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원하다’의 어휘개념과 인지모형

        이대현 담화·인지언어학회 2022 담화와 인지 Vol.29 No.3

        This paper draws upon the theory of lexical concepts and cognitive models to explore the semantic relation type and expansion pattern of “siwenhata,” which is classified as a temperature adjective in Korean. In Chapter 3, we analyze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Korean adjective “siwenhata,” which is the object of observation, and the lexical concept of how the lexical meaning expands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of the adjective. In Chapter 4, the observed lexical concept of “siwenhata” and the result of the meaning expansion pattern are specified using the framework of the cognitive model, and the theory is applied to examine how it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meaning. In this paper, sentence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s Newspaper Corpus (2020) were used as observation objects, and the real dictionary meaning and usage of “siwenhata” were confirmed.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Korean adjective “siwenhata” impli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other existing semantic analysis methods and explore the overall meaning pattern.

      • KCI등재

        한·중 ‘아프다’, ‘痛’류 어휘의 의미 양상 대조 연구

        이대현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mantics of pain-related lexicon in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 linguistics such as ‘아프다’ in Korean and ‘痛’ in Chines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is article, ‘아프다’, ‘쓰리다’ and ‘저리다’ in Korean and ‘痛’, ‘刺痛’ and ‘麻’ in Chinese were selected as corresponding lexicons. They were reviewed in detail through basic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in the dictionary and usage in the corpus. In Chapter 2, basic meaning of ‘아프다’ and ‘痛’ were reviewed and they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basic meanings. In Chapter 3, extended meaning of ‘아프다’ and ‘痛’ line lexicons were reviewed through the usage in corpus and then compared.

      • KCI등재

        Taxonomy of the Genus Hydrochus (Coleoptera: Hydrophilidae: Hydrochinae) in Korea

        이대현,이숭화,안기정 한국동물분류학회 2013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29 No.3

        A 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Hydrochus Leach is presented. They inhabit in the margins of shallow lentic water with plentiful vegetation. The genus Hydrochus Leach contains about 28 species in the Palaearctic region and only H. japonicus Sharp is recently listed in Korea. Here, two species are recognized, one of which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 chubu Balfour-Browne & Satô). This species are distinguished from H. aequalis Sharp by impressed pronotum and from H. japonicus by dark brown elytra. Habitus photographs,descriptions, and diagnostic characters with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 KCI등재

        직관을 통한 수학교육에 관한 고찰

        이대현 한국수학사학회 2015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8 No.5

        As intuition is more unreliable than logic or reason, its studie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have not been done that much. But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s with logic.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explore the value of intu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function and role of intui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Especially, I discuss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intuition with its characters. The intuitive acceptance is decided by self-evidence and confidence. In relation to the intuitive acceptance, it is discussed about the pedagogical problems and the role of intuitive thinking in term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erspectives. Intuition is recognized as an innate ability that all people have. So, we have to concentrate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via intuition and the complementary between intuition and logic. For further research, I suggest the studies for the mathematics education via intuition for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직관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활용한 수학교육 방안에 대해 탐구하는 것은 직관을 강조함으로써 논리와더불어 균형 있는 수학교육을 추구한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직관은 모호한 의미로 이용되어 왔지만, 수학 발견과 발전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학교수학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 학습과 문제해결의 측면에서 직관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특히직관이 갖고 있는 특성과 함께, 이로부터 발생하는 직관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논하였다. 수학적 인식 과정에서는 직관의 자명함과 확신의 정도에 따라 직관적 수용 정도가 결정된다. 이글에서는 직관적 수용과 관련하여 교수학적인 문제를 고려할 필요성과 함께 창의적인 문제해결의관점에서 직관적 사고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직관은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천부적 능력으로 인식되며, 수학에서 직관과 논리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과 기능은 직관을 통한 교육의 중요성을강조한다. 이를 위해 학교수학에서 직관을 통한 교육 가능성을 확인하고, 직관적 원리에 의한 교수방안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Three littoral staphylinid species (Coleoptera: Staphylinidae) new to Vietnam

        이대현,Thi Thu Anh NGUYEN,Tri Tien NGUYEN,안기정 한국곤충학회 2011 Entomological Research Vol.41 No.1

        Three littoral staphylinid species, Cafius nauticus (Fairmaire), C. rufescens Sharp and Remus corallicola (Fairmair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Vietnam. Illustrations of habitus and line drawings of aedeagus with descrip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직관적ㆍ형식적 탐구 기반의 문제해결식 접근법에 따른 수학 문제해결 지도 방안 탐색

