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물 유지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유지관리 운영실태 비교분석 -

        윤효진,Yoon, Hyo-Ji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현행 유지관리제도의 실효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각 이해관계 주체 및 유지관리 목적별로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보다 빨리 건축물 유지관리를 제도적으로 의무화하여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유지관리 제도적인 운영실태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제도적 개선방향 및 제도운영상의 과제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결과, 건축물 점검이후의 대응방향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목적에 충실한 점검항목의 개선, 효율적이고 공정한 판정기준의 설정, 소유자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한 합리적 점검기간의 조정, 설비 등에 대한 전문가 참여방안의 모색, 건축물 유지관리가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전문유지관리업체에 대한 차등적 적용방안의 모색 등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각각의 과제해결을 위한 접근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건축물 유지관리의 근본적 취지에 충실한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llenges and suggest regulatory improvement strategy by investigating the Japanes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which had been conducted for decades. The efficiency and problems of the current building maintenance system of Korea are analyzed by stake holders and purpose of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several strategies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building maintenance. They include check list focusing on the purpose of maintenance, efficient and fair criteria, rational checking period considering owner's budget,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s in facilities, and promotion of professional companies particip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challenges should be solved systematically rather than individually.

      • KCI등재

        도시부 도로안내표지의 지명정보 전달체계 실태분석 - 경기도 수원시를 중심으로 -

        윤효진,박미소,Yoon, Hyo-Jin,Park, Mi-So 한국방재학회 200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6 No.1

        도시지역의 확산과 교통망의 발달로 도로안내표지의 효율적 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고 안내체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안내지명의 선정원칙과 안내체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현재 수원시의 도로표지 안내정보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용자들이 목적지를 찾아감에 있어 적절한 정보들을 제공받고 있는지 또한 제공된 정보들은 체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용자가 찾고자하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도로표지판의 안내정보의 적절성과 연계성 및 출현빈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수원시청을 최종목적지로 하여 주변도시 접경부 안양시, 오산시, 안성시, 용인시, 성남시 등지에서 수원시청까지 6개의 간선도로에 설치된 도로표지판 중 방향예고표지와 방향표지, 시설안내표지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로표지규정의 안내지명선정 원칙에 의한 랜드마크나 1등급으로 분류되는 지명들은 상대적으로 찾기가 다소 용이하나 그 외의 이용자가 원하는 지명을 알아내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안내지명만으로 현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제시된 안내지명이 직진방향에서 만날 수 있는 지명뿐 아니라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해야만 만날 수 있는 지명일 경우 방향을 알 수가 없어 비효율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게다가 선정된 안내지명마저도 출현빈도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고, 표지간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도로이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road directions through road signs for expanding cities and traffic networks. Improving efficiency of direction guidance information from road signs not only requires criteria for but also systematic approach to selecting place names that appear on road signs. As such, this paper looks at road direction information from existing road signs that leads to Suwon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ystem of road signs provides efficient, systematic and continuous direction information for road users to easily reach their destination. In this paper, Suwon's city hall is set up as the final destination, which is linked from five other cities, Anyang, Osan, Ansan, Yongin and Seongnam. The paper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continuity and suitable number of road signs for direc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oad signs between these 5 cities and Suwon with respect to direction, direction advance notice and direction guidance. It is found that drivers cannot easily find the needed information on their destination from the existing road signs and that continuity of selected place names that systematically appear on road signs is insufficiency. In addition, direction guidance on road signs is problematic, becaus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road signs is not adequate and the continuity of road signs is not effective. Moreo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local direction guidance for immediate destinations on road signs with respect to turning left or right or going straight.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읽기이해 관련 요인

        윤효진(Hyo Jin Yo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fluency skills to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grades. 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each type of fluency-word fluency and passage fluency-predicted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grades. Methods: Sixty children in Grades 1 to 2 and 77 children in Grades 3 to 4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children scored 71 or higher on the nonverbal intelligence test. Participants were measured in read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word reading fluency, and passage reading fluenc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of accuracy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word recognition, accuracy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ord recognition, word reading fluency, and passage reading fluency would contribute to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For both grade groups, reading fluency scores strongly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fluenc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across grades. In Grade 1 to 2, passage reading fluenc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while word reading fluency was the best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Grade 3 to 4. Conclusions: The result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transparent orthography that reading fluency was a stronger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than reading accuracy. Reading fluency measure might contribute to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 SCOPUSKCI등재

