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초기 노신의 종교관-과학과 미신

        이등호환 ( Ito Toramaru ),최문영역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8 中國學論叢 Vol.23 No.-

        在本評論中,伊藤虎丸開注魯迅 『破惡聲論』的`僞士當去,迷信可存`這一句。論者通過這一句話來考察魯迅宗敎觀和他思想的核心。伊藤虎丸主張所謂精神,個人,民主,法制,雖然都具有普遍性價値,但都是拿來主義。爲此,他認爲魯迅給我們提出了這樣的課題-즘樣來恢復戰士的`心聲`與`朴素`之民的`白心`的共鳴?有沒有一條從自身的士俗`神話`,`迷信`中,開創出新的産生現代科學的(東洋所沒有的)`精神`之路?

      • KCI등재
      • KCI등재

        試論"對于小說與戱曲兩種文體槪念的認識過程"

        李騰淵(이등연) 중국어문논역학회 200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16 No.-

        전통시기 소설이론 가운데 소설 장르의 본질적 특징에 대한 분석은 명ㆍ청 시기까지의 소설론에서는 주로 소설과 사서(史書)를 병렬ㆍ비교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는데, 만청 시기에 와서는 이른바 ‘신소설’과 이에 대응되는 구소설의 비교, 새롭게 번역 소개된 외국소설과 자국소설의 비교가 다양하게 제시되었고, 이런 과정에서 간혹 같은 서사문학에 속하는 고전희곡이 ‘언급’되기도 했다. 본고는 만청 시기와 이 시기 전후의 논자들이 특히 같은 서사 문학 갈래에 속하는 희곡과 소설의 범주 개념을 어떻게 혼용하거나 변별했는가에 중점을 두고 통시적 고찰을 진행해, 두서사 양식에 대한 변별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파악하고자 했다.<br/> 만청 소설이론에서 소설과 희곡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귀결해 볼 때, 일부 논자들은 양자를 구별해 다루면서, 그 이동(異同)에 주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논자들은 ‘소설’이란 용어로 소설과 희곡을 아예 함께 다루거나, 희곡을 소설의 한 ‘지류’로 여기고 있다. 이 경우, 그 이유를 제시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었다. 이처럼 대부분 논자들이 소설과 희곡을 함께 다루었던 원인은, 우선 원명(元明 ) 이래 많은 희곡 작품들이 고사 줄거리를 소설에서 가져온 탓에 양자를 아예 동일한 장르로 간주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만청 시기에 유행한 ‘唱書’ 방식의 희곡 지류는 대부분 ‘공연’의 성격을 벗어난 채 ‘說書’에 가까웠기 때문에 소설에 포함시켜 다루려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볼 수 있다.<br/> 이와 같이 만청 시기에 희곡을 소설에 포함시켜 다루는 경향은 5ㆍ4 신문학 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이후의 논저에서 어떻게 계승되거나 극복되는가를 검토했을 때, 신문학 논의와 더불어 마련된 새로운 ‘문학’ 범주개념과 더불어 두 갈래를 혼용하는 시각은 대부분 극복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양자 혼용의 관점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 《中?小?史大?》(1920), 范烟? 《中?小?史》(1927), 胡?琛 《中?小??究》(1929), ??工 《中?小?史十?》(1930年前後), ?祖怡 《小?纂要》(1948), 孟? 《中?小?史》(1965) 등 소설사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다르지만 소설과 희곡의 장르적 특징을 변별하지 않고 함께 다루는 이전 시각이 드러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어, 양자혼효 현상의 자장(磁場)은 매우 길게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试论冯梦龙小说评语中的小说观念 -以戏曲小说文类分合为中心-

