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정 속성을 유지하는 비식별화를 위한 StarGAN 고도화

        윤예린,배호 한국정보과학회 202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30 No.4

        비식별화는 데이터셋에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제거하여 데이터로부터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방법이다. 제 4차 산업혁명 이후 데이터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로 인한 개인 정보 노출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졌는데, 이에 따라 데이터 활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비식별화가 중요해 졌다. 특히 이미지 데이터는 원본 형태로 노출되었을 때 데이터 도용 및 악용 가능성이 높고, 사용자의 초상권을 침해할 수 있다. 그래서 이미지 데이터 비식별화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데이터의 분포를 유지하면서 비식별화를 진행하는 생성 모델을 이용한 비식별화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의 특정한 속성은 유지하면서 비식별화를 진행하는 생성 모델의 고도화를 목표로 하며, 비식별화 과정 중 모델 학습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의 선택 방법론을 제안한다. 그리고 두 가지의 선택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유지하고자 하는 target 속성이 기존 모델보다 더 잘 유지되며 생성 모델의 성능 또한 더 좋아지는 것을 실험으로 보인다. De-identification is a security method that prevents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xposed by removing elements that can identify individuals from a dataset. In particular, when image data is exposed in the original for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ta theft and abuse, and it may infringe on the user's portrait rights. For this, de-identification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in image data using the-latest developed generative models. This paper aims to advance the generative model that proceeds with de-identification while maintaining specific attributes of the image. The proposed methods combine two selection approaches in the model learning process for de-identification.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target attribute to be maintained is maintained better than the existing model, and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tion model is also improved by applying the proposed approach.

      • KCI등재

        폴리에틸렌 분해를 위한 효소로써 Baeyer-Villiger monooxygenases의 잠재력

        윤예린,장유신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4

        Polyethylene is widely used as an agricultural film, but eco-friendly technology is lacking for its decomposition. Thu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biological polyethylene decomposition. It has been expected that several oxidation steps will be required in the biologic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First, secondary alcohol is formed on the polyethylene chain, and then the alcohol is oxidized to a carbonyl group. In the subsequent process, the carbonyl group is converted to an ester by Baeyer-Villiger monooxygenase (BVMO), and this ester bond is expected to be cleaved by lipase and esterase in the final step. In this work, we reviewed BVMO as one of the promising enzymes for polyethylene decomposition, in terms of its reaction mechanism, classification, and engineering. In addition, we also give a brief perspective on polyethylene decomposition using BVMO. 폴리에틸렌은 농업용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기 위한 기술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폴리에틸렌 분해를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폴레에틸렌의 생물학적 분해에는 몇가지 산화 단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먼저, 폴리에틸렌 사슬에 2차 알코올이 형성되고, 알코올은 카르보닐기로 산화된다. 이후 과정에서 카르보닐기는 Baeyer-Villiger monooxygenase (BVMO)에의해 에스터로 전환되고, 이 에스터는 마지막 단계에서 lipase 와 esterase에 의해 절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분해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 중 하나인 BVMO 의 반응 메커니즘, 분류, 효소공학 측면에서 리뷰하였다. 또한BVMO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분해 분야의 향후 연구전망도 간략히 덧붙였다.

      • PlanetScope 및 UAV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건물 탐지

        윤예린(Yerin Yun),정세정(Sejung Jung),김태헌(Taeheon Kim),이기림(Kirim Lee),박주언(Jueon Park),염준호(Junho Yeom),이원희(Wonhee Lee),한유경(Youkyung H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대형 산불과 같은 재난·재해 발생 시 피해지역 및 피해규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자료가 많이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위성영상에 비해 고해상도 영상 자료를 취득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지역에 빠르게 접근이 가능한 unmanned aerial vehicle(UAV)의 활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anetScope 위성영상과 UAV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산불피해건물을 탐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영상을 단일로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eCognitio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UAV 영상에 대해 객체기반 영상분류를 수행하였고 위성영상에 change vector analysis(CVA)를 적용하여 변화탐지지도를 생성하였다. UAV 기반으로 탐지된 피해건물후보군과 위성영상 기반의 변화탐지 결과를 중첩시켜 최종 산불피해 건물 지역을 추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가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윤예린 ( Yoon¸ Yerin ),오범호 ( Oh¸ Beom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가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양상 및 초-중 전환기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2011 2차년도(초등학교 5학년)∼6차년도(중학교 3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층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모형에는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 여부 및 기간을 반영한 집단변수가 포함되었으며, 분석 대상으로는 2차년도 시점에서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 1,020명이 포함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사이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도 하락현상은 영어 과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중 전환기에 유의하게 하락하였으며, 특히 수학 과목의 성취도가 가장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변화양상에 대한 다문화멘토링 사업의 효과는 다문화멘토링 사업에 2년 이상 참여한 학생들로부터 찾을 수 있었다. 넷째, 학업성취도 변화양상에 대한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의 효과는 특히 영어 과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섯째, 제한적 해석의 필요성이 존재하나 다문화멘토링 사업에 2년 이상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미참여 학생들에 비해 중학교 진학 직후 학업성취도가 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중 전환기 다문화학생이 겪는 특징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학업성취도 변화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정밀성을 높였으며,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다문화멘토링 사업 참여가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다문화멘토링 사업의 투입 시기를 탐색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growth and the features of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For this purpose, Multilevel growth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nd to the 6th year of the MAPS 2011. The final analysis model included group variables that reflected the participation and duration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wa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from the 5th grade to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n declined from the 1st to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At this time, the decline in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was remarkable in English subjects.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significantly declined during the elementary-middle transition period, especially in math subject. Third,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on academic achievement growth was found i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more than two years. Fourth,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on academic achievement growth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English subjects. Fifth,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limited interpretation,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ject for more than two years have less declined in academic achievement after entering middle school than students who had not participated. This study elaborated the analysis in that it analyzed academic achievement growth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during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The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on academic achievement growth of multicultural students longitudinally.

