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윤정호,이재필,김두환,Youn, Jeong-Ho,Lee, Jae-Pil,Kim, Doo-Hwan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 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sim}2.0mm$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sim}90%$, 펄라이트가 $3{\sim}40%$, 토탄이 $1.5{\sim}20%$, 피트모스가 $1.5{\sim}20%$, 버미큘라이트가 $2{\sim}25%$, 제오라이트가 $1{\sim}20%$ 및 숯이 $1{\sim}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 couple of commercialized patented technologies in the area of turfgrass production. All sod production related pat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Dec. 20, 1948 to Dec. 30, 2005 were reviewed. Details of two patents (patent No. 0434389 and 0478194) were inclu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the domestic patents on sod production was the technique using natural and plastic films. Information on topsoil mixtures was also reviewed form foreign patents. 2. Patented multi-purpose sowing equipment can evenly mix soil, sand, fertilizer and other soil conditioners with seed, stolen and rhizome of turfgrass. 3. Patent on cool-season turfgrass sod production provide topsoil mixture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for sports field, landscape area and roof garden.

      • 복합잔디의 구성을 위한 초종 선택

        윤정호,이재필,김두환,박성미,이상국,Youn, Jeong-Ho,Lee, Jae-Phil,Kim, Do-Hwan,Park, Sung-Mee,Lee, Sang-Kook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1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이 되어 이용이 되어왔다. 그러나 여러가지 단점이 나타남으로 복합잔디는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으며 최근에 그 이용도가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복합잔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고 이에 따라 국내에서의 복합잔디의 활용도를 위해 많은 연구를 거쳐 검증이 요구 되는 시점에 있다. 이에 본 실험은 인조잔디와 천연잔디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복합잔디를 위한 천연잔디의 초종을 선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인조잔디가 2006년 10월 14일 경남 합천군 합천읍 서산리에 위치한 주식회사 한울의 농장에 식재 되었다. 코오롱에서 제조한 광엽형(엽폭 12 mm)과 세엽형(엽폭 2-3 mm)의 인조잔디로 사용 되었으며 천연잔디는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그리고 Kentucky bluegrass와 Perennial ryegrass의 Mixture 등이 사용되었다. Kentucky bluegrass가 turfgrass quality에서는 Tall fescue와 KP Mixture를 비교했을 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면피복률에서는 더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지표면 온도가 상승함에도 Kentucky bluegrass는 인조잔디와 혼합하여 사용되었을 때 Turfgrass quality와 지면피복률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Synthetic turfgrass was developed for longer durability than natural turfgrass. As synthetic turfgrass use increases, disadvantage was exposed and composite turfgrass was designed to reinforce disadvantage of synthetic turfgrass. However, A few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omposite turfgrass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lect a turfgrass species to maximize practical use of composite turfgrass. In 14 Oct. 2006 synthetic turfgrass wa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center in Hanul Sports Turf, Inc. located Hapcheon-Gun, Gyunggnam province. Kentucky bluegrass, Tall fescue, and a mixture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were used to combine with synthetic turfgrass. Wide and narrow types of synthetic turfgrass were used. As temperature increase, coverage of tall fescue and the mixture reduced but Kentucky bluegrass had the best result of turfgrass coverage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urfgrass quality among types of turfgrass.

      • 국내외 잔디 특허기술 및 품종 특허의 현황 I

        윤정호,이재필,김두환,Youn Seong-Ho,Lee Jae Pil,Kim Doo Hwan 한국잔디학회 2005 한국잔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특허 및 품종 관련특허의 현황을 분석하여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현황과 사업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48년 11월 20일년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디 산업 분야별 국내 특허출원 건수는 잔디비료에 대한 내용이 866건으로 가장 많았다. 잔디 비료에 관한 특허 출원 내용은 잔디 액비, 기비, 추비에 관한 내용이었다. 2. 국가별 특허출원 총 건수는 일본이 1,565건으로 미국의 1,427건보다 많았다. 특히 외국의 특허출원은 우리나라와 달리 잔디생산에 관련한 품종개량, 생산시스템 등에 관한 내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잔디 산업 주체별 특허출원 건수는 기업이 2,328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개인, 연구소, 교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의 주체인 공공기관과 대학교수의 특허출원 건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4. 국내 특허 등록기술의 사업화 현황은 특허 출원 기술의 $96\%$가 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실용적인 기술에 대한 권리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 국내 잔디 특허 품종은 건희, 건우, 안양중지, 세녹 등이었으며, 국외 품종은 제니스, 미야코 등이며 안양중지, 제니스, 미야코, 건희 등이 상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ed technologies in turfsrass cultivar area. Patented technologies about turfsrass were analyzed by web site(www.kipris.or.kr) from 1948 to 200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umber of patents on turfgrass fertilizer(866) was more than the other patents on turfgrass. 2. Total number of Japan's patents on turfgrass was 1,565. This is more than America's. The foreign patents are mostly on cultivar, sod, seed, dise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3. Number of patents from company(2,328) was the most and the others are private individual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y professors. However commercialization rate of patants was low. 4. Turfgrass cultivars patented in Korea are 'Konwoo', 'Senock' 'Anyanjungji', etc., and in foreign countries 'Zenith', 'Miyako', etc. Among them 'Zenith', 'Miyako' and 'Konhee' were commercialized.

