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두개와 경추의 이행부에서 뇌신경계와 혈관계에 대한 형태학적 계측

        이규,배학근,최순관,윤석만,도재원,이경석,윤일규,변박장,Lee, Kyu,Bae, Hack-Gun,Choi, Soon-Kwan,Yun, Seok-Mann,Doh, Jae-Won,Lee, Kyeong-Seok,Yun, Il-Gyu,Byun, Bark-Jang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9

        Objective : During the trans-condylar or trans-jugular approach for the lesion of cranio-cervical junction(CCJ), its necessary to identify the accurate locations of vertebral artery(VA), internal jugular vein(IJV) and its related lower cranial nerves. These neurovascular structures can also be damaged during the operation for vascular tumor or traumatic aneurysm around extra-jugular foramen, because of their changed locations. To reduce the neurovascular injury at the operation for CCJ, morphometric relationship of its surrounding neurovascular structures based on the tip of the transverse process of atlas(C1 TP), were studied. Materials & Methods : Using 10 adult formalin fixed cadavers, tip of mastoid process(MT) and TPs of atlas and axis were exposed bilaterally after removal of occipital and posterior neck muscles. Using standard caliper, the distances were measured from the C1 TP to the following structures : 1) exit point of VA from C1 transverse foramen, 2) branching point of muscular artery from VA, 3) entry point of VA into posterior atlanto-occipital membrane(AOM), 4) branching point of C-1 nerve. In addition, the distances were measured from the mid-portion of the posterior arch of atlas to the entry point of the VA into AOM and to the exit point of the VA from C1 transverse foramen. After removal of the ventrolateral neck muscles, neurovascular structures were exposed in the extra-jugular foraminal region. Distances were then measured from the C1 TP to the following structures : 1) just extra-jugular foraminal IJV and lower cranial nerves, 2) MT and branching point of facial nerve in parotid gland. In addition, distance between MT and branching point of facial nerve was measured. Results : The VA was located at the mean distance of 12mm(range, 10.5-14mm) from the C1 transverse foramen and entered into the AOM at the mean distance of 24mm(range, 22.8-24.4mm) from the C1 TP. The mean distance from the mid portion of the C1 posterior arch was 20.6mm(range, 19.1-22.3mm) to the entry point of the VA into AOM and 38.4mm(range, 34-42.4mm) to the exit point of the VA from C1 transverse foramen. Muscular artery branched away from the posterior aspect of the transverse portion of VA below the occipital condyle at the mean distance of 22.3mm(range, 15.3-27.5mm) from the C1 TP. The C-1 nerve was identified in all specimens and ran downward through the ventroinferior surface of the transverse segment of VA and branched at the mean distance of 20mm(range, 17.7-20.3mm) from the C1 TP. The IJV was located at the mean distance of 6.7mm(range, 1-13.4mm) ventromedially from the lateral surface of the C1 TP. The XI cranial nerve ran downward on the lateral surface of the IJV at the mean distance of 5mm(range, 3-7.5mm) from the C1 TP. Both IX and X cranial nerves were located in the soft tissue between the medial aspect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ICA) and the medial aspect of the IJV at the mean distance of 15.3mm(range, 13-24mm) and 13.7mm(range, 11-15.4mm) from the C1 TP, respectively. The IX cranial nerve ran downward ventroinferiorly crossing the lateral aspect of the ICA. The X cranial nerve ran downward posteroinferior to the IX cranial nerve and descended posterior to the ICA. The XII cranial nerve was located between the posteroinferior aspect of the IX cranial nerve and the posterior aspect of the ICA at the mean distance of 13.3mm(range, 9-15mm) ventromedially from the C1 TP. The distance between MT and C1 TP was 17.4mm(range, 12.5-23.9mm). The VII cranial nerve branched at the mean distance of 10.2mm(range, 6.8-15.3mm) ventromedially from the MT and at the mean distance of 17.3mm(range, 13-21mm) anterosuperiorly from the C1 TP. Conclusion : This study facil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microsurgical anatomy of CCJ and may help to reduce the neurovascular injury at the surgery around CCJ.

