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1세 소녀에서 발생된 양성양장 기형종의 염전 1예

        이강우(KW Lee),최정애(JA Choi),설흥렬(HR Sul),김숙희(S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본병원에서 11세 소녀에서 발생된 양성양장 기형종의 염전 1예 경험하였기에 간략한 문헌고 찰과 아울러 증례를 보고하였다. A case of twist of benign cystic teratoma in a 11 year old premenacheal girl is reported and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is here in presented.

      • KCI등재

        임산부 분만일을 중심으로 한 모아의 임상적 관찰

        이강우(K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9

        1975년 1월부터 1978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내원 분만한 임부 3,352명을 대상으로 분만일을 중심으로 임상적 관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만시의 임산부의 연령 분포를 보면 최연소 임산부는 19세이었으며 최고령의 임산부는 47세의 범위이었으며 25세에서 29세군이 가장 많은 분만분포(56.56%)를 보였고 다음이 30세∼34세군(24.85%), 20세24세군(13.41%)의 순위이었다. 임산부의 분만회수는 초회분만이 54.78%, 2회분만이 29.47%이었고 3회분만이 11.34%의 순으로 내원 분만하였다. 초산부의 병원분만은 최연소 19세에서 40세이었고 초산부 연령층은 20세∼24세군(9.64%)에서 제일 많았고 경산부는 22세가 최연소 분만이었고 25세29세군(31.09%)에서 가장 많았다. 2. 재태기간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분만이 이루어진 주수는 39∼40주(40.36%)이었으며, 다음이 41∼42주이었고 정확히 40주에 이루어진 분만은 27.15%, 41주에서 21% 39주에서 41%가 분만되었다. 그러나 정확히 분만예정일에 분만한 예는 17.51%에 불과하였다. 3. 분만방식에 있어서는 질식분만이 84.07%(정상분만 68.11%, Vaccum Extraction 12.08%)이었고, 나머지는 복식분만(C/S, 15.93%)과 기타 방법(유도분만 및 감자분만)이 3.88%였다. 4. 신생아의 체중을 재태기간별로 보면, 37∼39주군에서 3,000∼3,999gm이 14.29로 가장 많았으며 4,000gm이상은 0.48%이었고 2,499gm 미만이 1.49%이었다. 만삭인 40∼42주군에서 3,000∼3,999gm이 48.86%로 가장 많았고, 4,000gm 이상이 3.94%이었으며, 2,499gm 미만이 0.93%이었다. 36주미만 군에서 주로 2,499gm 미만이 4.80%이었고 2,500gm 이상이 1.85%이었다. 또 43주 이상에서는 1예의 미숙아를 제외하고 모두 2,500gm(278예) 이상이었다. 5. 분만직후 신생아의 Apagar Score는 37주 미만에서 poor(1-3)가 24.7%이었고 moderate(4-6)와 excellent(7-10)가 75.24%였다.. 만삭(38∼42주)군에서는 poor가 1.24%였고, moderate와 excellent를 나타낸 것은 98.76%이었으며 분만 예정일 moderate와 excellent를 나타낸 것은 97.35%였다. 6. 조기 신생아 사망률 (early neonatal death rate)을 임신주수별로 보면 37주 이후에서부터 만삭에 이르기까지 11.0이었고 43주 이후에서 11.36, 그리고 33∼36주에서 75.18과 32주 미만에서 478.1로 32주 미만에서 현저히 많은 신생아 사망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이를 신생아 체중별로 보면 1,000∼1,499 The result of the clinical study of 3352 cases of the deliveri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Hospital from January, 1st. 1975 to September 31st 1978, were obtained as following : 1. The majority of pregnant women at delivery time were in the age group of 25-29 years(56.18%). 2. Among 3352 pregnant womens, over half of them were primipara(54.78%). 3. The spontaneous vaginal deliveries of the 3352 cases were 68.11%. and vacuum. or induction method tried were 12.36%. The vaginal deliveries were 84.07% among the all 3352 cases. The cesarean section cwere 15.93% among the all 3352 cases. 4. The fetal body weights 3000-3999gm. were 68.95% in 37-42wks. group and in the below 36 wks. group, the fetal body weight below 2499gm. were 72.19% among the 223 cases. 5. The poor apgar score of the full term delivery were 1.24%, which is less than that of over term delivery was 2.65%. 6. The early neonatal death rate in over 37wks. delivery group was 11.02, which was less than that of 33-36 wks. delivery group 75.18, and the highest early neonatal mortality rate was noted in 2000-2499gm. group(77.77) than that of 3000-4499gm. group(2.82).

