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이경아(Lee Kyung A)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은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제 메타버스로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성을 ‘가상공간 오디세이’와 ‘아바타 라이프’로 설정하고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접점을 제시한다. 미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의의는 가상 플랫폼의 활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확장된 판타지와 증강현실 측면에서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 연구가 주축이 된다. 이에 따른 연구 사례로는 2021년 상반기에 연구자의 지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을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수업 결과물 5개와 외부 관찰 사례 1개를 제시한다. 6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연구 내용의 핵심은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을 고려한 주제로 구성된다. 세부 영역은 3D 아바타로 소통하는 화상 수업, VR, AR 기반 3D 뮤지엄 기획 및 건축, 위성 사진을 활용한 미적 체험, 언택트 360° VR 전시회, 가상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움직이는 명화 만들기이다. 연구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메타버스 온택트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은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소통에 효과적이었으며 융합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 유발, 매체 활용의 측면에서 새로운 자아 표현의 도구로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averse has become a hot issue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etaverse and to present the usability of metaverse in art education. The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rought a lot of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and continue to extend into a new area of metaverse.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re established as “virtual space odyssey” and “avatar life”, and their cross section is presented in relation to art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using metaverse in art educ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utilizing virtual platform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xpanded fantasy, and augmented reality. This is mainly an execution stud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n the education field. As for study cases, this study presents five class outputs after monitoring teaching-learning for students of the researcher and one external observation case executed in the first half of 2021. The core of the research content divided into six sub-areas consists of a subject that considers ontact on-line remote classes. Sub-areas include video classes communicating with 3D avatars, VR and AR-based 3D museum planning and architecture, aesthetic experiences using satellite maps, untact 360° VR exhibitions, virtual interior simulation, and making animated classical paintings. Results reveal that classes that utilize the metaverse ontact platfor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offer effective in intercommunication across time and space,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creasing enhancing student interests and motivation levels further suggests metaverse as a new device that allows self- representation by utilizing media.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실습생의 수업대화 연구

        이경면 ( Kyung My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교육실습생들이 수업 중 사용한 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업대화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실습생들은 이름 부르기, 설명 및 안내, 수업태도 요구 등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며 기능적인 수준에서 다양한 대화전략들을 사용하였으나 아동들의 사고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확산적 대화, 높은 수준의 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실습생들은 장애학생들에 대한 낮은 대화 기대와 학생들의 낮은 반응에서 오는 당혹감 등 부정적 느낌과 상황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신을 통제하기 위한 대화전략들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향후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수업대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중 장애아동들의 비언어적 단서를 읽고 언어화 함으로써 풍부한 대화환경을 유지하기, 다양한 상호적 수업대화를 경험할 수 있는 현장실습 등을 포함한 여러 노력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teachers` instructional conversation who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to increase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Student teachers are using various, direct and functional conversation strategies such as calling, explaining, guiding, and demanding attitudes, but not appeared divergent, and high level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Also, they are using strategies to control themselves in order to overcome negative feeling and confused situations caused by the low conversational feedbacks from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various efforts such as reading nonverbal cues, extending practice situations where the student teachers can experience various, and mutual conversation are needed.

      • KCI등재

        정세권의 일제강점기 가회동 31번지 및 33번지 한옥단지 개발

        이경아(Lee, Kyung-Ah)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31 and 33 Gahoedong, Seoul, which was developed by Segwon Jeong. In Gahoedong, he made south-north direction roads and south-north long blocks and built ㄷ-shaped hanoks which came from Utbangkeokeumjip of Gyeonggi style house like general hanok subdivisions. On the other hand, he divided blocks into lots differently and created various plans such as concentrated-room layout and h-shaped layout unlike other urban hanoks. He tried to improve traditional hanok and experiment new type hanoks in 31 and 33 Gahoedong and it gives the area its ow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질소 비료 처리 수준별 밀 종실 단백질, 수량과의 관계

        이경도 ( Kyung-do Lee ),정한용 ( Han-yong Jeong ),나상일 ( Sang-il Na ),안호용 ( Ho-yong Ahn ),류재현 ( Jae-hyun Ryu ),이병모 ( Byung-mo Lee ),손지영 ( Ji-young Sho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 기준 국민 1인당 밀 소비량은 약 31kg으로 58kg인 쌀 소비량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량에 비해 자급률은 0.8% 수준으로 매우 낮고,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밀 가격의 변동이 심화되고 있어 자급률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밀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재배면적 확대와 함께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 관리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밀은 용도에 따라 제빵용인 경질밀, 제과용인 연질밀로 나눌 수 있는데 경질밀의 경우 밀 품질이 종실 내 함유된 단백질 함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제빵용 밀 품종을 대상으로 질소비료 처리구별 수량 및 단백질 함량과 드론영상 식생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드론 영상정보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21년 10월 27일 해남군 해남읍 복평리에 휴폭과 파폭을 각각 180cm, 150cm로 포장을 조성하고, 제빵용 품종인 조경, 백강, 황금알 등 3개 품종을 파종량 16kg/10a로 파종하였다. 질소비료는 1) 기비로 9.1kg/10a, 2) 기비 3.6, 생육재생기 5.5kg/10a, 3) 기비 3.6, 생육재생기 2.75, 출수 후 1주 2.75kg/10a, 4)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3kg/10a, 5)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6kg/10a, 6) 기비 3.6, 생육재생기 5.5, 출수 후 1주 9kg/10a 시용 등 6처리로 처리하였다. 인산과 칼리는 각각 7.4kg/10a, 3.9kg/10a로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드론 항공영상은 회전익 드론(M200, DJI, China)에 R-G-B-RE-NIR밴드(REDEDGE-MX, MICASENSE, USA) 카메라를 부착하여 출수후 1주 경과된 2022년 4월 20일과 등숙기인 5월 17일 촬영하고 NDVI, GNDVI, NDRE 식생지수를 산정하고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와 식생지수를 선정하였다. 조졍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62,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6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백강밀의 경우 밀 수량은 4월 20일 NDRE 식생지수와 0.74,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1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황금알의 경우 수량은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83, 단백질 함량의 경우 5월 17일 NDRE 식생지수와 0.79의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대체로 밀 종실 단백질 함량은 등숙기인 5월 17일의 NDRE 식생지수와 0.71~0.86의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여 비슷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수량의 경우 NDRE 식생지수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인 것은 동일한 경향이었으나 품종별로 최고의 상관계수를 보이는 시기는 차이를 보였다. 밀 출수기 및 등숙기 드론 영상 식생지수와 수량, 단백질은 0.71~0.86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드론 영상 식생지수 기반의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연차간 반복 시험을 통해 밀 수량 및 단백질 추정을 위한 최적 시기 및 식생지수를 선정하고 추정 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