      • KCI등재

        국내외 잔디 특허기술 및 품종 특허의 현황 Ⅰ

        윤정호(Youn Jeong-Ho),이재필(Lee Jae-Pil),김두환(Kim Doo-Hwa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5 Weed & Turfgrass Science Vol.1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ed technologies in turfgrass cultivar area. Patented technologies about turfgrass were analyzed by web site(www.kipris.or.kr) from 1948 to 200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br/> 1. Number of patents on turfgrass fertilizer(866) was more than the other patents on turfgrass. <br/> 2. Total number of Japan's patents on turfgrass was 1,565. This is more than America's. The foreign patents are mostly on cultivar, sod, seed, dise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br/> 3. Number of patents from company(2,328) was the most and the others are private individuals,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y professors. However commercialization rate of patants was low. <br/> 4. Turfgrass cultivars patented in Korea are 'Konwoo', 'Senock' 'Anyanjungji', etc., and in foreign countries 'Zennith', 'Miyako', etc. Among them 'Zenith', 'Miyako' and 'Konhee' were commercialized.

      • KCI등재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윤정호(Jeong-Ho Youn),이재필(Jae-Pil Lee),김두환(Doo-Hwan Ki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2.0㎜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90%, 펄라이트가 3~40%, 토탄이 1.5~20%, 피트모스가 1.5~20%, 버미큘라이트가 2~25%, 제오라이트가 1~20% 및 숯이 1~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 couple of commercialized patented technologies in the area of turfgrass production. All sod production related pat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Dec. 20, 1948 to Dec. 30, 2005 were reviewed. Details of two patents (patent No. 0434389 and 0478194) were inclu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the domestic patents on sod production was the technique using natural and plastic films. Information on topsoil mixtures was also reviewed form foreign patents. 2. Patented multi-purpose sowing equipment can evenly mix soil, sand, fertilizer and other soil conditioners with seed, stolon and rhizome of turfgrass. 3. Patent on cool-season turfgrass sod production provide topsoil mixture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for sports field, landscape area and roof garden.

      • KCI등재후보

        유산소운동이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의 심폐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정호(Jung-ho Youn),정영준(Young-june Jeong)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13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1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cardiovascular exercise capacity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nd were referred of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immediately after discharg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n=21)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n=21). The experiment period was between the day of the first exercise loading test since the patients were referred to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discharge and the time after eight-week exercis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subjects were educated consistent management of risk fact and counseling of the exercise, pulmonary ventilation gas test, graded exercise test, and echocardiograph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period, in order to analyze changed heart rate, changes in Rate Pressure Product and Respiratory Exchang Ratio, and cardiopulmonary exercise ability after the experiment. In conclusion, the eight-week,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exercise capacity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fter discharg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reduction in rest heart rate, sub- Rate Pressure Product and sub-Respiratory Exchang Ratio, and enhancement in cardiopulmonary exercise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수행 능력에 따른 도구적 일상생활 수준과 인지 수준의 연관성

        김세윤(Se-Youn Kim),정영준(Young-June Jeong),박민영(Min-Young Park),윤정호(Jung-Ho Youn)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22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to sugges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level and instrumental daily activity level with physical function abil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individuals who were diagnosed with heart failure and those who were not diagnosed with stroke. Among 66 patients who were tested for weakness at S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from June 2021 to April 2022, data from 56 pati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In the correlation between MMSE-K and SPPB, balance (r = .381, p < .01), gait speed (r = .368, p < .01), chair stand (r = .245, p >.05), and total score (r = .387, p < .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the chair sta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K-IADL and SPPB, balance (r = −.532, p < .01), gait speed (r = −.644, p < .01), chair stand (r = −.391, p < .01), and total score (r = −.600, p < .0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simple physical function,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and the lower the level of need for help in the level of instrumental daily activities. Conclusion: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and the level of cognitive and instrumental daily activiti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thus, its evaluation is essential.

      • KCI등재

        치료면의 질이 편마비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정영준,윤정호,김규용,Jeong, Young-June,Youn, Jung-Ho,Kim, Gyu-Yon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8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15 No.1

        A decrease in the ability to mainta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fter stroke could be related to the inability to select reliable sensory information in producing relative motor action needed to maintain postur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surface conditions on the balancing ability of subjects with stroke. Eighteen hemiparetic subjec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a six-week rehabilitativ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focusing on balance and mobility. Exercises were performed 3 to 5 times per week in a stable surface condition by the control group, and in an unstable surface condition by the experimental group. Pre- and post test assessments involved the measurement of the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respectively by 7-item Berg Balance Scale-3P and by Pro-3 Balance System. Results showed that under the unstable surface condition, static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tatistically, not very significant.) All the aspects of dynamic balance and mediolateral sway(balance)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verall, it can be concluded that under the unstable surface conditio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exercise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dynamic balance of stroke subj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daptation of the unstable surface i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exercises could be effective for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in balanc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unstable surface on improving balance and postural stability of hemipleg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