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

        이방실(Yee BangSil),강수경(Kang SuKyoung),정미라(Chung MiR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능력, 어머니 코칭역량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 과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58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bootstrapping 방법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 어머니 코칭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유아의 기질을 고려한 어머니 코칭역량 강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mother's coaching ability,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258 mothers with chil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Pearson correlation and SEM were analyzed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Second,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when the child's temperament affect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deal with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depending on child’s temperament in order to develop self-regulation of child.

      • KCI등재후보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효과

        이방실(Yee, Bang Sil),이숙재(Lee, Sook Ja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나눔과 상생의 경제교육을 지향하는 ‘세시풍속과 연계한 경제교육’이 유아의 경제개념과 경제생활습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 2곳의 만 5세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 경제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개념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생활습관에서는 하위 영역인 집단생활습관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이 단기적으로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경제개념 형성과 두레의 소중함을 알고 협력하는 태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spect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Concept and Economic Living Habits when they are applied to practice of young children' economic education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for the research agenda. First, what is the effect that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concept? Second, what is the effect that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living habi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6 children attending 2 class of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One class wa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as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measure economic concept of young children, ‘Economic Concept Test for Young Children’ by Mija Park(2008) was used. And to measure economic living habits of young children, ‘Economic Living Habits for Young Children’ by Meoung Sun Jung & Hae Ik Hwang(2004) corrected by researche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ce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19.0 program.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and statement of this research. First,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had the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economic concept. Second,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didn't have the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economic living habits. But there was meaningful effect on ‘communal living habit’, so economic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had the positive effect on Durae spirit(which is one of Korean community spirit for humanity, welfare and cooperation) and attitude of collaboration. A the results leads shows that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on economic concept and communal living habit.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이방실(Yee, Bangsil),강수경(Kang, Sukyoung),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별로 상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공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심리적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 성취감 상실에서 매개효과가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현장에서 양질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37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data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 & Kenny(1986)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eacher’s resilience had mediated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ategori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oss of a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results implied that there is a need to manage resilience and burnout of th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영아 프로그램 관련 연구경향 분석

