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면무용극 ‘콘’ : 전통문화와 관광전략

        이미지(LEE, Mi Ji)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태국의 전통문화로 대표되는 가면무용극 콘(Khon)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적 변용과정을 파악하고, 태국 내 전통문화의 대중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산업과 전통문화와의 연계에 중점을 두어, 콘이 현대에 들어와 대중적 가치를 획득하기 위해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인도 발 라마야나의 태국 버전, 라마끼얀(Ramakien)을 가시화하기 위해 활용된 콘은 왕실을 대변하는 상징적 공연예술로서 출발했지만,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에 맞추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형을 거듭해 왔다. 태국에서 콘의 현대적 변용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내국인에게는 기존 왕실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대중화와 보편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편,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콘을 활용한 태국 관광의 고급화 전략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태국 정부의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노력과 관민이 하나가 된 관광산업 전략이 있었다.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of Khon, the Thai masked dance represent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ailand, and figures out the factors that drove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n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connections between the tourism industry and traditional culture, the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ways that Khon was transformed to obtain popular values in the modern times. Khon, which was used to visualize Ramakien historically, started as a symbolic performance art to represent the royal family of Thailand and has undergone transformations until today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the time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Khon`s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in Thailand is the two-pronged approach: its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has been promoted to target the Thai people with the old image of the royal family kept intact on the one hand, and a strategy has been implemented to make Thai tourism upscale to target foreign tourists based on Khon on the other hand. At the center of these are the Thai government`s efforts to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tourism strategy of combining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s one.

      • KCI등재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 일반 초등교사가 인식한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라경(Rah-Kyung Kim),이정은(Chung-eun Lee),이미지(Mi-J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가 생각하는 장애인 초등교사에 대한 능력, 역할,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탐구한 연구로써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일반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고, 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3인에게 모집단의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총 30명의 일반교사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을 위해 헌신적이나 제한된 교육자원을 가짐’, 제 2유형은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추구하나 행정업무의 한계가 있음’, 제 3유형은 ‘교실을 안전하게 유지하려고 하나 다양한 학생 관계에 어려움을 겪음’, 4유형은 ‘다문화·세계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나 학부모 관계에서 미흡함’으로 명명되었다. 네 가지 유형의 가장 긍정적 진술문과 부정문을 중심으로 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유형을 대표하는 4명의 일반초등교사에게 추가 인터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증진을 위한 제언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to 3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belief system; (a) showing commitment to students but shortage of educational resources, (b) purs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c) keeping safe learning environment but limited communication with diverse students, and (d) cultivating muticultural and global interests but limit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plained focusing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of the four types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qualitative dat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additional interviews were requested from four general teacher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ssues for hiring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항복응력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

        이미지,김윤태,Lee. Mi Ji,Kim. Yun Tae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국내 대부분의 사면파괴는 여름철에 주로 나타나는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1996년 이 후부터 매년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여 800mm를 초과하고 있다. 사면파괴는 대부분 토석류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경제적 손실 뿐 아니라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킨다. 토석류의 여러 특성 중에서도 퇴적범위나 퇴적두께와 같은 퇴적 특성이 경제적인 손실과 인명피해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러한 토석류의 퇴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위해 토석류 해석 프로그램 `FLO-2D`를 사용하였다. 유동학적 인자인 항복응력과 점성 중 토석류의 흐름 발생과 정지에 영향을 미치는 항복응력에 변화를 주어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 항복응력이 증가할수록 이동거리가 감소하고, 유동심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퇴적부에서 유동심이 급격히 증가한다. 퇴적부에서의 충격력은 항복응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이 항복응력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콘크리트충전 각형 강관 가새부재의 국부좌굴에 따른 파단 예측 모델 제안

        이미지,문기훈,한상환,Lee, Mi-Ji,Moon, Ki-Hoon,Han, Sang-Wha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the hysteretic behavior of concrete-filled HSS(Hollow Structural Section) bracing members and to predict the fracture generated by local buckling in bracing member. The effect of concrete in a concrete-filled bracing members varies depending on the width-thickness ratio as well as effective slenderness ratio. And the local buckling mode in concrete-filled specimen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idth-thickness ratio. Then this study utilizes the physical theory model to simulate the hysteresis curve of brace. And fatigue parameters to predict the fracture are developed. As a result, the refined fatigue parameters reflected the effect of local buckling are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width-thickness ratio and effecive slenderness ratio,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tical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 fracture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predicts well the fracture life.

