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원법(三遠法)에 대한 재고찰 -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중심으로 -

        장지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Generally, Samwonbub that was called Oriental Three Perspective in comparison with Western Perspective is presented widely in art text books. Western perspective, which was made by scientific thoughts and Oriental perspective which was made by abstract and intuitive thoughts seemed to be a good comparison. However, strictly speaking, ‘Samwonbub’ is not a form of perspective. Samwonbub is an attitude of how should we watch ‘Sansu(山水)’,which had being respected and drawn as representative image of nature, not just a landscape. So, it is not just a methodical matter about expression of distance. Also, in views of Samwonbub in art textbooks, some of them was expressing Samwonbub as separate view points, but others are explaining that,it have all three perspectives in one scene, which is called ‘Sanjeomtushi (Point-Scattering Penetrate)’ and some times it make us confused. This writing is trying to reexamine the vague explain about Samwonbub which is being presented in art textbook. I want to take a scrupulous examination about whether Samwonbub is really a beneficial tool when we draw or appreciate ‘landscape painting(山水畵)’. Also, I studied how Samwonbub can be analyzed in real artworks,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pply diverse compositions and visual points in landscape painting. I believe, through this type of discussion, Samwonbub,which is an artistic-theoretical concept that is mentioned quite abstractly,will get a chance to make it stand in the better cognition and consideration. 삼원법은 중국 송대 화가 곽희가 제시한 산수화론 중의 하나로 심원(深遠), 고원(高遠), 평원(平遠)을 합쳐서 이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서양의 원근법과 비견하여 동양의 원근법으로 여러 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자주 제시되고 있다. 이는 서양의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가 만들어낸 투시도법과 동양의 관념적이고 직관적인 삼원법을좋은 비교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삼원법은 엄격히 얘기하면 원근법은 아니다. 삼원법은 자연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존중되고, 그려져 온 ‘산수’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를 표현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각적 접근 태도이지, 멀고 가까운 거리를 표현하는 방법적인 문제는 아니다. 또한 삼원법에 대해서 어느 교과서는 삼원을 각각의 독립된 시점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또 다른 교과서는 하나의 화면에 여러 시점이 함께나타나는 ‘산점투시’로 설명하고 있어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삼원법에 대한 모호한 설명을 재검토하였다. 삼원법이 우리가 실제로 산수화를 그리거나 감상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도구가 되는지, 그리고 삼원법에대해서 최초로 언급한 곽희의 ‘임천고치’에서 삼원법은 어떤 의미로 제시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에, 먼저 미술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삼원법에 대한 언급들을찾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화론에서 삼원법을 살펴 그 의미를 분명히 하였다. 이를 통해 삼원법이 실재 작품에서 어떻게 분석되고, 산수화의 다양한 구도 안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삼원법은 첫째, 미술사적으로 곽희의 산수화론에 한정해서 보아야 하고, 둘째, 실기적인 측면에서 삼원법은 산수화의 절대적인 시점이 아니며, 셋째, 투시 원근법과 비교하여 볼 때 삼원법은 화면상에 거리를 나타내는 원근법이 아님을 밝혔다.

      • KCI등재

        초등학교 서예 교육의 방향성 고찰

        장지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0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s of teaching calligraph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way to find a new direction of it. Calligraphy educ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is usually based on practical-oriented training of copying calligraphic styles, and this is one of the most un-implemented class subject right now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reasons of it, most of the existing dissertations have suggested the lack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students' low-interest, education that is just based on copying the styles, and the poor practical learning environment. Also, to resolve those problems, they suggest the intensification of practical training for both pre-service and regular teachers, the calligraphic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the materialization of contents, and a practical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However, basically traditional calligraphy lesson is based on just copying the styles, and it has been planned for the foundation of basic training. So, the writter insists, without a fundamental change of direction, it would be considered hard to find the improvements. In particular, it is even more so because the calligraphy education that is proceeding in regular class, is only assigned very few hours.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focused aim was providing basic direction to activate the calligraphy education by switching the direction newly. 이 글은 초등학교 서예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 안에서 실시되고 있는 서예 교육은 임서 위주의 실기 중심 교육으로 진행되는데, 학교 현장에서 가장 잘 이루어지지 않는 미술 수업이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들은 교사의 수업지도 능력의 부족, 학생의 낮은 흥미, 임서 위주의 교육내용, 열악한 실기 교육 환경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그 해결책으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실습 교육 및 연수 강화, 학생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서예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교육 내용의 구체화, 서예 수업을 위한 환경의 개선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의 견해로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초등학교 서예수업이 임서 위주의 기본 훈련으로 계획되어져 있어서, 근본적인 방향성의 변화가 없이는 개선점을 찾기 힘들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정규 미술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서예교육은 극히 짧은 시수만이 배정되므로 더욱 그러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서예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전환하여 서예 교육이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래서 임서 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창작을 강조하는 서예 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 SCOPUSKCI등재