      • KCI등재후보

        구조주의 담론에 관한 소고

        이규인(Lee, Gyu In)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7 No.-

        이 글은 현대성의 발견 가운데 프랑스 구조주의자들의 전통 내에서 그들의 ‘담론’들을 통하여 포스트모던의 사회적 행위와 질서 그리고 시대진단의 문제를 재해석하는 성찰적 내용을 검토한다. 그들의 담론들은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연구 대상인 ‘현실’이 합리성과 효율성에 의해 지배되는 ‘구조’들을 통한 ‘문화의 조건화’에 문제의 중점을 두는 것을 비판한다. 푸코와 부르디외 및 카스토리아디스, 투렌과 같은 반구조주의자들은 현대의 갈등과 권력의 문제, 법과 통제, 정보와 소비사회, 페미니즘 등과 같은 탈구조적 문화적인 개방성과 동시에 ‘해체과정’의 조건성의 재인식을 주체성의 회복으로 그리고 문화와 행위들 간의 관계에서 주목한다. 특히 사회학적 사상의 일반적인 변화로 의사소통, 계급과 사회운동, 혁명적 이념의 몰락, 새로운 사회의 유형의 등장 -민주주의의 부활과 다양한 집합적 행위인자들의 등장- 의 테마는 새로운 사회학적 분석의 단위로 이끌어갔고, 결국에는 이러한 것에 대한 연구는 바로 주체 및 주체성에 대한 연구 및 담론들이였다. 현대의 이해는 사회와 문화의 새로운 유형은 기술-구조결정론보다도 언어적 상징과 교육 그리고 새로운 생산형태와 의식형태를 규정하는 윤리적 모델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주체성의 회기와 현대의 이해를 위하여 프랑스 구조주의적 전통으로 부터 사상가들의 주요 저작들에서 나타나는 구조주의의 담론들을 고찰해본다. 이것은 미래에 한국의 법제과정에도 구조주의적 담론이 의미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faßt sich mit den Diskursen des Strukturalismus. Bei der Entdeckung der Modernität geht es um die reflektierenden Inhalte, die das soziale Handeln, die soziale Ordnung und die Zeitdiagnose der Postmoderne durch ihre Diskurse in der Tradition der französischen Strukturalisten wiederum interpretieren. Diese Diskurse kritisieren daran, dass man dem Schwerpunkt in der Bedingtheit der Kultur durch die Struktur zugrunde legt. Die Neo-Strukturalisten und die Anti-Strukturalisten wie Michel Foulcault, Pierre Bourdieu, Cornelius Castoriadis und Alain Touraine machen auf die Wiederkehr des Subjekts die wiederun Erkenntnisse der post-/neostrukturalistischen kulturellen Offenheit und gleichzeit auf der Bedingtheit der Auflösungsvorgang der Struktur wie Konflikte und Probleme der Macht, die Information und die Konsumgesellschaft, Gesetze und Kontrolle, der Feminismus u.a. in der Moderne und darüber hinaus auf der Beziehung zwischen der Kultur und dem Handeln aufmerksam. Solche Themen waren die ‘Auflösungsvorgang’ und die Einheit der neuen soziologischen Analyse, die sich vor allem mit der Kommunikation, Klassen und den sozialen Bewegungen, dem Niedergang der revolutionären Ideen von der allgemeinen Wandlung soziologischen Denkens und der Entstehung der neuen Typen von Gesellschaft -die Wiedergeburt der Demokratie und die kollektiven Aktuere u.a.mbezogen haben. Diese Studien waren folglich Arbeiten für das Subjekt oder die Subjektivität und auch dafür Diskurse. Das Verstehen der Moderne in neuen Typen von Kulturen und Gesellschaften sollte unter sprachlichen Symbolen, der Bildung und dem ethischen Modell, der den neuen Produktionstyp und den neuen Bewußtseinstyp bestimmt, berücksicht werden. Das ist eher mehr Kulturelle als der technologische-strukturelle Determinismus. In diesen Sinne analysiert diese Arbeit Charaktere des Diskurses über die Postmoderne durch ihren wichtigen Werken in der strukturalistischen Tradition Frankreichs, wie man über die Diskurse auf der Struktur, der Kultur und dem Subjekt in ihren Weken handelt und man darunter die Moderne versteht. In dem Zusammenhang damit denkt dieser Beitrag darüber nach, dass Bedeutungen der strukturalistischen Diskurse zum das Gesetzgebungsverfahren Koreas in der Zukunft beitragen können.

      • KCI등재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론과 루만의 체계론

        이규인(Lee,Gyu In) 유럽헌법학회 2009 유럽헌법연구 Vol.6 No.-

        하버마스의 행위론과 루만의 체계론은 현대 사회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들이며, 그들의 이론 그 자체가 논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항상 사회학적 연구대상이 되는 사회적 행위와 질서 및 구조 그리고 변동과의 관계 속에서, 하버마스는 의사소통행위론을 통하여 그리고 루만은 체계론을 통하여 유연한 오늘날의 사회적 현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새로이 개념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경험하고 있는 사회를 설명, 해석하는 유용한 수단들 중의 하나이다. 하버마스는 의사소통행위론에서 합리적 의사소통의 이성을 바탕으로 한 담론을 통하여 진리, 규범적 정당성 및 진실성의 타당성에 도달하려고 한 인간의 주관적 상호작용 행위를 강조하는 반면에, 루만은 행위는 체계 속에서 작용하는 기능으로 보고, 규범과 가치보다도 단위체계와 환경 속에서 체계 그 스스로 자신을 생산해내고 그리고 항상 그들 스스로에 관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두 이론의 지향점은 근본적으로 차이는 없지만, 경험하고 있는 현실사회의 분석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 그들의 중요한 저작을 통하여 유사성과 차이성을 고찰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faßt sich mit Habermas`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und Luhmann` Systemtheorie. Hier geht es um die soziologische Vergleichstudie zwischen Theorien von Habermas und Luhmann; Habermas betont Dirkurse zwischen Intersubjektiven durch die kommunikative Vernunft unter der normativen Fundamente von kommunikativer Rationalität und sprachlicher Verständigung. Damit behauptet er auch 3 Geltungsansprüche: Wahrheit, Normative Richtigkeit und Wahrhaftigkeit. Bei ihm beziehen diese sich auf die radikale Vernunftkritik der Postmoderne. Bei Luhmann bezeichnet sich das kommunikative Handeln als die Funktion, die innerhalb dem System betriebt. Und für ihn ist einzige formale Eigenschaft der Systeme anders in Unterschieden zwischen Umwelten, die aus Werte und Normen schließen. Er betont, dass ein System immer nur Denken ist, und Denken immer auch Systemdenken im Bewußtsein ist, wenn auch man voneinander kommuniziert. Zwischen beide Theorien gibt es zwar keine große Unterschiede, aber Annährungspunkte und Ansätze von Theorien beginnen in den gegenseitigen Standpunkten. These von Habermas`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und von Luhmann` Systemtheorie wären auch methodologisch auf die wieter Entwicklung der Rechtswissenschaft aufmerksam machen, die Rechtsvorstellungen in der modernen Weltgesellschaft reflektieren kann.

