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의 디자인사고에 관한 연구

        이광득,이진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esign thinking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creating brand design and to identify its features. To this end, researchers who analyzed the contents of design thinking using protocol methods were selected among the leading researchers on design thinking. In addition, design processes and tables presented by prior researchers.The process of the design process of Jeong Kyeong-won in 4 was summarized to derive six steps of the design process to be used in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In the experiment, six students were selected as a group of two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to check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rough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retrospective report and the contents of the design thinking at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e content of design thinking is 1. At the stage of the subject description, the content is accepted in a piecemeal manner through subjective thinking. In the subject description, which is an explanation of objective facts, subjective thinking considering the design outcome rather than objective object and content can be seen as leading rather than objective thinking. 2. The design process did not generate systematic and sequential ideas from the outset. 3. There has been insufficient logical conceptual analysis since the focus on the presentation of design outcomes-Conceptualization. You can see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design topics, ideas and concepts are not created. In conclusio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designs based on objective and logical analysis in the development of brand design, it is intended to be the basis for inferring the reasons for the expression of intuitive thinking and the types of design thinking that emerged at each stage. 본 연구는 브랜드 디자인 제작 프로세스 과정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사고를 검토하고 그 유형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사고에 관한 선행연구자들 중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한 디자인 사고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디자인 프로세스와 표.4 정경원의 디자인 프로세스의 과정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할 디자인 프로세스의 6단계를 도출하였다. 실험에서는 시각디자인 전공 3학년 35명이 참여 하였으나 민화를 주제로 한 학생 6명을 2인 1조의 3개조로 편성하여 디자인사고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나타난 회상적 보고를 통해 디자인 사고의 내용과 유형을 알 수 있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제시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단계 중 1주제의 설명 단계에서는 주관적 사고의 유형을 보였다. 3주제와 연결하는 상품단계에서 직관적 사 고의 공통적인 유형을 나타내고, 5관찰된 사물들 단계에서 비유와 은유적인 사고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연구에서 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 마케팅적 관점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지만 도출한 디자인 사고의 유형을 통해 향후 디자인 사 고의 이유를 추론하는 근거와 다양한 디자인 사고의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의 단초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의 문화적 요인에 근거한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이광득,이진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도시는 세계화, 정보화의 영향으로 도시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도시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도시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는 도시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며, 다른 도시에서는 찾을 수 없는 도시의 이미지 구축의 근간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의 개념과 함께 도시브랜드의 구성요소 중 도시이미지의 인지적 이미지에 따른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도시라는 장소의 요소를 장소자산의 분류하였다. 도시 스토리텔링을 사례를 통해 일본의 구마모토 현의 경우는 상징적요인과 환경적 자산이 결합된 경우이고 필란드 산타마을, 울산 고래축제, 장성군 홍길동, 부산시 동래구, 부산시 중구 40계단은 문화적요인과 사회·문화적 자산의 결합이었다. 경남 통영, 제주도 추사 유배길, 군산 이성당의 경우는 도시구조물적인요인과 사회·문화적 자산이 결합된 형태로 도시의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례분류를 통해 도시이미지의 문화적 요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도시의 문화적 요인에 기반 한 스토리텔링은 타 도시에서 모방할 수 없는 그 도시만의 개성과 상징적 의미를 가지므로 도시브랜드의 차별화를 가지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부산시의 브랜드구축에 있어 스토리텔링 적용의 요인에 있어 문화적 요인 적용연구에 단초가 될 것이다. The city of the impact of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has intensified the competition between cities. City are trying to reaffirm the identity of the cit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This is an important basis for forming the city's unique identity, In other cities, you can not find the image of the city and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In this study, factors and the cognitive image of the city imag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urban brand with the concept of a city brand, place the elements of a place called City assets were classified. The city of storytelling through the case and the Kumamoto Prefecture of Japan, in the case of symbolic factors and environmental assets, when combined with the Finnish the Santa town of Ulsan Whale Festival, John Doe Jangseong-gun, Busan Dongnae, Jung-gu, Busan, 40 stairs and cultural factors, social and culturalIt was a combination of assets. Tong M, the case party the exile road Jeju Island Chusa,, Kunsan reason, you could see that the city's urban structure factor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sets in combined form storytelling made​​. The case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ultural factors in the urban image classification. An importan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of urban brand storytelling, based on the city's cultural factors, the personality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ity, but that can not be imitated in other cities, so will be able to sit down. In conclusion, this study on the a storytelling application of factors to build the brand of the future, Busan will be a clue to applied research and cultural factors.

