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의 여성인물 변화 양상 연구 - 2010년대 후반 작품을 중심으로 -

        이다운 ( Lee¸ Da-u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가 여성인물을 어떻게 구현해 왔는지를 분석하고, 새로운 젠더적 가능성을 보여준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텔레비전드라마를 분석하여 여성인물 재현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에 있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라 사회문화를 전달하고 구성하는 매개체이자 특정 대상에 대한 존재성을 구축하는 주요한 매체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텔레비전드라마에서 재현되는 여성인물과 그 기저에 있는 젠더의식의 실체를 규명하는 작업은 대중서사와 그 영향권 안에 있는 감상자가 여성에 대한 온전한 이미지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다. 텔레비전드라마는 대중성과 상업성을 지향하면서도 심의 규정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보수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역시 상당히 보수적인 젠더의식을 표방해 왔으며, 특히 시대 변화에 따른 여성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한 관념과 이미지로 여성을 한정한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안에서 순응성과 여성다움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여성인물을 재현해 오던 한국 텔레비전드라마는 2010년 후반부터 변화의 가능성을 확장하기 시작한다.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는 이전에는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유형의 여성인물이 등장하고 여성을 재현하는 관점이 변화하거나 여성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체현하는 작품이 조금씩 증가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마녀의 법정>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전복적으로 재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가 여성에게 얼마나 잔인한 곳인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고발한다. <멜로가 체질>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서 만나기 힘든 독특한 캐릭터성을 가진 여성인물을 등장시키며 ‘여성 미시서사’의 가능성을 체현한다. 성차별적 언어 표현인 ‘미쓰리’를 전면화하여 낮은 신분의 여성을 향한 사회적 편견과 무관심을 일깨우는 <청일전자 미쓰리>는 이름을 상실한 채 미쓰리로 치부되는 평범한 ‘여성 청년’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이들 작품은 여성을 자신의 의무를 감당해 나가는 한 명의 사회인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성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on how television dramas in South Korea shaped female characters and also carry out a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in female characters of television dramas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side effects based on the aspect of genders and television drama with female characters that show new gender possibilities. Television dramas are not just a source of entertainment, as it is a medium that delivers and forms social culture and an important medium to build the identity of specific subjects. Accordingly, verifying female characters in television dramas and the basis about gender awareness are required for public narrative and also to create an intact image about female for the viewers in the sphere of influence. Television dramas must aim for mass appeal and commercial potentials while it is restricted by broadcasting review regulations where it must satisfy the sentimental and ethical standards of all the members of families. For this reason, it inclines towards a conservative tendency. Korean television dramas also claimed to advocate conservative gender awareness and it was criticiz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did not properly consider the changes in female image based on the change of times and set limits for women by imposing specific ideas and images. From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tarted to evade from the former emphasis on a chain of adaptability and femininity within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expanded on the possibilities of changes. Ever since the late 2010s, Korean television dramas showed a trend of gradual increase in dramas with the emergence of new female characters that were hard to find befor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about how women are portrayed, and personification of new potentials about female narratives. For instance, < Witch at Court > not only reenacts femininity and masculinity subversively as it shows how cruel the Korean society is to women and explicitly denounces the 'life as a woman.' < Be Melodramatic > introduces unique female characters that are uncomm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nd personifies the possibilities of female microscopic narrative. < Miss Lee > confronts the sexist remark 'Miss Lee' and also points out social prejudice about women with low status and indifference. This drama shows the reality of an ordinary young 'woman' discounted as Miss Lee instead of being called by her name. Furthermore, the drama expresses the female character as a member of the society capable of managing her personal responsibilities and attempts to make a new approach about women.