        비선형 보상기와 외란관측기를 이용한 공기압 실리더의 위치제어

        장지성,Jang, Ji-Seong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9

        A position controller which can achieve a specified dynamic performance irrespective of the different operating posi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proposed. The position controller developed in this paper is composed of a nonlinear compensator and a disturbance observer. The nonlinear compensator which feeds back posi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is derived from the nonlinear dominating equations of the position control system to compensate for variation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perating position. The disturbance observer including a simplified linear model is designed to reduce the effect of model discrepancy in the low frequency range which cannot be suppressed by the nonlinear compensator.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osition control performance maintains a designed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variations of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 로터-동체간의 상호작용 시 포아송 식의 적분해를 이용한 동체 압력 해석

        장지성,박세환,이덕주,이미선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로터-동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공력 해석은 와류법과 포텐셜 패널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동체의 압력 계산은 동체 주변에 와류가 있을 때 와류의 영향을 정확히 고려할 수 있는 포아송 식의 적분해를 이용하였다. 강체구와 고리와의 상호작용 해석을 통하여 와류가 물체 표면 근처에 있을 때, 다른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베르누이 식을 이용한 압력 해석 결과는 큰 차이를 보였지만 포아송식을 이용한 압력 해석 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로터-동체 상호작용 해석에서 유동장의 평균 속도 및 동체 위의 평균 및 순간 압력을 실험치와 비교하였으며, 익단 와류가 동체와 부딪쳐서 발생하는 순간 압력 변화 관찰되었다. Aerodynamics simulation of interaction between rotor and fuselage was conducted by using a potential panel method with wake modeling of vortex method. An integral solution of Poisson equation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influence of wake vortex accurately if the vortex resides nearby a body, and wa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pressure at the surface of fuselage. In simulation of interaction between a rigid sphere and vortex ring, more accurate pressure valu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Poisson equation rather than by using Bernoulli equation. Averaged velocity in the fluid domain, and averaged and instantaneous pressures at the fuselage’s surface were calculated in the simulation of rotor-fuselage interaction, and compared with experiment data. Also, variation of instantaneous pressure while tip vortex collides with the fuselage was examined.

      • KCI등재

        진경산수화의 해석에 대한 고찰 -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을 중심으로 -

        장지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5 No.-

        Today, Jinkyung(眞景) landscape paintings do not exist just as an aesthetic concept in the history of art or an art piece displayed in a museum. The styles of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were succeeded by many artists, and we still see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which were painted by the contemporary artists.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cluding outstanding pieces painted by ‘Jeongsun(鄭敾)’ has become well known through commemorative exhibitions, special displays, prints and media. While many people in different generations learned more about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through various routes, many of them understand and take the paintings just as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which were complet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ften see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from their textbooks since the painting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 colors of the paintings in Chosun Dynasty. However, most of the books provide students onl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aintings without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em. Thus, I attempted to reconsider the concepts and the value of the general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key points i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paintings. For the purpose, I compared and analyzed definitions of the concepts, values, and backgrounds of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which are understood and accepted by art historians. And I examined the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painted by Jeongsun not only to compare some key points, but also to draw conclusions which may be closer to the truth. 오늘날 진경산수화는 더 이상 미술사적인 개념이나 박물관 전시대 안의 유물로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예술가들이 진경산수 화법을 계승하여 오늘날의 산천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정선(鄭敾)으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는 각종 기념전이나 기획전, 화보나 대중매체 등을 통해서 널리 알려지면서 대중적으로 매우 친숙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연령층들이 여러 경로를 통해서 진경산수화를 접하게 되었으나, 정작 진경산수화에 대한 이해는 단지 ‘조선후기에 그린 실경산수화’ 정도로 그치고 있다. 특히 초·중등 미술교육에서 진경산수화는 조선시대 회화의 고유색을 대표하기에 매우 빈번하게 다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면밀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피상적인 미술사 정보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진경산수화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과 이로 인해 생겨나는 쟁점들을 비교·고찰하여,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했던 진경산수화의 개념이나 가치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살펴봄으로서 전통미술교육에서 진경산수화의 의미를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경산수화에 대한 의미와 사상적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또한 정선의 진경산수화풍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쟁점화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중국 화풍의 영향에서 벗어나, 우리 회화의 독자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시대적 성과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