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창선감의록』의 형제 다툼의 양상과 의미

        정안 ( Yoon Jeong-ah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은 『창선감의록』을 남성성의 관점에서 해석해 본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회로 진입하면서 가부장을 중심으로 가문을 운영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맏아들을 적장자로 삼는 제도가 자리한다. 『창선감의록』의 화춘과 화진은 이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되는데, 화춘은 생물학적인 우위를, 화진은 품성과 능력에서 우위를 보인다. 두 조건이 충족되어야 적장자로서 적합하고 가부장이 될 수 있는데, 화춘과 화진은 한 가지씩 결핍되어 있었다. 가부장인 화욱은 상춘정에서 화춘을 질책하며, 화진보다 능력과 품성이 못하다는 것을 공식화한다. 이로 인해 화춘은 적장자의 자리를 빼앗길지 모른다는 강박에 시달리게 된다. 이 강박은 화진과 그의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으로 표출된다. 그러나 화춘은 범한, 장평, 조씨에 의해 조종되는 것으로 형상화되면서 악인보다는 어리석은 인물로 묘사된다. 따라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뉘우친다면 다시 적장자로서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한편 화진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효를 구현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숨도 지킬 수 없고, 아내인 남채봉과 윤옥화에게는 무책임하다. 그러나 화진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오로지 효를 중시함으로써 화진의 이러한 문제를 가려 버린다. 화춘과 화진은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현하는 것 같은 화욱조차도 마찬가지이다. 화춘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요받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화욱의 폭력을 경험하고 화진을 강박적으로 괴롭힌다. 화진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춘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은 자신조차 돌볼 수 없을 정도로 무기력하며, 효에 경도되어 자신의 아내를 위험으로 내몬다. 두 형제는 물론 가부장인 화욱, 윤옥화, 남채봉, 심씨 역시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창선감의록』의 여성 인물은 물론 남성들 역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공모적이자 종속적이며 가부장제에 의해 억압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창선감의록』은 가부장제가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 두 형제를 희생시키는 서사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rprets Changseongameuirok(彰善感義錄) in perspective of masculinity. As Joseon(朝鮮) entered the Confucian society, it operated a family led by the patriarch. At the heart of it is a system in which the eldest son inherits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led to a conflicts between Hwachoon(花瑃) and Hwajin(花珍) in Changseongameuirok. Hwachoon has a biological advantage, and Hwajin has an advantage in personality and ability. They have to have both conditions to be patriarchal. By the way, Hwachoon and Hwajin each had one deficiency. Hwawook(花郁), the patriarch, rebukes Hwachoon at Sangchunjeong(賞春亭). And he formalizes that Hwachoon is worse at ability and personality than Hwajin. Because of this, Hwachoon suffers from an obsession that he may lose position of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obsession is expressed as bullying Hwajin and the people around him. However, Hwachoon is portrayed as a fool rather than a villain, being shaped as being manipulated by Beomhan(范漢), Jangpyeon(張平), and Ms Cho(趙氏). Therefore, if Hwachun realizes his mistake and repents, he can return to his position as legitimate and eldest son. Hwajin, meanwhile, embodies nearly impossible filial piety.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南彩鳳) and Yoon Ok-hwa(尹玉花).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 and Yoon Ok-hwa. However, Hwajin and other people around him only value filial piety, thus masking this problem. Neither Hwachun nor Hwajin are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Even Hwawook, who seems to embody hegemony masculinity, is like them. Hwachoon is forced to possess outstanding abilities and personality, he experiences Hwawook's violence and obsessively torments Hwajin. Hwajin appears to have excellent abilities and personality, but in fact, he is so lethargic that he can't even take care of himself, and is hard-nosed by filial piety that he puts his wife at risk. Not only the two brothers, but also the patriarchs Hwa-wook, Yoon Ok-hwa, Nam Chae-bong, and Ms Shim, are not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Both the female and male characters in Changseongameuirok are complicit and subordinate to hegemony masculinity. And they are suppressed by patriarchy. In this regard, Changseongameuirok can be defined as a narrative in which patriarchy sacrifices two brothers to maintain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슬람 극단주의와 강한 부족 전통의 통합작용이 아프가니스탄의 민족국가 건설의 혼란과 안보의 위기로서의 테러리즘과 마약 거래에 미친 영향