      • KCI등재

        Sex Cord Tumor with Annular Tubules의 1례

        이강우(KW Lee),윤여림(YL Youn),설홍렬(HR Seol),구병삼(BS K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4

        저자는 11세의 소녀에서 유방증대, 액* 및 치부에 모발의 출현과 종야절제술 후 질출혈을 동반한 난소의 "Sex Cord Tumor with Tubules"를 1예 경험하였기에 본고를 고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The extremely rare "sex cord tumor with annular tubules"is histologically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simple and complex annular tubules. Multicentricity and calcification are common features. It is thought to arise from granulosa cells, but to grow in a manner more chracteristic of Sertoli cells. In some cases, estrogenic manifestations were present. The discovery of this type of tumor may be the first clue to the diagnosis of the Pertz-Jeghers Syndrome.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genital abnormalities in woman with this syndrome. We noted the tumor wgicg was identical with Scully`s files in a 11ywar-old female who had premature breast enlargement, and meergence of pubic and axillary hair. A case report was made with brief reviews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난소미분화 배세포종의 1예

        최영송(YS Choi),이강우(KW Lee),류승일(SI Yoo),남웅수(US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

        저자등은 28세의 부인에서 발생한 난소미분화배세포종의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이에 대한 무넌적고찰을 표기하였다. This is a case report of Dysgerminoma of ovary which is rare. A case of Dysgerminoma of left Ovary in 28 years old nulligravida presented, found postoperativel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concerned.

      • KCI등재

        임신을 동반한 난관염전 1 례

        주인명,김수자,이강우,이명희,김지수,윤재영,오현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0

        본 증례의 원인적 요소로서는 다발성 난소낭종과 그리고 임신으로 인한 골반울혈, 자궁비대 및 급격한 체위변동으로 인하여 발생되었다고 생각되며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pelvic pain is a common symptom encountered by the gynecologist. Torsion of the tube should always be considered in acute abdominal pain. Acute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can prevent of complications, such as necrosis of the ovary and tube, peritonitis, shock, and rarely death. Torsion of the fallopian tube have been repotered not infrequently, this complication in pregnancy seems to be relativel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torsion of the fallopian tube in pregnancy and report it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비면역성 태아수종 1 례

        주인명,김수자,이강우,이명희,박금민,오현애,윤대두,김선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저자들은 1990년 10월 28일 17세 초산부로부터 임신 44^+1주에 제왕절개술로 분만된 신생아에서 부검상 전신부종과 흉강, 심낭 및 복강내 삼출액 축적을 보였던 비면역성 태아수종 1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onimmune hydrops fetalis is defined as a pathologic and generalized abnormal accumulation of serous fluid in the entire body tissue and cavities unassociated with erythroblastosis. With the widespread introduction of immunoprophylaxis, there is a decline in rhesus isoimmunization and nonimmune hydrops fetalis (NIHF)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NIHF now accounts for 80% of all hydropic fetuses and its contribution to the perinatal mortality increased up to 3%. Now we report a case of NIFH with generalized edema, pericardial and pleural fluid accumulation and ascites found at autopsy. No other deformity was found.

      • KCI등재

        Holoprosencephaly를 동반한 Prune-Belly Syndrome 1 례

        주인명,김수자,이강우,이명희,오현애,윤대두,김선자,고영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7

        저자들은 다발성 선천기형 및 태아 곤란증의 의진하에 반복 제왕술을 통하여 분만되어 5분만에 사망한 신생아의 부검소견상 뇌의 심한 분화 및 형성부전을 보이는 Holoprosencephaly, 폐형성부전, 생식기 및 항문의 무형성, 비장, 췌장의 무형성을 동반한 요로기형과 복벽의 결손을 가진 prune-belly syndrome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une-belly syndrome is the most common term for congenital absence, deficiency or hypoplasia of the abdominal musculature accompained by a large hypotonic bladder, dilated and tortuous ureters and bilateral cryptochidism. This full-blown syndrome, which was associated with alobar holosencephaly with hydrocephalus, hypoplasia of lung and libs, markedly dilated cyst with hypertrophied muscular layer, mild hydroureter, polycystic kidney, colon atresia, agenesis of pancreas, spleen and genital organ and equinovalgus and genuvalgus, has been carefully observed in accordance with review of references.

      • KCI등재

        자궁내 태아사망을 초래한 제대협착 1 례

        주인명,김수자,이강우,윤대두,김선자,고영균,이운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저자들은 1993년 3월 29세 초산부에서 자궁내 태아사망을 초래한 제대협착 1례를 경험하였 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mbilical cord structure is a very rare complications of cord abnormalitis. An extreme focal deficieney in whartons jelly, torsion external circumferrential pressure, excessive fetal motion, and postmortem artifact due to autolysis beginning at the fetal end of the cord were suggested as underlying causes predisposing the the cord stricture. We were experienced one case of the intrauterine fetal death secondary to stricture of the umbilical cord in a 29-years primigravida, and this case was presented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Mayer-Rokitansky-Kuster-Hauser증후군 1 예의 경험

        강재성,주인명,김수자,이강우,김선자,고영균,이운희,유운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저자들은 본 병원 산부인과에서 선천성 질결손증 1례에 대하여 피부절편을 이용한 McIndoe 수술방법과 개복수술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of congenital absence of the vagina is known as 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he vagina and uterus, the presence of apparently normal tubes and ovaries, feminine appearance, normal female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a normal 46,XX karyotypes, and a feminine psychosexual orientation. Absence of the vagina results from an embryological arrest in the developme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ullerian system. Congenital absence of the vagina, first described in 1572 by Realdus Columbus, is a rare anomaly. It is encountered about once in every 4000 to 5000 gynecologic patients. We repor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McIndoe procedure and laparotomy in one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