      • KCI등재

        TV드라마의 역사적 인물 소환 전략 -<뿌리 깊은 나무>를 중심으로-

        이다운 ( Da Un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1 No.3

        이 논문은 TV 역사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가 역사를 향한 대중의 양가적 욕망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세종의 한글 창제 과정을 다룬 TV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역사 속 인물의 보편적 가치는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보편적 이미지를 적절히 전복한 작품이다. 특히 <뿌리 깊은 나무>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이자, ``역사상 가장 중대한 사건``인 한글을 창제한 세종을 다루면서 이 같은 균형을 유지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뿌리 깊은 나무>는 세종을 다룬 전작들이 보여주지 않았던 세종의 이면을 보여주었고, 고뇌하고 갈등하며 욕망하는 왕 ``이도``를 통해 극적 리얼리티를 확보하였다. 또한 <뿌리 깊은 나무>는 정기준과 강채윤, 소이 등 허구적 인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역사의 특정 부분만 선택하고 배제하는 전략으로 극적 몰입과 흥미를 강화할 수 있었다. 즉 <뿌리 깊은 나무>는 역사와 드라마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다양한 전략으로 충족시켰으며, 이러한 전략을 기반으로 세종과 글자, 군왕과 백성,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는 다양한 의미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V historical drama, <Deep-rooted Tree> satisfies the general public`s ambivalent desire toward history. One of TV dramas, <Deep-rooted Tree>, which deals with the creation process of Hangul by King Sejong overthrew the universal images in an appropriate way without damaging the universal values of the important figures in history. In particular, we need to note that <Deep-rooted Tree> maintains such balance while dealing with the greatest king in Korean history, King Sejong who created Hangul - the most significant event in history. <Deep-rooted Tree> shows the hidden side of King Sejong which previous works about King Sejong couldn`t have ever shown. Also, the King "Lee Do" who agonizes, conflicts, and desires enhanced dramatic reality and caused dramatic interest. <Deep-rooted Tree> could strengthen dramatic commitment and interest with a strategy that it makes most use of fictional characters like Jeong Gijun, Gang Chaeyun, and So I and selects or excludes specific parts of history. In other words, <Deep-rooted Tree> satisfies the general public`s demands for history and drama with various strategies and based on these strategies, presents various meanings helpful to reflect the relations between Sejong and characters (or letters), the king and people,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 KCI등재

        대중영화의 역사적 사건 재현에 대한 고찰

        이다운(Lee Da-un)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택시운전사>와 <1987> 그리고 <군함도>는 동시대 대중의 정서와 욕망을 충족함으로써 보다 많은 관객을 불러 모으기 위해 기획된 대중영화다. 광주 사건을 그린 <택시운전사>와 박종철 사건을 그린 <1987> 그리고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사건을 다룬 <군함도>는 민주화 운동과 식민지 문제 등 현재까지도 제대로 해결되지 못한 역사적 사건을 호명한다. 그리고 부정과 피로 점철된 비극적인 역사적 사건을 현재의 관객들에게 보여준 뒤, 이 를 통해 ‘감동과 분노’를 유발케 하려는 유사한 목적의식을 내비친다. 그런데 이들 세 영화는 비극적 참상을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 역사를 오락적으로 가공하는 상업영화의 역사 재현 전략을 답습한다. 또한 총포에 맞아 파괴되는 육체를 상당 시간 전시하며 ‘고통의 도상학’에도 참여한다. 무엇보다 <택시운전사>와 <1987> 그리고 <군함도>가 선택한 역사는 ‘현재의 한국 관객’을 자극할 만한 역사적 사건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결국 세 영화가 다룬 역사적 사건은 현재의 대중을 위로하기 위해 가공되고 변형되었으며, 진실을 알리겠다는 표면적 목표 이면에 존재하는 ‘상업성을 위장하는 알리바이’로 존재한다. 그러나 타자의 비참을 관음하게 만들고 현재의 관객을 위해 타자의 경험을 가공하여 이야기하려는 의지를 갖는 영화는 역사적 사건과 피해자를 오락적 소비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택시운전사>와 <1987> 그리고 <군함도>가 역사적 사건을 공론화했다는 공은 인정하되, ‘비극적 참상을 스크린으로 복기한 방법’에 관해서는 비판적 시선을 견지해야 한다. 영화는 집단기억을 구축하는 주요한 매체다. 이러한 이유로 영화의 ‘역사-다시쓰기’ 다시 말해 영화가 특정 역사를 왜 소환했으며 그것을 어떻게 재현했는가는 냉정한 비판과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역사적 기억을 체험하고 공유하는 장으로서 또한 역사적 기억을 이미지로 각인하는 저장소로서 실제 사건에 대한 영화의 재현 양상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영화에서 다시 쓰인 역사의 양상이 어떠하며 재현 방식에 문제는 없는지를 고찰하는 작업은 ‘기억의 저장소’를 제대로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 A Taxi Driver >, <1987> and < The Battleship Island > are popular films planned to meet the sentiments and needs of the contemporary public and thus to achieve box office success . These films recall historic events such as democratization movements and colonial issue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settled up to now . Also , they portray tragic historic events for contemporary audiences , with intent to provoke empathy and resentment . Unfortunately , those three films follow the strategy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used by other commercial films that garnish tragic historical facts with some fictitious narratives for the sake of entertainment . Additionally , the lingering displays of gun - ravaged bodies involve an ‘ iconology of suffering ’. Notably , < A Taxi Driver >, <1987> and < The Battleship Island > converge on historic events readily appealing to ‘ contemporary Korean audiences ’. After all , the historic events addressed by those three films are garnished with fictitious narratives and transformed to console the contemporary public , and exist as alibis masking the commercialism behind the sense of purpose for informing the pubic of some historic truth. Still , films intended to coerce the audiences into watching others ’ suffering and to add some fictitious narratives to others ’ experiences for contemporary audiences are prone to reduce the historic events and relevant victims to the objects of entertainment consumption . Hence , < A Taxi Driver >, <1987> and < The Battleship Island > should get credit for publicizing significant historic events , whereas their approaches to representing tragic scenes on screen should be viewed from a critic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 - 영화 <조커> 연구 -