        민우(尹珉宇),김종화(金鐘和)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1

        이 논문은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계속되는 안정된 민족국가 건설의 어려움과 이와 관련된 이 지역 안보의 위기의 징후로서의 테러리즘과 마약 거래의 대두와 지속이라는 문제에 대해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 논문은 오늘날 보여 지는 아프가니스탄의 국가건설과 안보 위기와 관련된 도전들이 이 지역의 민족국가의 취약성과 민족과 근대적 민족주의의 미 정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라는 민족국가 단위의 위로부터 당기는 힘과 강력하게 남아있는 부족 전통이라는 아래로부터 당기는 힘이 함께 작용함으로써 민족과 민족주의가 형성되는 것을 막고 민족국가의 건설을 방해함으로서 이 민족국가의 힘과 작용을 무력화시키고 있다. 이렇게 약화된 카르자이의 민족국가는 폭력을 독점하지도 못하고 법 집행능력도 효과적으로 갖추지 못함으로써 권위와 정통성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의 민족국가의 장애는 부족 전통이 강한 지역 수준에서 테러리즘과 마약 거래가 번성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곧 탈레반 등의 테러집단과 마역 거래 집단 등의 비국가 폭력 행위자들의 세력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서 아프간도처의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의 생명과 재산이 상시적으로 위협받는 안보의 위기를 초래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 수준에서의 안보의 위기는 다시 중앙의 민족국가 건설의 강력한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이 글은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에서 보여 지는 민족국가 건설의 어려움과 테러리즘과 마약거래 같은 안보의 위협은 평면적인 이해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보다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민족과 민족주의 그리고 민족국가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사순(尹絲淳)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오륜으로 대표되는 유학의 윤리가 현대의 생활에 맞지 않아 총체적인 수정을 필요로 하지만, 논자는 그런 부분적 수정보다도 근본적으로 그 오륜을 대체할 이론을 유학에서 새롭게 찾아보고자 한다. 윤리행위를 위한 준비에 해당하는 수양에 있어, 과거 성리학자들이 철저히 행하던 ‘경공부敬工夫’는 본래적 자신을 회복하는 장점을 지녔다. 그렇지만 소통에 의한 타인과의 원활한 유대와 질서 수립이라는 윤리의 목적을 감안하면, 자신에 충실하면서도 타인과의 소통에 적합한 ‘성실한 마음가짐’을 갖는 데에 앞으로는 더 열중해야 할 것이다. 주체적 개인윤리의 문제에서, 공자가 애인愛人이라는 인仁의 본성을 ‘추기급인推己及人’하는 서恕의 방법으로 실현코자 한 사상은 오늘날에도 계승할 만한 윤리행위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다만 그 인의 구현으로서 서에 대해서는 막연한 동정심인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이기보다는 ‘호의적好意的 배려 配慮’라는 이타利他 지향의 의지(善意志)로 이해하여 실행토록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 호의적 배려로부터 ‘타인의 인격 존중’에 기초한 공경과 겸양의 예禮가 나오고, 그 배려에 대한 부당한 거역과 냉대에서는 ‘수오羞惡’로 인한 행위의 가부 정당성으로서 의義가 또 도출된다는 설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을 바탕으로 한 그 개인윤리 덕목들의 새로운 수립이 마침내 과거의 오륜을 대체하고서도 그 주체적 덕성 윤리의 근본 의도를 실현하는 결과에 이른다. 객관적 사회윤리의 문제에서는 먼저 예의 새로운 개정이나 보완이 필요한데, 그 개정과 보완은 시의성과 관습화의 추세 등을 고려해 합리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 객관적인 의義의 설정이 문제이다. 그 문제의 접근은 의가 원리화된 ‘의리義理의 용법’에 배어있는 사유의 검토로써 가능하다. 첫째 친근의 정감에 의한 의리의 용법은 의가 엄격히 공정公正한 성격을 띠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 공정성은 천리天理로 나타내는 논리적 타당성과, 실사實事에서 구시求是하는 실증적 엄정성을 지녀야 한다. 둘째, 유학은 위아설爲我說의 이기를 겸애兼愛보다도 더 배척한다. 박시제중과 통하는 ‘공익公益’을 곧 의와 의리로 간주하는 사상이 유학이다. 셋째, 애인으로서의 인의 구현은 본래 덕치 등의 방법으로 세계 인류의 범위로 행해지길(平天下) 목표로 했던 만큼, 그 세계인류 범위로 확대된 ‘박애博愛 정신’의 발휘이다. 박애의 실천이 곧 인을 구현하는 의리이다. 넷째, 박시제중의 공익은 실상 화和의 수단이며, 화는 이런 윤리행위의 종국 목표가 된다. 공익에 의한 공생지향의화는 결국 민주주의 정신과도 통하는 ‘공화共和’가 아닐 수 없다. 이상을 종합하면, 유학에는 근원적으로 공정ㆍ박애ㆍ공익ㆍ공화라는 의, 곧 ‘정의라고 번역될 사유’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런 것들을 깨닫는 데서 유학의 윤리사상은 그 현대적 유용성을 확인하게 된다. 이상의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또한 유학 윤리사상의 신실학新實學으로서 그 현대적 변환에 해당한다는 것이 논자의 판단이다.

