting worse, and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to guarantee cultural enjoyment of the cultural environment is growing as the quality and culture of life becomes more important, especially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corona virus. This paper goes beyond the existing indicators centered on infrastructure such as growth promotion areas, and considers demand-based, quality of life, and various ecolog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vulnerable to cul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come up with customized suppor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step-by-step categoriz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fforts were made to find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the support system. This paper analyze indicators of factors to consider for cultural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cultural demand and supply below the average for vulnerable areas, and tried to model the policy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areas of the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standards-specific arrangement of various existing sporadically scattered projects, this paper have established policy standards and specifically presented balanced policy suggestions that take into account both supply and demand, such as securing resident-centered governance systems and self-reliance, creating qualitative jobs, establishing practical regional settlement systems, supporting customized programs for cultural capacity building, and relative easing of cultural accessibility.

      • KCI등재

        창조도시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연구: 영국의 테크시티 정책을 중심으로

        이병민 ( Byung-min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영국은 1997년 이후 신노동당 정책에 따라 창조산업육성과 창조도시 발전을 도모하였고, 전통적 제조업 중심 도시에 창조도시 정책을 대입하여 클러스터 정책을 강화하였다. 대표적인 디지털클러스터 성공사례로 꼽을 수 있는 런던의 테크시티는 불모지였던 공간이 자생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벤처기업 집적을 위한 다양한 생태계가 구축된 지역이다. 이를 위해 대학, 민간,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등 유기적 연계와 영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더해졌다. 이를 기회로 영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규모가 크게 성장하고, 입지 기업이 급증하고, 브랜드효과가 크게 제고되었다. 테크시티는 해당 지역의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성장과 가능성을 보고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공공의 노력과 민간의 거버넌스가 잘 조화를 이룬 사례로서, 공공분야의 정책과 민간의 서비스와 적극적 투자,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과 사업화를 위한 시장플랫폼, 그리고 위험을 감수하는 적극적 투자 등이 연계되어 창업, 혁신도시로의 성장을 주도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향후 미래 지향형 디지털 경제 기반 전국적으로 클러스터를 확대하려고 하는 영국의 노력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Since 1997 the United Kingdom has pursued creative industry and creative city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w Labor Party policy, strengthening its cluster policy by assigning creative city policies to traditional manufacturing-oriented regions. Tech City in London,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digital clusters, is an area in which diverse ecosystems for venture business integra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once barren space began to spontaneously develop. For this region, systematic linkages including universities, private companies, start-ups, and accelerators have been added, along with the UK government`s active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is opportunity, the scale of the UK start-up ecosystem has significantly grown, the number of local companies has surged, and brand effect has greatly improved. Tech City is an example of a well-balanced combination of public effort and private governance, based on the region`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otential for growth. It is an effective coordination of public policy and private active investment, services, research, and education. The market platform for institutional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and aggressive investment shares in the risk, have lead to its growth as a start-up and an innovative city. Britain`s efforts to expand the nationwide cluster for the future-oriented digital economy is most noteworth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자선 조사를 이용한 볏짚의 친환경 전처리 공정

        이병민(Byoung-Min Lee),이진영(Jin-Young Lee),김두영(Du-Yeong Kim),홍성권(Sung-Kwon Hong),강필현(Phil-Hyun Kang),전준표(Joon-Pyo Jeun) 한국생물공학회 2014 KSBB Journal Vol.29 No.4

        The autoclaving assisted by an irradiation pretreatment method was developed without toxic chemicals to produce fermentable sugars for their conversion to bioethanol. In the first step, electron beam irradiation (EBI) of rice straw was performed at various doses. The electron beam-irradiated rice straw was then autoclaved with DI water at 120℃ for 1 h. A total sugar yield of 81% was obtained from 300 kGy electron beam-irradiated rice straw after 72 h of enzymatic hydrolysis by Cellulase 1.5L (70 FPU/mL) and Novozyme-188 (40 CbU/mL). Also, the removal of hemicellulose and lignin was 32.0% and 32.5%,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etreatment method of rice straw by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could be applied for bioethanol production in plant.

      • KCI등재

        창조적 장소브랜딩 전략을 위한 연구

        이병민(Lee, Byung-Min),이원호(Lee, Won-Ho),김동윤(Kim, Dong-Yoo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기술의 발달과 함께 찾아온 급격한 산업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시재생의 개념도 장소자산이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연성적 지역개발의 개념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의 문화나 상징을 활용, 이미지를 구축하여 지역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의 개념이 등장했고, 최근에는 인터넷과 SNS의 발달과 함께 보다 진보된 개념인 콘텐츠 중심의 장소브랜딩(place branding)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개념으로서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에 대해서 살펴보고, 변화하는 패러다임 속에서 장소브랜딩을 구성하는 새로운 요소로서 창조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이를 반영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오사카(大板)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오사카의 경우, 각기 다른 주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장소브랜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두 top-down방식이 아닌 bottom-up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예술과 문화의 거점으로 변화시켜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고(크리에이티브 빌리지), 창조적 인력들이 모여들어 지역의 창조적 콘텐츠를 생산하며(AIR오사카), 창조적 공유를 기반으로 국제적 거점을 가진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대표적 사례(극동EX)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ncreasingly tends to focus on the soft regional development emphasizing place resources and cultural features as the change of industrial paradig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deepened. In this context, the place marking concept that tries to promote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utilizing regional cultures and symbols and constructing regional images has emerged. It recently makes a shift toward a new concept of place brand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SNS. This study investigates place marketing and place branding as the concepts of urban regeneration and discusses creativity as a new element of place branding to finally present a new model. The paper also examines the case of Osake, Japan. The case study of Osaka typically shows that various actors create place branding in various ways in not top-down but bottom-up approach. They transforms unused regional spaces into the core of arts and culture and then contribute to the formations of regional identity(the case of creative village). In addition, creative talents gathered to produce regional creative contents(the case of AIR Osaka) and there is typical example of glocalization with international hub based on a creative share(the case of Far East 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