      • KCI등재

        브랜드개발에서 나타난 학습자 중심의 디자인 사고 연구

        이광득,이진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브랜드 디자인개발 과정에서의 디자인 사고에 관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앞 연구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브랜 드개발에서 나타난 학습자 중심의 디자인 사고 내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시각 디자인 전공 3학년을 대상으로 브랜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전개한 디자인 사고의 내용을 프로토콜 분석방법 중 회상적 보고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①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여러 번에 걸친 자료의 정리를 통해 논리적인 사고가 전개되었으나 개인의 취향과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전개한 사례도 있었다. ②배경 및 사례조사의 내용이 스케치에 반영된 경우와 의도했던 방향과는 달리 특정한 내용만 스케치에 반영되기도 하였다. ③디자인의 표현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논리적 근거의 흐름에 집중한 그룹은 브랜드 심벌 디자인에서 더 직접적인 표현도 있었지만, 주관적인 개인의 능력에 의해 은유적으로 표현된 결과물도 있었다. ④디자인 스케치 과정과 CG 작업과정에서 이미 제작된 스케치와 CG 결과물들로 인해 시각적인 자극으로 정보 처리 과정에서의 외현화 과정에서와 같은 표현의 특징이 발생하여 스케치가 변화되거나 CG 작업물의 내용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디자인 영역 중 브랜드 디자인개발의 한정된 영역이지만 자료조사에서부터 제작의 전 과정에서 디자인 사고의 흐름을 관찰하였고 각 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사고에서 자기 주도적인 디자인의 피드백과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Research on Design Thinking in Brand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aims to explore the content of learner-centered design thinking, reflecting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conducted retrospective reporting methods among protocol analysis methods on the content of design thinking developed in brand design development process for third graders majoring in visual design. As a result, there were cases in which logical thinking was developed through the organization of data on multiple occasions in the design process, but it developed into subjective content based on personal taste and experience. Unlike when the contents of the two-background and case study were reflected in the sketch and the intended direction, only certain contents were reflected in the sketch. In the expression of 3 design, the group focused on the design process and the flow of logical evidence was more direct in the design of the brand symbol, but there was also the result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ubjective individual ability. 4 Visually stimulated by sketches and CG results already made in the design sketch process and in the CG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such as in the process of externaliza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have changed the sketch or the contents of CG work. Although this study is a limited area of brand design development among visual design areas, we observed the flow of design thinking in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from the data survey and found that feedback and modification of self-directed design is being made in learner-oriented thinking in each process.

      • KCI등재

        인포그래픽 시각적 요소 활용에서 나타난 디자인 사고 연구

        이광득 ( Lee Gwang Deuk ),이진호 ( Lee Jin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정보를 가공하고 조직화하는 제작자 중심에서 시각적 요소 활용과 디자인 사고의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크 버틴(JacqouesBertin)의 정보의 시각화 요소, 그래픽 요소를 정리하였다. 더불어 인포그래픽의 편집은 내용과 구성에 따라 시각적 요소를 적절히 배분하고 적용하는 관점과 틸(Teal)의 “디자인 사고란 확산적 사고를 기반으로 가능성을 도출하여 해결책을 찾는 사고법”이라는 것을 통해 인포그래픽 제작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기 위한 과정을 디자인 사고 중 하나라는 관점을 가진다. 사례연구에서 정보의 가공과 시각화 단계의 결과물을 대상으로 회상적 보고 중 하나인 리뷰의 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이포는 사용자에게 주목성을 이끌고, 아이콘 역할을 하여 세부적인 설명글을 이끌어주는 요소로, 평면도형은 정보의 내용을 구분 지어주는 요소와 시각적 저해요소로도 활용되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편집 레이아웃에서 단순한 요소와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색상은 정보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근한 요소들의 색상, 정보의 의미를 반영한 색상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개념적 정보가 시각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 요소의 활용과 편집의 복합적인 개념이 작용하겠지만 정보가 가지는 개념적 내용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시각적 표현의 결과물이 정보전달의 요소라고 할 때 디자인 제작 단계에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보의 조직화 시각화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최소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using visual elements and design thinking centered on makers who process and organize information. Jacques Bertin's visualization and graphical elements are summarized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he editing of infographic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ppropriating and applying visual elements according to contents and composition, and Teal's "design thinking is a thinking method of finding solutions based on diffuse thinking" The process to utilize the element has a viewpoint as one of design thinking. In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of the information were confirmed through review method, which is one of the recurring reports. As a result, the typo is a factor that leads the attention to the user and serves as an icon, leading to detailed explanations. The plan type is also used as a factor for discriminating the content of information and a visual obstacle factor. Illustrations were sometimes used as simple and metaphorical elements in edit layouts. The color is expressed by the color of the nearby elements and the color reflecting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conceptual information, a complex concept of utilization and editing of design elements will work, but the conceptual contents of information should be delivered efficiently. If the result of visual expression is an element of information transfer, it can be minimized by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on design thinking at design st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