        품종별 청고추의 항산화 효과 및 유방암 세포주에서의 세포 사멸 연구

        윤효진(Hyo-Jin Yoon),이슬(Seul Lee),황인경(In-Kyeong Hwang)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품종별 green pepper에 있는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고추에 주로 함유된 flavonoids인 quercetin, luteolin, apigenin의 양을 측정하고, 이들로 인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이에 국내산 green pepper의 flavonoids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의 항산화 및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예방에 있어 잠재적인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풋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 오이고추, 할라피뇨 5종의 기능성 성분으로 flavonoids 와 vitamin C 함량을 측정한 결과, 주요 플라보노이드는 luteolin, quercetin, apigenin 이었으며, 대부분의 고추에서 luteolin의 함량이 가장 높고, quercetin, apigenin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5가지 품종의 고추 가운데 꽈리고추에서 luteolin, quercetin, apigenin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꽈리고추가 가장 높았으며, 청양고추, 할라피뇨, 풋고추, 오이고추의 순으로 나타났다. 5가지 품종의 green pepper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양은 할라피뇨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다음으로 꽈리고추가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으나, 품종간의 유의적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꽈리고추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할라피뇨가 가장 적게 측정되었다. Green pepper 추출물의 DPPH, ABTS 자유기 소거 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품종별로 살펴보면, 5가지 품종 중에서 꽈리고추의 소거 활성능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Green pepper 추출물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 MCF-7과 MDA-MB-231 세포를 사용한 결과, 두 세포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성 성분과 함께 라디칼 소거 활성능이 가장 좋았던 꽈리고추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IC50 값(MCF-7: 826.07 μg/mL, MDA-MB-231: 719.58 μg/mL)을 나타내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꽈리고추 추출물을 처리하여 유방암 세포주 MCF-7에서의 apoptosis 유도 단백질을 측정한 결과, Bax, cleaved caspase-3, PARP가 발현되어 꽈리고추 추출물이 apoptosis 형태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green pepper에는 luteolin, quercetin, apigenin의 flavonoids를 비롯하여 vitamin C와 같은 기능성 성분과 페놀 화합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꽈리고추는 5가지 품종의 green pepper 가운데 가장 우수한 항산화 및 항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poptosis 형태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아 유방암의 치료 및 예방에 잠재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in vitro 실험의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in vivo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lavonoid,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MDA-MB-231). Four varieties of Korean green peppers (KP: kkuri pepper, PP: phut pepper, CP: cheongyang pepper, OP: ohi pepper) and one foreign green pepper (JP: jalapeno) were used. The contents of luteolin, quercetin and apigenin, which are abundant flavonoids in green pepper, were the highest in KP. Also,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s were the highest in KP, followed by CP, JP, PP, and OP (KP: total phenol 13.29±0.45 mg GAE/g D.W., total flavonoid 7.02±0.13 mg QE/g D.W. In DPPH ·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KP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sult of viabilit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KP ha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peppers have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can be a possible candidate f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 KCI등재후보

        사옥 저층부 공간디자인과 기업이미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윤효진 ( Hyo Jin Yoon ),김주연 ( Joo Yon Kim ),이종세 ( Jong Se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1

        (연구배경 및 목적)사옥은 업무공간의 제공과 함께 기업의 상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저층부의 공간은 기업의 홍보와 효과적 마케팅으로 기업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사옥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만큼 저층부 공간의 디자인이 기업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저층부 공간의 효과적 역할과 함께 효율적 공간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사옥 저층부의 개념과 함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간적 특성을 정리한다. 또한 사옥 저층부의 공간디자인에 따른 기업이미지의 변화 및 공간 마케팅 요소와의 상관성을 제시하고, 공간 프로그램을 통한 공간 마케팅에 대해서 ‘제3의 공간’을 바탕으로 정리한다. 이를 토대로 2000년대 이후의 작품들 중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국내.외 대기업 건축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 및 검증의 단계를 거친다. (결과)사옥의 저층부 공간은 기업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마케팅의 효과적인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각 기업의 이미지에 맞는 공간 프로그램 계획의 활성화와 새롭고 적극적인 공간디자인의 시도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An office building provides working spac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ymbolism of a corporate. Especially, low level space of it significantly serves to enhance corporate image through publicization and effective marketing for corpo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sign of low level space contributes to forming corporate image and suggest effective role and efficient space design of low level space, as the importance of office building is gradually increased. (Method) At first, concepts of office building low level as well as its public features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s are arrang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Moreover, change of corporate image depending on space image of office building low level and its interrelationship with space marketing factor are suggested. Therefore, steps of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undergone by selecting construction cases of conglomerates home and abroad, which are determined to have representations among all works created since 2000s.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low level space of office building is an effective measure of space marketing for enhancing corporate image. It is expected to promote program plan suitable for each corporate image and attempt to design new and positive space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외 건축물의 유지관리 운영실태의 비교분석에 의한 건축물 유지관리 제도화 방안 연구