      •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저열량 식사요법에서 체구성 성분의 변화

        이홍기,이영건,이복기,이규,김경곤,강희철,윤방부,Lee, Hong-Gi,Lee, Yeong-Geon,Lee, Bok-Gi,Lee, Gyu-Rae,Kim, Gyeong-Gon,Gang, Hui-Cheol,Yun, Bang-Bu 한국건강관리협회 2005 한국건강관리협회지 Vol.3 No.1

        Background: A reasonable weight reduction is to reduce fat-body mass while preserving free-fat mass. Recently, many people in Korea have been trying reckless diet therapy for weight reduction by low calory and protein diets, which gave rise to many side effects consequently. For reasonable weight reduc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diet factors that change body composition during short-term low calory diet. Methods: 26 healthy obese women aged 23-27 years whose BMI was greater than 24volunteered for the 6 week diet therapy from January to April in 2003.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eat approximately 1200kca1/day and write dietary diary.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3rd week and the 6th week, subjects' body weight and fat body weight were measured by BlA. In the 6th week, the analysis of dietary diary was conducted.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ake per ideal bodyweight in the first 3 weeks and free fat mass increase in the later 3 weeks (P<0.05). At the same time, fat intake in the first 3 week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free fat mass in the second 3 weeks, too(P<0.05). But,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values that had effect on free fat mass increas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 protein intake in the first 3 weeks helps preserve fat free mass in the later 3 weeks, and has positive effects.

      • KCI등재
      • 투과도 조절식 광차폐 필름 개발

        김도현(Do Hyeon Kim),오창준(Chang Jun Oh),이규람(Gyu Ram Lee),김윤석(Yoon Seok Kim) 대한전자공학회 2022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코로나19 발생으로 개인 활동이 증가하고, 특히 캠핑 등 야외활동 시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기존 차광장치의 공간, 비용, 전력공급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슬릿과 편광필름을 조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전력공급 없이 광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 차광장치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슬릿방식은 스트라이프 패턴의 간격이 일정한 2개의 필름을 겹쳐서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평균 투과율을 20~45%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최소 투과율은 0.38%로 거의 완벽에 가까운 차폐 성능을 보였다. 편광방식은 수직으로 배열된 줄무늬 패턴 필름을 서로 겹쳐 선형 편광된 부분이 수직으로 만나는 곳에서 빛의 진행을 차단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광투과율은 47.5%, 최소투과율은 0.1%로 측정하여 거의 완벽한 차폐 성능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호모시스테인간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양근석 ( Kyn Suk Yang ),김경곤 ( Kyung Kun Kim ),이규래 ( Gyu Rae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최근 골대사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골밀도 (BMD)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방문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혈액검사, 요추 및 대퇴경부의 골밀도, 흡연, 음주, 카페인, 우유섭취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골밀도에 따라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이나 Fisher`s exact test를 통하여 세 군 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결과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에서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간에 연령, 우유섭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세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대퇴경부 골밀도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0.05)을 보였다.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보정한 후 대퇴경부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β=-0.25, P=0.01), 요추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β=0.027, P=0.786). 결론: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대퇴경부 골밀도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증가된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골다공증의 위험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nin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cruited. The blood was sampled, the lumbar and femur neck BMD were measured, smoking habits were established, and the alcohol, caffeine, and milk consump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BMD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or Fisher`s exac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erum homocystein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adjusted by factors affecting homocystein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With respect to BMD, the three groups exhibited some differences (P<0.05) in terms of age and milk consumption, but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individually associated (P<0.05) with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HDL-cholesterol, and femur neck BMD. Although a correlation was established (β=-0.25, P=0.01) between the femur neck BMD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when adjusted for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and HDL- cholesterol,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present (β=0.027, P=0.786) between the lumber BMD and the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nclusion: An increased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femur neck BMD. Hence, the increase in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