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에서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윤정현,강석진,안인영,노태희,Yun, Jeonghyun,Kang, Sukjin,Ahn, Inyoung,Noh, Taehee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3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 과정에서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한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서 사전 성취 수준 측면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4개의 소집단이 참여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음 및 녹화하고 기록 원고를 작성한 뒤 분석하였다. 학생들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개별 진술과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학생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과제 관련 진술의 빈도가 높았는데, 특히 정보 설명, 정보 질문, 기준 반성의 빈도가 높았다. 방향 설명, 기준 반성, 진행에서는 사전 성취 수준 상위 학생들의 진술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방향 질문, 정보 설명에서는 하위 수준 학생들의 진술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단위에서는 지식 구성 상호작용 중 대칭적 정교화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는데, 특히 누적형과 평가형이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 science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by the level of prior achievement. Four heterogeneous groups at a coed high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science learning were audio- and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Verbal interactions were analyzed at the levels of a turn and an interaction uni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requencies of verbal interactions were high in task category, especially at information explanation, information question, and reflection on standards subcategories. Furthermore, the frequencies of high-level students at direction explanation, reflection on standards and progress subcatego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level students, and the frequencies of low-level students at direction question and information explanation subcategories were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analyses of the interaction units, the frequencies in symmetric elaborated interaction were high, especially at cumulative and evaluative subcategories.

      • 기자수첩 - 알뜰주유소의 허와 실

        윤정현,Yun, Jeong-Hyeon 대한석유협회 2011 석유와 에너지 Vol.283 No.-

        기름 값 문제를 기한과 규모를 정해놓고 단기간에 무조건 만들어 놓은 틀에 맞추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서민경제와 맞물려 규모가 크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알뜰주유소의 가격 인하 방식이나 효과, 기존 주유소와의 형평성 문제까지 어떻게 해결할지 처음부터 다시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윤정현(Yun, Jeonghyun),박태정(Park, Taej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이후 대학 교육 변화의 흐름 속에 대학 교수자의 교수 관련된 연구 주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 주제의 변화에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교육학 관련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대학 교수 관련 주제로 수행된 논문 1,779편의 제목과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 및 LDA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교수와 관련하여 학습, 교수, 학생, 교육, 수업, 역량, 상호작용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연구 주제는 5개의 토픽으로 산출되었다. 이 중 ICT기반의 교수 모형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연구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전공별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 주제가 최근 3년 동안 상승하고 있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고, 교수 역량 개발 및 평가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09년 이후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반면, ICT기반의 교수 모형에 대한 연구 주제는 2010년 이후로 하향하는 연구 주제이다. 논의 및 결론: 대학 교수자의 교수 관련 세부 분야별 연구 현황과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과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 주제별로 세분화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teaching of university professors in the course of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the 21st centur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with the passage of time. Method: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DA were performed on the titles and subjects of 1,779 papers published in KCI journals of education fields from 2000 to July 2019. Results: There were high frequency words of learning, teaching, students, education, classes, competences, and interactions related to university professors, and the research topics were calculated with five topics. Among them, research topics related to ICT-based teaching models and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studied the most, and research topic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by major are increasing in recent three years. The subject of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ince 2000, and the subjects of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studied since 2009.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subject of ICT-based teaching model has been declining since 2010. Conclusion: More in-depth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nature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and the research needs to be subdivided into the research topics presented in this study from a long-term and macro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백제 한성기 절구 연구

        윤정현 ( Yun Jung-hyu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에 확인된 절구의 재질과 형태를 살펴보고 공반유물을 통해 편년하였다. 편년자료를 토대로 시기에 따른 소형절구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짚어보았으며 절구가 백제사회에 등장하기 전·후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백제의 소형절구는 51점 정도가 잔존하며 절구 사용 이전부터 사용되던 갈판과 고석은 이후에도 공존한다. 절구 형태는 굽의 유·무와 대각의 평면형태, 배신에서 구순까지의 단면형태에 따라 1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두 개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대부분 도성에 집중된다. 백제 한성기 전·후 시기의 절구는 1~4기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1기는 4세기 전반이며 원삼국 단계의 재지 명맥을 늦게까지 유지하던 지역에서 토제 소형절구가 제작된다. 2기인 4세기 후반에는 회전력을 활용한 토제품과 굽이 없는 석제품이 공존한다. 이때 석제품은 도성에서만 확인된다. 3기에 해당하는 5세기 전반에는 도성을 중심으로 정형화된 절구가 출현한다. 4기는 5세기 중·후반이며 이 시기에는 한성 백제의 영역 내 주요 거점에서 토·석제 절구가 꾸준하게 제작된다. 중국에는 백제 한성기에 등장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절구가 존재했으며 당시 백제는 중국의 남조와 지속적으로 상류층의 문화요소를 교류하고 있었다. 그동안 茶文化의 측면에서 설명되어 왔던 절구의 쓰임에 대해서는 보다 다양한 측면으로 확장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곡물도정에서 출발하여 藥, 香, 茶를 만들면서 상류사회에 전유물로 특수하게 사용되었다면 이후 시기에는 그 사용범위가 더욱 확대되어 공방의 공방구 등으로 전문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화되는 양상이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rtal material & form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things made during the Baekje Hanseong period, and chronicled their history through association relics. On the basis of chronically recorded materials,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transition of a small mortar consequent on a period, and also looked into the social role and meaning of a mortar before/after it appeared in Baekje society. 51 pieces of small mortars of the Baekje Kingdom still remain, and the grinding boards and pestles, which had been used before the period of mortar use, coexisted even after the period of mortar use. This study was able to classify the form of a mortar into 12 sorts of typ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its heel, diagonal plane form, and the section form from the back body to the mouth. The two representative sorts of types among the types were converged on a capital ci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It`s possible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ortars appearing before/after the Baekje Hanseong period by classifying them into Stage 1~4. Stage 1 belongs to the early 4thcentury when an earthen small mortar was produced at the area which had keptthemortar-making talent of the stage of the Proto-Three Kingdom salive until the late period. During the late 4th century marking Stage2, earthen mortar sand heelless stone mortars, which were made by using the rotatory force, coexisted. The then stone mortar sareidentified only in a capitalcity.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5thcentury belonging to Stage3, standardized mortars appeared with the capital city as the center. Inthemid-5thcentury belonging to Stage4, earthen/stone mortars were steadily produced even in a major base within the territory of the Hanseong Baekje Kingdom. In China, there existed a mortar of the same form as the one appearing during the Baekje Hanseong period, and at that time, Baekje was continuously exchanging cultural elements of the upper class with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s regard the use of a mortar, which has been explained from the aspect of tea culture all this while, there is the need to understand by extending it into diverse aspects. Initially, the mortar started from polishing grain by pounding, and then came to be used as exclusive property for high society as medicine, fragrance and tea were made. Afterwards, the use scope of a mortar was extended all the more, becoming common throughout the society in general with a mortar specialized as a workshop article at a worksh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