        이다운 ( Lee Da-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악의 서사화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일련의 이익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다. 희대의 악으로 캐릭터화된 조커를 다시금 호명한 토드 필립스의 <조커>(2019) 역시 악의 서사화에 동참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 영화다. 특히 <조커>는 슈퍼 히어로인 배트맨에 대적해 온 조커가 왜 빌런(villain)이 되었는지를 재구성하며 전례없던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한다. <조커>는 그동안 미디어가 범죄자를 악의 화신으로 규정하고 그들에게 또 다른 권력을 부여한 수많은 사례를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조커>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하는 이유다. 가해자를 신화화하는 미디어처럼 평범한 인간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광기의 악마로 거듭난다는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하는 <조커>는 조금 더 면밀한 방식으로 탐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대상이다.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빌런은 그들이 왜 악을 추구하게 되었는가보다악을 추구하는 목적과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어 형상화된다. 즉 빌런과 내적 친밀도가 강화될 만한 상황이나 설정을 의도적으로 축약하는 것이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악을 서사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런데 <조커>는 일종의 불문율을 깨고 아서 플렉이 빌런 조커로 각성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자체를 서사의 중심에 놓는다. 중요한 점은 <조커>가 빌런의 기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악이 연민과 환호의 대상일 수 있다는 시선을 견지한다는 사실이다. <조커>는 아서 플렉을 빌런으로 각성케 하는 원인을 개인·가정·사회적 문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아서 플렉을 더할 나위 없는 가련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빌런을 부정한 세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심판하는 프로파간다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조커>는 악을 정당화하고 우상화하기 위해 서사적 패착과 윤리적 위험성 그리고 시리즈물 캐릭터의 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한 영화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of evil holds unique significance because it presents a series of benefits to individuals, the society, and storytelling. The film < Joker >(2019) by Todd Phillips, which pointed to Joker, a character described as a notorious villain, joined in the narrative of evil and stimulated curiosity of the public. In particular, < Joker > reconfigured the story to why Joker, the villain that stood against Batman, a super hero, ended up as a villain and presented a narrative of evil as an unprecedented method. < Joker > is a work of art that recalls on many cases where the media defined villains as the embodiment of the evil and also authorized other powers. This is the reason why a logical analysis about < Joker > is required. Just like how the media mythifies the villains, < Joker > provides a narrative of evil that humans reforms into the crazy devil due to external facto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bject that should be explored with a more in-depth method. In super hero films, the embodied focus is placed on the intention and actions of the villains to pursue the evil rather than why they ended up chasing down the evil. In other words, one of the ways of presenting a narrative of evil in super hero films is by intentionally encompassing the situations or settings that could reinforce the inner level of closeness with the villains. However, < Joker > broke the series of unwritten rules and fixed the focus of the narration to the reason of awakening for Arthur Fleck as Joker and also the progress. The important fact is that < Joker > maintains the perspective that the evil can be the subject of sympathy and accla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villain. < Joker > suggests various personal, family related, and social problems as the cause of turning Arthur Fleck into a villain and concentrates on projecting Arthur Fleck 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end, the film presents a form of propaganda by judging the world for denying the villains. In conclusion, < Joker > is a film that led to the side effects such as narrative failure, ethical risks, and tainted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in order to justify and idolize the evil.