      • KCI등재
      • KCI등재

        1231 · 1232년 對蒙 表文을 통해 본 고려의 몽고에 대한 외교적 대응

        李美智(Lee Mi-ji) 고려사학회 2009 한국사학보 Vol.- No.36

        This article is my first step to illuminate the impact and the consequences, which Mongol had brought in to the Northeast Asian society in the early 13th century, by the eyes of Koryo dynasty. The sociolinguistic claim that address terms are chosen by the speakers in accordance with the solidarity and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s inspired me to focus on the address terms which Koryo carefully choose in its letters to the Mongol court in 1231-1232. Koryo selected "the Emperor(皇帝)," "His Majesty((皇帝)陛下)" to designate the Mongol emperor, "the dominant court(上朝)," "the magnificent state(大邦)," or "(our) great state((我)大國)" to the Mongol court and/or the dynasty. The self-addressing terms of the Koryo king and his court are also worth noting. The king addressed himself as a "vassal(臣)" while calling his own court "my humble land(弊邑)," "the subordinate state(下國)," "the minor state(小國)," "my fief(我國)." This wording shows that Koryo quickly admitted Mongol's superior military power and cleverly complied with the shifting 'world order' under the Mongol emperor. However, interestingly enough, the Koryo king happened to call his own court "the dominant court" in the letter to the Mongol emperor: or, the king indicated the Mongol dynasty with "your esteemed state(貴國)," a term used among the dialogue participants sharing rather equal status, instead of the most honorific terms presented above. These examples were not typographic errors; rather, the Koryo's diverse address terms for the Mongols reveal how Koryo perceived Mongol. I tried to trace the Koryo's actual 'mind-set' towards Mongol by comparing the address terms for the Mongols with ones for other members of Northeast Asian society - the Jurchen Jin(金), the East Jin(東眞), the Khitan Liao(遼).

      • KCI등재

        『三韓紀畧』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의 번역 및 해설

        이미지(Lee, Mi-Ji)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이 글은 일본 유학자 이토 토가이가 찬술한 『삼한기략』 중 고려 왕조 관련 내용을 국역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보았다. 고려 왕조 관련 기록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총 7편의 소절 중 「군장략」·「기호략」·「토지략」·「문적략(문적휘)」에서만 고려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 왕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소략하다고 하겠지만 고려 군주와 그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충실하게 소개된 편이다. 여러 기록을 비교 고찰해볼 때 『삼한기략』에 수록된 고려 왕조의 정치 분야 관련 정보의 주요 출처는 『동국통감』 「고려기」라 생각된다. 고려가 사용한 연호나 지방 제도에 대한 자료 수집은 매우 부실하지만 고려 문인들의 문적을 정리하여 제시한 「문적휘」는 일독해 볼 만 하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roduce records on the Goryeo from a book compiled by Ito Togay (伊藤東涯, 1670~1736), the famous scholar of Edo period in Japan to the Korean readers. The book is titled as Sankankiryaku (三韓紀畧, Brief History of Korea) and covers the history of he Korean peninsula. One might find the number of account on the Goryeo Dynasty is not many comparing with other dynasties such as the Silla or Joseon. Only four chapters out of seven, Gunjangryak (君長畧, Brief Account on the Kings), Gihoryak (紀號畧, Brief Account on the Era Names], Tojiryak (土地畧, Brief Account on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Each Dynasty), Munjukryak (文籍畧, Brief List of Anthologies of the Goryeo Scholar-Writers) carry the records on the Goryeo Dynasty. The Gunjangryak chapter provides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Goryeo kings. It is highly assumed that Ito mainly consulted the accounts on the Goryeo of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Joseon History) that was already introduced and widely circulated among the scholarly society in Japan.

      • KCI등재

        『三韓紀畧』 소재 高麗관련 기록과 伊藤東涯의 고려시대사 인식

        李美智(Lee, Mi Ji)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29

        伊藤東涯는 일본 에도시대 중기의 유학자로, 조선의 여러 문헌들을 탐독하며 한국 역사를 정리하여 『三韓紀畧』이라는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서문에서 조선의 역사적 흥망성쇠를 자국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조선은 신라의 통합 이후 고려-조선으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의 강역이 하나가 되고 세력이 점점 강대해졌으나 중국의 金-元-明에 해당하는 시기에 일본은 국왕 통치가 바로서지 못하였고 백성들도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고 정리하였다. 이러한 서술에 따르면 토가이는 조선의 역사상 고려 왕조 시기를 상대적으로 평화롭고 문물이 성했던 시기로 파악하였다고 하겠다. 伊藤東涯가 고려 왕조에 대한 정보를 얻은 주요 수단은 기본적으로 『동국통감』 이었다. 그러나 이외에도 다양한 조선의 전적을 통해 정보를 입수하여 고려왕조에 대한 자신만의 지식 체계를 정리하여 갔다. 전체적으로 고려 왕조의 역사를 정리하는 토가이의 태도는 매우 신중하였다. 토가이는 조선측 사서의 입장과 견해를 달리하는 부분에서도 함부로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지 않았다. 이에 비해 왜구와 정몽주 등에 관련된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자세로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 것은 특징적이다. 한편, 『삼한기략』에서 고려 왕조의 역사와 관련하여 일본에서 흔히 ‘蒙寇’ 또는 ‘元寇’라고 표현되는 13세기 몽고의 원정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었다. 몽고의 일본 원정에 고려가 작지 않은 역할을 담당했으며, 이 사건이 일본에 미친 영향도 상당히 컸음에도 불구하고 토가이가 이를 언급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일본의 역사 인식의 측면에서 조명해 보아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아울러 자필본 『삼한기략』 고려 관련 기사에서 발견되는 크고 작은 오류와 관련하여, 필자가 참여하였던 『삼한기략』 연구팀에서는 판본 실사를 통해 오류가 수정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보다 세밀한 『삼한기략』 판본 조사 작업과 함께 和刻本 『동국통감』과의 대조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삼한기략』 및 그에 나타난 일본 근세 지식인 계층의 고려왕조사 인식에 대한 분석이 좀 더 깊어지리라 생각된다. Ito Togai compares the history of Choseon with his own country, Japan, in the prologue of his Sankankiiryaku. He describes that Choseon enlarged its territory after successful unification of Shilla and achieved a powerful state through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he viewed that Japanese people had to have gone through hard times due to the fall of ruling system and incompetent rulers. Togai collected information on Goryeo from reading diverse accounts on Choseon such as Yongjae-chonghwa (慵齋叢話, Collective Stories Complied by Yongje (Seong Hyeon(成俔)), Gosachalyo (攷事撮要,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but the main source was Dongguktonggam (東國通鑑, Comprehensive Mirror of Choseon History). He compiled the history of Goryeo with much discretion. He hardly voiced up even when he stands on the different side with the Choseon monographs on Goryeo history. That made his opinions very valuable, which we could find in the accounts on Wokou (倭寇) and Jeong Mong-ju. Interestingly the Mongol Invasion, often designated as "Genkō" (元寇), was not mentioned in his book. It seems that Togai did not link the Mongol invasion with Goryeo. One could not simply conclude on how Togai understood the incident and why he remained silent; that remains another assignment to pursu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various versions of hand-copied manuscripts of Sankankiryaku which reserved in Korea an Japan is also an urgent task.