        이대현 한국수학사학회 2019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32 No.6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school mathematics, and methods to enhance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ave been the main topics in man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s. In addition to previous researches about problem solving,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ethod that enables children to establish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problem solving, to discover formalized principles associated with concepts, and to apply them to real world situations need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necessity of problem solving education and review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researches and problem solving models for giv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suggested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based on the intuitive and the formal inquiry which are the basis of mathematical discovery and inquiry process. And it is developed to keep the balance and complement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procedural understanding respectively. In addition, it consisted of problem posing to apply the mathematical principles in the application stage. 수학 문제해결은 학교수학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고,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수학교육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을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개념과 관련된 절차적이고 형식적인 원리를 탐구하며, 이를 실세계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학교 현장 중심의 문제해결 지도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 교육의 필요성과 역사를 살펴보았고, 문제해결 지도 방안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와 그간의 문제해결 모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식 접근법에 따른 문제해결 지도 방안으로 직관적 탐구 단계와 형식적 탐구 단계를 바탕으로 이들의 상호 보완 및 균형을 추구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적용 단계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서 경험한 수학적 원리를 활용하도록 문제를 만들어 해결해 보거나 실생활에 적용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직관적 탐구 단계를 통해 개념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형식적 탐구 단계를 통해 절차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학 문제 해결의 역사와 모델링 관점

        이대현,서관석,Lee Dae Hyun,Seo Kwan Seok 한국수학사학회 2004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7 No.4

        이 글에서는 20세기의 문제 해결의 역사에 대하여 개관하고, 21세기에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받고 있는 모델링 관점에서의 수학 문제 해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전통적인 문제 해결에서는 상황과 분리되어 있는 문제의 조건을 수학적 표현으로 바꾸는 번안 기술의 습득을 주요 관심사로 다루었다. 반면에, 모델링 관점에서 문제 해결은 해결할 필요가 있는 현실적인 문제 상황에서 출발하여 수학적인 정리 수단으로 재조직하고, 수학적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여 다시 실제 현상에 적용하는 과정을 따른다. 따라서,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수학화를 경험하게 되고, 수학을 배우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history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ince 1900 and investigated problem solving in modeling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the 21th century. In modeling perspective, problem solvers solve the realistic problem which includes contextualized situations in which mathematics is useful. In this case, the proble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blems which are routine, close, and words problem, etc. Problem solving in modeling perspective emphasizes mathematizing. Most of all, what is important enables students to use mathematics in everyday problem solving situation.

      • KCI등재

        LCCM 이론을 통한 개념 변화 양상 및 한국어 어휘 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이대현 담화·인지언어학회 2018 담화와 인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cause why the lexical concept has the different conceptual structures depending on the language and consider the reason why foreign learners have different conceptual systems between their mother tongue and the target language Korean by means of the lexical concept by Evans(2009, 2013, and 2015) and the theoretical frame of the theory of lexical concepts and cognitive models in order to seek for the solution.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ual system between a mother tongue and Korean felt by foreign learners is considered through the approach from a new point of view through the theory with regard to errors classified as the learners' meaning error. To this end, the aspect of concept change following the lexical learning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learners' errors and it will be considered briefly whether the theory is applicable to Korean lexical education.

      • KCI등재

        대국민 담화문의 개념화 양상 : 코로나19 정책 연설문을 중심으로

        이대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8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ization of political speeches delivered to the public through the lens of conceptual metaphor.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ians have been required to provide systematic responses to protect the lives and key values of society.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need for political national addresses to persuade the public during national disasters or crise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ix parts of policy national addresses produced by the government in response to the onset of Covid-19, and to explore conceptual metaphors embedded within these statements. Chapter two reviews existing literature on national addresses, speeches, and conceptual metaphors. Chapter three provides an analysis of conceptual metaphor systems employed in political speeches. Finally, chapter four summarizes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대국민 담화문의 개념화 양상을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에 기초하여분석하고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 관계자나 정치인들은 사회 공동체의 생명, 핵심 가치를 위협하는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만 했고, 국가적 재난이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대국민 담화문과 같은대중을 설득하기 위한 정치 담화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대국민 담화문은 코로나19 발생 후 정부에서 생산된 6편의 정책 연설문이며, 이를 개념적 은유를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연구의 2장에서는 대국민 담화문 및 연설문과 개념적 은유 이론으로 논의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대국민 담화문 가운데 내재되어 있는 개념적 은유 체계들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도록 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해 정리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