      • KCI등재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지옥〉 연구 : 호모 렐리기오수스와 재난 시뮬레이션

        이다운(Lee Da-un)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fundamental questions that 〈Hell Bound〉 asks, as a disaster simulation showing the figurations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face of disasters.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consider significant thoughts that 〈Hell Bound〉 gives to contemporary people going through the age of disasters and indicate that a drama can function as a subversive text to expand thoughts or facilitate a paradigm shift. Ranking first place among dramas in over 80 countries within just 24 hours after it was unveiled in nearly 190 countries via the global platform, Netflix, 〈Hell Bound〉 was rated to be a work opening a new possibility of Korean dystopia. 〈Hell Bound〉 describes a shocking event when humans are notified of death by a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contains dynamics and philosophy by linking the world of catastrophe that has been revealed in Yeon Sang-ho’s existing works to an issue of God and religion. ‘Hell Bound’ includes a religious meaning as a final destination for those, who are deserted by God and a metaphorical mean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n chaos, at the same time. Putting emphasis on the latter, 〈Hell Bound〉 focuses on showing that inevitably, hell is formed by human beings regardless of God’s involvement. Firstly, 〈Hell Bound〉 deals with the process in which religion quickens and the process in which religion starting from God becomes polluted deleting God, based on God’s intention and demonstration that is an irresistible event. It then discloses formless violence inside signifiers of human beings thinking themselves to be reasonable and rational and the dishonesty of the world formed by such humans. Furthermore, 〈Hell Bound〉 shows that media and systems expecially among cultures created by dishonest humans rather confuse humans and the world than pursue public righteousness and protect humans. Seeing that an unknown thing suddenly appears in the human world and causes an extreme fear, 〈Hell Bound〉 resembles cosmic horror, but this differentiates itself by approaching them from a religious viewpoint from the beginning. Namely, 〈Hell Bound〉 stimulates the desire of Homo Religiosus symbolizing an existence that transcends human authority and why it is indirectly satisfied as a fantasy, not a religion in the present age. Above all, all the processes of reporting and disclosing in 〈Hell Bound〉 start from a human ‘situation facing a disaster’ peppered with shock and fear. In this sense, 〈Hell Bound〉 can serve as a significant text to provide another meaning to the present age of disasters and contemporary people in fear of disasters. 본 논문은 재난 앞에서 인간과 세계의 형상이 어떠한지를 보여주는 재난 시뮬레이션으로서 〈지옥〉이 던지는 근원적인 질문을 분석해 보는 데 목표를 둔다. 또한 본 논문은 〈지옥〉이 재난 시대를 통과하는 현 시대인에게 던지는 유의미한 사유가 무엇이며, 하나의 드라마가 사유를 확장하거나 인식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전복적인 텍스트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글로벌 플랫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90개국에 공개된 〈지옥〉은 공개 24시간 만에 드라마 부분 80개국 이상 1위를 기록하며 코리아 디스토피아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인간이 초월적 존재에게 죽음을 고지받게 되면서 벌어지는 충격적인 사건을 그린 〈지옥〉은 기존 연상호의 작품이 보여주었던 파국의 세계를 신과 종교의 문제로 확대한 역동성과 철학성을 함유한 문제작이다. ‘지옥’은 신에게 버림받은 자들의 종착지로서 종교적 의미와 아수라장이 된 인간과 세계라는 은유적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지옥〉은 후자에 방점을 두고 신의 개입 여부와 상관없이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는 지옥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데 주력한다. 먼저 〈지옥〉은 신의 의도와 시연이라는 불가항력의 사건을 토대로 종교가 태동하는 과정과 신으로부터 출발한 종교가 신을 삭제한 채 오염되어 가는 과정을 다룬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라 자부하던 인간의 기표 안에 존재하는 무정형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그러한 인간에 의해 구성되는 세계의 부정을 폭로한다. 나아가 〈지옥〉은 부정한 인간이 창조한 문화 그중에서도 미디어와 제도가 공의를 추구하고 인간을 보호하기보다 오히려 인간과 세계를 혼란하게 만드는 점을 함께 보여준다. 〈지옥〉은 미지의 존재가 인간 세계에 갑자기 출현하여 극한의 공포를 유발한다는 점에서는 코스믹 호러와 유사하지만, 처음부터 그들을 종교적 관점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변별된다. 즉 〈지옥〉은 인간의 권능을 넘어서는 존재를 상정하는 호모 렐리기오수스(Homo Religiosus)의 욕망을 자극하면서도 그것이 왜 종교가 아니라 판타지물로 간접 충족되는 시대가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지옥〉의 모든 고발과 폭로의 과정은 인간이 충격과 공포로 점철된 ‘재난을 맞이한 상황’에서 출발한다. 그러한 점에서 〈지옥〉은 실제로 재난 시대와 그로 인한 공포 앞에 놓여 있는 바로 지금의 존재들에게 또 다른 의미를 제공할 유의미한 텍스트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비대면 시대 대학 온라인 강의 개발 사례 연구 : 교양 글쓰기 교과를 중심으로