      • 영조번역의 기법에 대하여

        명화(尹明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8 중국조선어문 Vol.216 No.-

        언어는 문화의 부호이자 문화를 담는 그릇이며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꾸는 과정이 바로 번역이다. 번역을 조금이라도 해본 사람이면 번역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번역은 원문에 충실해야 한다. 그렇다고 하여 원문의 단어, 구절들을 그대로 옮겨 바꾸면 안된다. 번역을 잘하려면 출발언어와 도착언어를 잘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번역방법과 번역기법에 능숙하여야 한다. 본 론문에서는 영-조번역과정에서 쓰인 대표적인 번역방법 (직역법, 의역법, 음역법)과 일반적인 번역기법 (첨가법, 생략법, 반복법, 전환법, 분해법, 설명법)을 구체적인 번역례제와 결부하여 설명, 분석하였다. 번역 방법과 기법에 대한 연구는 번역리론연구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며 영-조번역리론을 풍부하게 하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앙정부 국정과제점검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

        수재(尹秀栽) 한국정책과학학회 201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7 No.3

        국정과제점검제도는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주요 정책 및 사업이 목표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및 모니터링(M&E)제도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정부 국정과제점검제도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주요정책 및 사업에 대한 점검ㆍ평가제도인 연두업무계획점검 및 핵심과제평가와의 비교를 통해 각 제도의 차별화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점검.평가제도의 차별성과 연계성의 2개 차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점검ㆍ평가제도의 차별성은 1) 평가주체, 2) 평가방법, 3) 평가시기, 4) 평가대상, 5) 평가결과의 심층성의 5가지 유형별로 분석한다. 점검.평가제도의 연계성은 1) 평가제도간 환류가 상호 연계되는지 여부와 2) 평가제도간 일관된 평가지표를 통해 연계되는지 여부의 2가지로 분석된다. 분석결과 국정과제점검은 다른 점검ㆍ평가제도와 시스템적인 차별성이 낮았으며, 점검대상이 세부실천과제(하위차원)수준에 국한되어 있고, 분석대상이 차별화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녔다. 또한 점검지표가 진척도에 국한되어 있고, 점검결과에 대한 분류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월별 모니터링 및 분기별 중간평가에서도 이행점검에만 집중해 성과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수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두업무계획점검 및 핵심과제평가결과와의 환류가 체계적이지 않고, 평가지표의 일관성도 낮아제도 간의 연계성도 낮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정과제점검의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며, 다른 점검ㆍ평가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성 강화를 위해 3개 점검ㆍ평가제도간 차별화 및 연계성 강화를 위한 상호 재조정이 요구된다. National Agenda Review System(NARS) works as a system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major policy and projects in addition to produce important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national management of the President.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NARS, the study intends to provide some points of improvement. It attempts to suggest ways to differentiate and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other systems of review/evaluation: the new year"s review of the operational plan and the evaluation of key projects. It analyzes the two levels of differentiation and linkage with the two other sys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differentiation, it is classified into 5 types: main agent of evaluatio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period, subject of evaluation, in-depth of evaluation results. The linkage of the systems are analyzed based on the linkage of the feedback of the systems and the linkage of the evaluation indices for coherence of the systems. NARS, as a result of analysis, was found out that it has low systemic differenti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review and evaluation systems, its subject for review is limited to low level of the projects, and its subjects for analysis was not differentiated. Its review indices are restricted to the level of checking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review results were not ready. Focusing only on checking the implementation not only on the monthly monitoring but also on the mid-term evaluation, it could not carry out in-depth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t has no systematic feedback with the new year"s review of the operational plan and evaluation of key projects. It also has low linkage with other systems because of the low level of coherence of the evaluation indices.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mprove systemic revisions of the NARS. It is also asked to coordinate with other systems to strengthen the differentiation and linkages among the 3 review and evaluation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