        정미라(Chung, Mi-Ra),이방실(Yee, Bang-Sil),문원선(Moon, Won-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프로그램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대상 논문은 2000년부터 2011년 사이에 발행된 영아 프로그램 연구중 프로그램 모형이 구체적으로 나타난 총 31편의 논문이다. 연구대상 선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DB를 통해 검색되었으며 학술지, 학위논문 모두를 포함하되 치료중심이거나 부모, 교사만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연구는 제외하였다. 영아 프로그램의 대상을 연령별,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 및 특성도 하위 범주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아 프로그램의 대상은 25~36개월 영아가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목적은 ‘사회관계능력 향상’에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이후 영아프로그램 개발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infants program. We analyzed 31 theses & papers on infants program models published from 2000 to 2011. These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RISS data base. We have excluded those papers which investigated about therapy only or parents and teachers guidelines for infants caring. We analyzed the annual and thematic trend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infants program, and also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e program was performed on infants between 25 to 36 months ol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objectives of the infants program were inclined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hip. We discuss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the recommendations on future infants program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정미라 ( Chung Mira ),이방실 ( Yee Bangsil ),강수경 ( Kang Su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와 아버지 49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M-plus 7과 SPSS 21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놀이성은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을 높이기 위해 아버지의 놀이성을 향상시키는 방안과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layfulness of the children, from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f father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hildren from age 3-5 and their fathers(n=49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y using M-plus 7 and SPSS 21. Results reveal that first, father's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play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parenting behavior to raise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ways to improve playfulness of the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정미라(Chung Mi ra),이방실(Yee Bang sil),박수경(Park Su k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공ㆍ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셀프리더십과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셀프리더십을 경유하여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셀프리더십을 강화를 통해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elf-leadership and burnout.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79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IBM SPSS 21.0 and AMOS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was prov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self-leadership and burnout. Second, the teachers' self-leadership was prov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burnout. Third, th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was turned out to lay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burnout through the teachers' self-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prevent and decrease teachers' burnout through th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the teachers' self-leadership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 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미라 ( Mi Ra Chung ),이방실 ( Bang Sil Yee ),박수경 ( Su Kyoung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Insights derived from recent neuroscience research on the brain impact greatly on our knowledge of human beings. This knowledge, ever expanding as it is, is especially pertinent to education and indee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ften contribute to the body of research, and certainly incorporate it in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it is more difficult for already practicing teachers to implement brain-based education since their backgrounds took place before awareness of brain-based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was so indisputably established. This research aims to remedy this situation by develop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brain-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mplementation. The steps of development follow. 1) In preparation, documents related to brain science and brain-based education were rigorously reviewed and analyzed and from generalizations derived, needs could then be investigated and established through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discussion with field professionals. 2) In constructing, educational goals, purposes and contents, a hierarchical analysis and a procedural task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jobs and tasks. 3) A program draft was drawn up and applied as part of its preparation, and the final program model was proposed through discussions with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will provide an educational model for incumbent teachers, enabling them to apply brain-based theori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뇌 기반 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첫째, 뇌과학 및 뇌 기반 교육 관련 문헌 분석과 설문지, 인터뷰, 현장 전문가 협의를 통한 뇌 기반 교육 실행 관련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내용 구성을 위해 위계분석과 절차분석에 의한 유아교사의 업무과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여 예비 적용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 최종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향후 뇌 기반 이론을 유아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한 현직교사교육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유아기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 및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 ( Mi Ra Chung ),이방실 ( Bang Sil Yee ),강수경 ( Su Kyoung K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andmother’s caring stress, life stress, social support on the caregiving rewar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71 grandmothers who were caregiving their grandchild. As for the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grandmother’s caring stress,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rewar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grandmother’s parenting role pressure, physical stress, and emotional support influence the physical reward. Grandmother’s parenting role pressure and emotional support influence psychological reward. Emotional support influences social rewar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rs of grandmother’s caregiving reward. We propose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grandparents as social support through these results. 본 연구는 영유아기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영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171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돌봄보상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조모의 돌봄보상감에는 건강스트레스와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 있어 조모의 신체적 보상감에는 양육자역할부담 스트레스, 건강스트레스,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보상감에는 양육자역할부담 스트레스와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보상감에는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로서의 조부모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정미라(Chung Mira),이방실(Yee Bangsil),권정윤(Kwon Jeongyoon),박수경(Park Sukyung),강은영(Kang Eunyoung) 한국생활과학회 201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1 No.4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49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and observed in the child lab during free pla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involvement’ was frequently used in comparison with the ‘rejection’ was the hardly used in their interaction. Second,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job status or gender of toddlers. However, their parenting stress was lower in working mothers or mothers who have girls. Third,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 and the temperament of toddlers.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influencing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유치원 조직특성과 교사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미라(Chung Mira),권정윤(Jeong Yoon Kwon),이방실(Yee Bang Sil)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치원의 조직특성과 교사의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 지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공?사립유치원 교사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별로 t/F검증, pearson상관계수를 산출하고 Baron & Kenny(1986)의 공식 을 활용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조직몰 입은 교사의 개인변인 중 근무시간, 결혼 여부 및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의 조직특성, 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사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업무과다’ 조직특성을 제외한 유치원의 조직특성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이 유 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특성과 교사 내적인 특성을 밝힘으로써 교사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유치원의 조직적인 특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kindergartens teachers’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their commitment for the kindergarte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94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eong-ki areas. For the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 & Kenny(1986)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ir kindergart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working time, marital status, and their work experiences. Seco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the kindergartens teachers’ 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chool. The results imply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f kindergarten by provi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effects on teachers’ commitment for their kindergart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