        이다운(Lee, Da-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코로나19의 종식이 지연되면서 온라인 수업이 확장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지를 얻고 있다. 세계 유명 대학은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대학’을 이미 오래전부터 준비하고 있으며 대학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신지식인으로 성장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은 기술 변화가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급격하게 전환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비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생각보다 빨리 도래할 비대면 교육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에 관한 새로운 교육 시스템과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온라인 강의를 개발할 때는 짧은 영상에 익숙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익숙한 I-Generation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며 부족한 학습 실재감과 교수자의 존재성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 강의를 듣는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내용과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대학 필수 교양 강좌 중 하나인 글쓰기 교과의 온라인 강의 개발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온라인으로 실제 강의를 진행한 경험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서의 플랫폼에 관한 이해를 토대로 커리큘럼을 설계하였으며, 일반 대학에서 보편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e-learning)를 이용하는 교양 강의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로 논의되는 6C 역량을 함께 강화하는 글쓰기 교과 온라인 강의를 개발하고자 했다. As the cessation of COVID-19 is delaying, there is growing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online courses. Famous universities in the world have for a long time now been making preparations to become “universities that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re dedicated to provide support so that learners in universities can grow into new intellectuals that can adapt to future society. The universities are making these moves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echnological changes will bring a drastic conversion in the overall paradigm of society. Accordingly, a new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have to be developed for online courses in order to be ready for an untact age of education that will arrive sooner than we think. The development of online lectures involve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Generation that is used to short video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nd the insufficient learning presence and presence of a teacher must be supplemented.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 must be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the learners taking the online lec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nline lecture development of a writing curriculum, which is one of the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problem awareness. The curriculum was design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online lectures and understanding the platform in untact online education, and the study focused on general e-learning liberal arts lectures in universities. Furthermore,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writing curriculum online lectures that also reinforce the 6C competences, recently discussed as a value that education should pursue for the edu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 연구