        윤효진(Yoon Hyo Ji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6D

        본 연구에서는 선진외국의 건축물 유지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비교분석하여 우리의 건축물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명확히 하고 제도적 개선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례분석 대상 국가로서는 근대적 건축 및 도시계획제도를 우리보다 먼저 건축활동 및 도시공간에 반영하고 있는 미국 및 영국 캐나다 독일 일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건축물 유지관리 관련제도는 각 국의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대응은 필연적 과제이지만 먼저 우리의 사회경제문화적 배경 및 건축문화 도시환경을 기반으로 한 명확한 정책과제의 설정에 따른 관련제도의 정비가 필요하고 건축물 유지관리에 대한 접근의 주된 시각은 건축물의 기능 및 안전을 보장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도시환경 및 건축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적 유도관리기법 및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장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의무화에 의한 어느 정도의 강제적 수단과 함께 자발적 의지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건축물 유지관리제도의 정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Under the'Sustainability Paradigm' the building maintenance system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more efficient maintenance means more sustainable building. This paper aims at improving present building maintenance system by comparing with the foreign developed countries' systems. The comparing countri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building maintenance. As the results 4 countries including USA England Germany and Japan become the benchmark. The results show that building maintenance regulations are various by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ough building maintenance policy must be established first of all the related regulations and policy targets are prepared before the enforcement of maintenance regulation. The results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1. Building maintenance must be controled under the condition that a building can guarantee the safety of people and function of it. 2. Building maintenance system should contribute to the desirable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culture.

      • KCI등재

        고온 환경에서의 전투차량용 BLDC 모터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윤효진(Hyo-Jin Yoon),남윤욱(Yoon-Wook Nam),박경식(Kyoung-Sik Park) 한국기계가공학회 2018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7 No.5

        Combat vehicles require high levels of maneuverability, firepower, armor, and operability. A high-performance power system is required for optimal maneuverability. The fuel pump which supplies fuel stably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this. The fuel pump consists of a pump part, a motor part, and a control part. It is equipped with a BLDC motor. Numerous failures of the fuel pump occurred during vehicle operation when exposed to vibration, shock, and high temperature. The cause of failure was confirmed to be stator slip of the BLDC motor. Stator slip is a consequence of the interference loss between the stator and the housing of the motor part in a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failure of the fuel pump was solved through size control of the motor housing and the stator. We performed vibration testing at high temperature for verifi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ombat vehicl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추사고택(秋史古宅)의 풍수환경(風水環境)과 공간구성(空間構成)의 특징(特徵)

        윤효진 ( Hyo Jin Yoon ),박정해 ( Jeong Hae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본 연구는 추사고택의 입지에 반영된 특징적인 모습을 전통적 입지관이라 할 수 있는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공간구성에 있어서 양택론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동·서사택의 구성과 특징 그리고 혈처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추사고택은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이 풍수이론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사고택은 김한신이 영조로부터 직접 하사받았기 때문에 왕실문화가 곧바로 양반 사대부가에 이어져 왕실의 입지선정기준과 공간구성의 노하우가 당시 조선상류사회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풍수는 단순히 발복론에 매몰되어 있던 것이 아니라, 입지와 공간구성을 통해 그 곳에 사는 사람을 더욱 빛나게 하는 역할과 아울러, 주변 환경이 보다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합리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eng shui feature that was the traditional positioning idea reflected from the House of Chus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xt from theory of Dongsataek·Seosataek which is a kind of Yang-Taek Theory in Feng shui and the acupuncture point for propitious building position is also examined. In the House of Chusa, it wa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selec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had been resulted from the base of Feng shui theory. And how the Feng shui influenced by royal family was utilized throughout high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could be verified. Because the House of Chusa was directly granted by King Yeongjo when Kim Han-shin became a son-in-law of the king, royal family culture was able to intactly affect household of the gentry, and the condition of location selection and knowhow of spatial composition was also passed down. This means that Feng shui was not just used as means of favorable change in fortune but used to reveal the social status of the house resident through its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nd it is clear that Feng shui was used to suggest the rational direction with which semantic value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 was gr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