        이등 중국인문학회 2014 中國人文科學 Vol.0 No.58

        전통시기 소설이론 전개 과정에서 소설 장르의 본질적 특징을 논할 때 선진에서 명․청 시기까지는 주로 소설과 사서(史書)를 병렬․비교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만청 시기에 와서는 당시 서구 소설의 유입 영향을 받은 이른바 ‘신소설’의 특징에 주목하게 되면서 이와 대응되는 구소설과의 비교, 새롭게 번역 소개된 외국소설과 자국소설의 비교가 다양하게 제시되었고, 이런 과정에서 간혹 같은 서사문학에 속하는 고전희곡조차 소설 범주에 포함시켜 다루기 일쑤였다. 본고는 만청 시기와 이 시기 전후의 논자들이 특히 같은 서사 문학 갈래에 속하는 희곡과 소설의 범주 개념을 혼용했던 상황과 그 원인을 규명했던 선행 논문 ≪试论对于小说与戏曲两种文体概念的认识过程----以晩淸小说批评中的视角为基点≫에서 파악했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문제를 만명(晩明)의 대표적 통속문학가 풍몽룡 소설관의 특징과 대조해 논의를 진일보 심화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풍몽룡이 “삼언”의 서문에 쓴 내용과 문언소설집 ≪정사≫에 쓴 평어 내용을 종합해볼 때 그는 ‘소설’과 ‘희곡’을 분명하게 구분해 제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확인 작업을 통해 만청 시기 이전 풍몽룡을 포함한 대부분의 통속문학가들은 양자를 결코 혼용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혼용은 만청 시기 특수한 환경 속에서 새롭게 제기된 현상이었음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臺刊中國文學史的體例與史觀之硏究

        이등 중국인문학회 2013 中國人文科學 Vol.0 No.55

        19세기말,서구와 일본 등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근대적 체제를 갖춘 중국문학사가 등장한 이후,黃人·林傳甲 등 중국학자가 쓴 중국문학사도 이어 출간되었다. 이후 20세기 백년을 거쳐 지금까지 通史를 비롯해 각종 단대사․장르사․비평사 등 다양한 문학사가 끊임없이 이어져 그 수가 1,000 여 종을 넘는 상황이다. 필자는 그동안 한국과 중국 대륙, 서양에서 출간된 통사체 문학사를 검토 대상으로 삼은 일련의 문학사 관련 논문을 통해 각 시기 또는 장르의 문학사 특징을 검토해왔고, 이 연구 역시 앞 논문들과 동일한 맥락에서 기획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19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 20여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아 그 편찬 체제와 서술 시각의 변천 과정과 특징을 분석해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기 臺灣에서 출간된 주요 문학사들은 편찬자가 구체적으로 언급했는지 여부를 떠나 절대다수가 교재용 문학사다. 둘째, 서술 시기와 범주 면에서 이들 문학사들은 대부분 原始文學에서 淸末까지를 다루었고,劉必勁《中國文學史綱》, 蘇雪林《中國文學史》, 江增慶《中國文學史》등 일부 소수 문학사에서만 新文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20세기 초창기 문학사에서 논쟁이 되었던 ‘雅俗兼容’문제와 관련해 臺灣에서 출간된 문학통사들은 대부분 시, 산문, 소설, 희곡 등 각 장르의 변화과정을 함께 다루었지만, 여전히 예외도 있었다. 예컨대, 李鼎彝《中國文學史》에서는 詞와 戲曲 장르를 서술 범위에 넣지 않았다. 또한 최근 출간된 龔鵬程《中國文學史》에서는 소설과 희곡에 관한 내용이 詩文에 비해 훨씬 소략하여 비중의 차이가 드러난다. 姜渭水《中國文學史》는 ‘中國哲學大綱’·‘中國語言文字學大綱’·‘宋明理學大綱’ 등 章節을 포함시키면서 적지 않은 관련 도표를 제시하여 ‘文學’의 범주를 벗어났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넷째, 50년대 이래 臺灣에서 출간된 절대다수 문학사는 시대구분 면에서 기본적으로‘전통적’王朝分期法을 따르면서“一代有一代之文學”관점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1950년대 이래 중국 대륙과 臺灣은 정치상황이 크게 달랐기 때문에 두 지역에서 출간된 문학사의 史觀 또한 정치 체제의 이데올로기 영향이 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臺灣의 주요 중국문학사에서는 이러한 이데올로기 강조 측면이 대륙과 비교해볼 때 뚜렷한 편은 아니다. 일부 편찬자가 문학사 서문이나 관련 회의에서 唯物史觀에 반대하고 民生史觀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실제 문학사 서술에서 이러한 관점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소극적’ 반발 형식 또한 주목해볼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