        이다운(Lee Da-Un)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OTT service has no space-time constraints so it mass-produces ‘Zero TV Household and it is causing a fissure in the prestige of television. In this situation, Netflix started streaming ‘Korean Netflix original drama from 2019 in order to win over the Korean television drama viewers. Netflix original drama consists of 6-10 episodes and it stands out because it aims for more free subjects and expressions compared to television dramas that are restricted in many ways like the publicity and sensationalism. Moreover, ‘binge-watching is available so it is characterized by how a different drama style is used in comparison to existing television drama. <The School Nurse Files> that was presented by Netflix in September, 2020 is a typical work that embodied the nature of Netflix original drama and it is a heroic genre that imitates the multi-genre of ‘fantasy, comedy, mystery, and action. <The School Nurse Files> also has to show a central narrative within the comparatively short time of 6 episodes-45 minutes of running time, so it displays a different aspect from previous television drama. In addition, based on the nature of OTT service drama, it is produced with open possibilities of season series so <The School Nurse Files> demonstrates an unfriendly narrative structure. In light of the nature of Netflix original drama, various attractions are constantly provided and based on the fantasy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cartoons and games, the distinct freedom of Netflix original drama is realized. <The School Nurse Files> displays the nature where various spectacles, which attract viewers that are used to stimulating attractions like webtoon, games, and YouTube, are inserted and applied diversely throughout the entire drama. <The School Nurse Files>, endowed with a type of autonomy provided in Netflix original drama, proposes an unfamiliar new character, ‘a grotesque Korean female superhero. <The School Nurse Files>, empower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being female and Korean to a superhero and provides specification that stands out from other heroic genre. In other words, <The School Nurse Files> is a new form of heroic drama that reveals how a special figure, who is both a ‘female and ‘Korean overcomes a world of chaos infested with strange things and villains. For that reason, to Korean viewers, Ahn Eun Young relates to the wounded hearts of Koreans and stands out as a hero to save people and to the viewers of other countries, Ahn Eun Young exists as a special hero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OTT 서비스는 시공간의 제약-없음으로 인해 ‘제로TV가구(Zero TV Household)’를 양산하며 텔레비전의 권위에 균열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넷플릭스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시청자를 포섭하기 위해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를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스트리밍하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는 6-10부작으로 구성되며, 공영성·선정성 등 다수의 제약을 받는 텔레비전드라마보다 자유로운 소재와 표현을 지향한다는 점이 변별된다. 또한 ‘정주행(몰아보기, binge-watching)’ 식의 감상이 가능한 까닭에 기존 텔레비전드라마와는 다른 드라마 문법이 사용된다는 특성도 있다. 그중에서 2020년 9월에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보건교사 안은영>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의 특성을 체현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판타지, 코미디, 미스터리, 액션’이라는 복합장르를 표방하는 상당히 낯선 히어로물이다. <보건교사 안은영> 역시 6부작-45분 러닝타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중심서사를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 텔레비전드라마와는 다른 양상을 띤다. 그러한 데다가 OTT 서비스 드라마의 특성상 시즌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보건교사 안은영>은 상당히 독특한 서사구조를 보인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만화와 게임의 특성을 반영한 판타지성을 토대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만의 자유로움을 구현한다. <보건교사 안은영>은 웹툰과 게임 그리고 유튜브 등의 자극적인 볼거리에 익숙한 감상자를 유인할 만한 다양한 스펙터클을 삽입하되 그것을 극 전체를 통해 매우 다채롭게 활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드라마에 제공하는 일련의 자율성을 부여받은 <보건교사 안은영>은 ‘괴이한 한국 여성 슈퍼 히어로’라는 상당히 낯설고 새로운 캐릭터를 제시한다. <보건교사 안은영>은 슈퍼 히어로에 ‘여성’이면서도 ‘한국’이라는 특수성을 부여하여 여타 히어로물과는 변별되는 특이성을 마련한다. 즉 <보건교사 안은영>은 괴이한 물질과 빌런이 출몰하는 혼돈의 세상을 ‘여성’이면서 ‘한국인’인 특별한 존재가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를 보여주는 낯선 히어로물이다. 그러한 까닭에 안은영은 한국 감상자에게는 상처를 공유하고 우리를 구원해 줄 히어로이자, 다른 나라의 감상자에게는 한국적인 독특한 정체성을 구비한 특별한 히어로로 존재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