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NDMP를 사용한 디스크 기반 백업 소프트웨어

        윤종현(Jong Hyeon Yun),복경수(Kyoung Soo Bok),유재수(Jae Soo Yoo)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1 No.6

        최근 데이타 통신 기술 및 저장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대용량의 데이타를 가공 처리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NAS와 SAN 등의 보급으로 저장 매체의 대용량화가 가속화되면서 대용량의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백업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백업을 위해서 제안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인 NDMP를 이용하여 디스크 기반 백업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백업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백업 및 복구 타입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장치들을 관리하고, NDM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디스크 백업을 지원한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storage devices,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process a large amount of data. As the size of storage media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the storage technologies such as NAS and SAN, the efficient backup for a large amount of data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disk based backup software that fully supports NDMP(Network Data Management Protocol) which is an open standard protocol for network based backup. The proposed backup software supports various types of backup and restore. In addition, it manages multiple network connected devices and supports a disk based backup by extending the NDMP protocol.

      • KCI등재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을 위한 백업시스템 설계 및 구현

        윤종현(Jong Hyeon Yun),이석재(Seok Jae Lee),장수민(Su Min Jang),유재수(Jae Soo Yoo),김홍연(Hong Yeon Kim),김준(J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1·2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은 기존 블록기반 저장시스템과 달리 데이타 접근 방법, 데이타 속성 정보, 데이타 보안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논리적인 객체를 데이타 저장단위로 한다. 객체는 블록과 달리 크기의 제약이 없고, 저장장치의 내부 저장 구조에 종속적이지 않다.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은 이러한 객체 저장구조를 기반으로, 여러 저장장치에 쉽게 객체를 분산 처리해 데이타 입출력 성능을 향상시키고, 무제한적인 확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의 오류 복구를 위한 백업 기술은 기존 백업 기술을 그대로 활용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백업 시간이 길고,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의 특성을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잘 활용하여, 객체기반 저장시스템에서 높은 백업 성능과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객체기반 백업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백업시스템은 블록 또는 파일이 아닌 객체를 백업의 기본 단위로 하여 기존 백업시스템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오류 발생 시 복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Recently, the object based storage devices systems(OSD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They are different from existing block based storage systems(BSDs) in terms of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of the OSDs is an object that includes the access methods, the attributes of data,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so on. The object has no size limit and no influence on the internal storage structures. Therefore, the OSDs improve the I/O throughput and the scalability. But the backup systems for the OSDs still use the existing backup techniques for the BSDs. As a result, they need much backup time and do no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SD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new object based backup system that utilizes the features of the OSDs. Our backup system significantly improves the backup time over existing backup systems because the raw objects ar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ackup devices in our system. It also restores the backup data much faster than the existing systems when system failures occur. In addition, it supports various types of backup and restore requests.

      •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확장성을 고려한 그리드 기반의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

        윤종현(Jong-hyeon Yun),여명호(Myung-ho Yeo),김유미(Yu-mi Kim),이석재(Seok-jae Lee),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1

        최근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비용과 질의처리비용 감소를 위한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은 센서가 센싱한 데이터를 특정 센서 노드로 보내 저장하는 기법이다. 기존 연구들은 센서들에게 배정하는 데이터 주소 공간의 불균일한 배치, 핫스팟 발생에 따른 노드의 저장 부하 집중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그리드 기반의 새로운 데이터 중심 저장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센서들에게 균일하게 데이터 주소 공간을 배정하는 주소 지정 기법과 핫 스팟 영역의 저장 부하를 쉽게 분산 시킬 수 있는 저장 공간 확장 기법을 제안한다. Recently, several data centric storage(DCS) system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the costs of communication and query processing. In DCS, a sensor sends sensing data to a specific node that stores the data. Previous researches have problems that data-address spaces are assigned to sensors ununiformly and the overhead of storing data occurs at hot-spot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grid-based DCS scheme to solve the problems. In our grid-based DCS scheme, the address assignment method that assigns data-address spaces uniformly to sensors and the storage extension method that distributes the overhead of storing data to sensors at the hot-spot areas are proposed.