      • KCI등재

        치료감호중인 조현병 환자에서 성격 평가 질문지를 이용한 정신병질적 성격평가

        이미지(Mi-Ji Lee),홍성곤(Sung-Gon Hong),이재우(Jae-Woo Lee),권지현(JeeHyun Kwon),왕성근(Seung-Keun Wang),지익성(Ik-Seung Ch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8 No.2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ntisocial Features(ANT) scale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 with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PPI-R) total score to assess psychopathy in Korean criminal offenders with schizophrenia. Methods:The subjects included 177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committed crimes. All subjects filled out PPI-R and PAI. The statistics are carried out by SPSS version 17.0. Results:The result shows that ANT scores are correlated highly with the PPI-R total score(r=0.56). Of the three subscales of ANT ; Egocentricity(ANT-E), Stimulus Seeking(ANT-S), Antisocial Behavior(ANT-A), ANT-E(r=0.53) and ANT-S(r=0.56) subscale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PPI-R total score, and ANT-A (r=0.38) subscale was moderately associated with PPI-R total score. Among the 8 subscales of PPI-R, Rebellious Nonconformity(RN), Machiavellian Egocentricity(ME), Blame Externalization(BE) subscales were relatively strongly correlated with PAI scales ; ANT, ANT-E, and ANT-S. Between 2 factors of PPI-R, Self-Centered Impulsivity(SCI) factor showed relatively powerful association with ANT scale of PAI. ROC curve for ANT with PPI-R diagnoses of psychopathy tells that ANT scale dose not seem to make categorical prediction of psychopathy on PPI-R. Conclusions:ANT scale of PAI tapped primarily behavioral symptoms of psychopathy rather than interpersonal and affective symptoms. Despite of strong correlation between PPI-R total score and ANT score of PAI, the result of ROC curve suggests that it might be better to use ANT score as dimensional measure of psychopathy rather than categorical, in Korean criminal offender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미지(Lee Mi-j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수학교과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동안 KCI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수집하고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에 맞춰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45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경향(논문발행년도 및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수학교과내용 및 수학교과역량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 관련 수학교과교육 연구는 2010년 이후 매해 2~8편 사이로 꾸준히 이뤄졌고, 2014년에 8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서 약 37편(82.2%)이 발행되었으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학생(31편, 68.8%)과 교사와 문헌 대상(7편, 15.6%) 연구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급 및 배경 분석결과, 초등학교(18편)에서 가장 많이 이뤄졌으며,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은 각 15편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방법은 중재연구가 27편(60%)으로 가장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수업설계 및 적용 연구(25편, 55.6%)가 가장 많이 이뤄졌는데, 이는 중재 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것과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수학교과내용으로는 수와 연산(23편, 49%)이, 수학교과역량으로는 문제해결(20편, 27%)이 가장 많이 다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cent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pers published in KCI-listed papers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10 to 2020 were collected, and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For the final selected 43 papers, general trends (thesis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mathematics subject content, and trends according to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etween 2 and 8 papers every year since 2010, and about 35 articles (81%) have bee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28 papers, 65%) and teachers(8 papers, 19%), and as a result of school-level and background analysis, the most were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16 paper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15 & 14 pap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studies were 23 papers(53%).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subject, the most research on instruction design and application (16 papers, 50%) was conducted. This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studies. Third, it was analyzed that number and operation (23 papers, 53%) were dealt with as the cont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oblem solving (18 papers, 40%) as the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dditionally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