      • KCI등재

        대용량 분산파일시스템을 위한 비공유 메타데이타 관리 기법

        윤종현(Jong Hyeon Yun),박용훈(Yong Hun Park),이석재(Seok Jae Lee),장수민(Su-Min Jang),유재수(Jae Soo Yoo),김홍연(Hong Yeon Kim),김영균(Young-K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6 No.4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대부분의 클러스터 기반 분산파일시스템은 파일에 대한 읽기, 쓰기 작업으로부터 메타데이타의 처리를 분리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파일시스템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권한 정보, 파일의 실제 데이타가 저장된 저장소의 위치 정보, 파일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 유지 등 메타데이타와 관련된 정보 및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별도의 메타데이타 서버가 관리한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의 메타데이타 관리기법들은 데이타의 분산 관리 및 입출력 성능만 중점을 두고 설계되어 있어 파일시스템 확장에 따른 메타데이타 입출력 성능 및 확장성에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분산파일시스템에서 보다 나은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수 있는 비공유 메타데이타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메타데이터 분할 기법으로 사전식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분할 기법을 지원하기 위한 부하 분산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관리 기법은 기존 메타데이타 관리기법과 비교하여 확장성 및 부하 분산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Most of large-scale distributed file systems decouple a metadata operation from read and write operations for a file. In the distributed file systems, a certain server named a metadata server (MDS) maintains metadata information in file system such as access information for a file, the position of a file in the repository, the namespace of the file system, and so on. But, the existing systems used restrictive metadata management schemes, because most of the distributed file systems designed to focus on the distributed management and the input/output performance of data rather than the metadata. Therefore, in the existing systems, the metadata throughput and expandability of the metadata server are limi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on-shared metadata management scheme in order to provide the high metadata throughput and scalability for a cluster of MDSs. First, we derive a dictionary partitioning scheme as a new metadata distribution technique. Then, we present a load balancing technique based on the distribution technique. It is show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at our scheme outperforms existing metadata management schemes in terms of scalability and load balancing.

      • 한국건강관리협회 임상병리검사결과 참고범위 설정 및 표준화 (3회차)

        이갑노,윤종현,조한익,정후근,박현모,윤청하,김상인,Lee, Gap-No,Yun, Jong-Hyeon,Jo, Han-Ik,Jeong, Hu-Geun,Park, Hyeon-Mo,Yun, Cheong-Ha,Kim, Sang-In 한국건강관리협회 2004 한국건강관리협회지 Vol.2 No.1

        Background : Since 2001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has attempted to establish her own reference valves that can be used in her all fifteen branch laboratories instead of using those adapted from the published data or there commended data by the reagent companies supplied as inserts. However, the previous two reference values derived from the statistics(year 2001 and 2002) were need to adjust to apply to actual practice. Besides there was an unavoidable situation that the reagent has to be changed to other companies in 2002 that creates another statistical problem. Subsequently, the third attempt to derive the reference ranges of tests in KAHP to solve those problems and define common)v acceptable reference ranges was done and and reported here. Methods : Al1 the results performed during January 2, 2003 through September 30, 2003 were collected in Excel tile format. All the data include dth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age and sex. The age was grouped in six; baby(0-3y), children(4-l2y), adolescent(13-l8y), adult(19-S4y), younger elderly (65-79y),old elderly(oyer 80y), with references of statistics in medical informatics and WHO classificatio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AS 6.04 for-Gaussian distribution as the previous two occasions. None of the tests showed Gaussian distribution. These procedures had been repeated twice or three times after trimming out the results lying outside three standard deviations. Though, all the tests showed non-Gaussian distribution. Subsequently, the reference ranges were defined in the range from the point of lower 2.5% to the point of higher 97.5 %. And in case the lower range could be "0", the reference ranges were defined in the range of 0 to 95%.Results : The reference ranges of most of 56 test items were newly assigned. Also with adaptation of the recommendation of WHO etc. on fasting blood sugar, hemoglobin, cholesterol. Among these there were eight tests that needed reference ranges by the age groups and nine tests by the sex. Conclusions : The third attempt will credit more the reference range of all15 laboratories of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which will be essential part of the better service to the patient and clients to visit KAHP.

      • KCI등재

        Hypereosinophilic Syndrome with Hepatic Involvement in a Young Child

        구현우,홍성숙,윤종현,Gu, Hyeon-U,Hong, Seong-Suk,Yun, Jong-Hyeon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3

        과호산구 증후군은 원인을 알 수 없이 많은 수의 호산구가 여러 장기에 침윤되는 질환이며, 주로 침범되는 장기는 심장, 피부, 폐, 간 , 신경계, 그리고 소화기관이다. 이 질환은 주로 중년의 남자에서 생기며 특징적으로 말초혈액의 과호산구증을 보인다.15세 이하의 어린이에서는 거의 보고된 적이 없고 보고된 증례들도 남자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다. 저자들은 유소아에서 과호산구 증후군이 간을 침범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방사선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을 보고하고자한다. Hypereosinophilic syndrome, whose etiology is unknown, involves the infiltration of various organs by a large number of eosinophils. The sites of involvement are the heart, skin, lung, liver, nervous system, and gastrointestinal tract. The disorder occurs mostly in middle-aged men and is characterized by striking peripheral eosinophilia.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in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and the disease also shows a predilection for males. We report a case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with hepatic involvement in a 17-month-old girl, and correlate the imaging features with the pathologic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