      • KCI등재

        KOMPSAT-3/3A 기준영상의 기하품질에 따른 상호좌표등록 결과 분석

        윤예린 ( Yerin Yun ),김태헌 ( Taeheon Kim ),오재홍 ( Jaehong Oh ),한유경 ( Youkyung Han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2

        본 연구는 KOMPSAT-3 및 KOMPSAT-3A호에서 전처리 단계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는 Level 1R 영상과 Level 1G 영상을 이용하여 기준영상의 기하품질에 따른 상호좌표등록 결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준영상으로 Level 1R 영상 및 1G 영상 각각을 사용하고 대상영상은 Level 1R 영상을 사용하여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대전지역에서 촬영된 KOMPSAT-3 및 3A호의 Level 1R, 1G 영상 총 7장을 이용하였다.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특징기반 정합기법인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 기법과 영역기반 정합기법인 위상상관 (Phase Correlation) 기법을 함께 이용한 반복적 정합기법을 통해 두 영상의 기하학적 위치를 개략적으로 일치시켜 주었다. 개략적으로 일치된 영상에서 SURF 기법을 이용하여 정합 쌍을 추출하고 Affine 변환모델과 Piecewise Linear 변환모델을 각각 구성하여 상호좌표등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기하오차가 보정된 Level 1G 영상을 기준영상으로 선정하였을 경우, Level 1R 영상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정합쌍을 추출하였다. 또한, 기준영상이 Level 1G 영상일 때의 상호좌표등록 RMSE (Root Mean Square Error) 값이 평균 5화소 미만으로 Level 1R 영상을 이용하였을 때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호좌표등록 수행 시 두 위성영상 간의 초기위치관계가 상호좌표등록 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기준영상의 기하품질이 우수할수록 안정적인 상호좌표등록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o-registr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geometric processing level of reference image, which are Level 1R and Level 1G provided from KOMPSAT-3 and KOMPSAT-3A images. We performed co-registration using each Level 1R and Level 1G image as a reference image, and Level 1R image as a sensed image. For constructing the experimental dataset, seven Level 1R and 1G images of KOMPSAT-3 and KOMPSAT-3A acquired from Daejeon, South Korea, were used. To coarsely align the geometric position of the two images, SURF (Speeded-Up Robust Feature) and PC (Phase Correlation) methods were combined and then repeatedly applied to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images. Then, we extracted tie-points using the SURF method from coarsely aligned images and performed fine co-registration through affine transformation and piecewise Linear transformation, respectively, constructed with the tie-poi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Level 1G image was used as a reference imag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ie-points were extracted than Level 1R image. Also, in the case where the reference image is Level 1G image, the root mean square error of coregistration was 5 pixels less than the case of Level 1R image on average. We have show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co-registration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the geometric processing level related to the initial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ages. Moreover, we confirmed that the better geometric quality of the reference image achieved the more stable co-registration performance.

      • Landsat-8호를 이용한 위성영상 복원 기반 구름 탐지

        윤예린(Yun, Yerin),배세정(Bae, Sejung),김태헌(Kim, Taeheon),한유경(Han, Youkyung)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위성영상은 광범위 지역에 대한 주기적인 데이터 취득에 용이하여 지표 관측 등의 연구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촬영 당시 대기상태 또는 날씨의 영향으로 위성영상 내 구름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영상 활용을 위해 영상 품질 평가 및 정확한 지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름과 같은 방해 요소에 대한 정확한 탐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름을 포함하는 Landsat-8호 위성영상에 대해 원래 지표 피복으로의 복원을 수행하여 복원 영상과 원 영상 간 차를 통해 영상 내 구름을 정밀하게 탐지하였다.

      • Monopolization of Unnecessary Resources us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in an Uplink Traffic Scenario

        Yelin Yoon(윤예린),Jongyeon Park(박종연),Saewoong Bahk(박세웅)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rings many benefits in Wi-Fi networks in terms of throughput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Nevertheless, it has a significant downturn in transmission success rate and in loss of transmission opportunity in Overlapped Basic Service Sets (OBSSs). This paper shows and validates the problems using the MATLAB based simulator.

      • Power to Win, Power to Impact

        Yerin Yoon(윤예린)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Considering the recent growth of the ethical product market, significant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motives that drive ethical product purchases, especially in regard to cultural factors. With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consumers’ tendencies to balance self-interest motives (i.e. price, quality, social-conformity) and value-interest motives (i.e. sustainability, ethicality) when making ethical purcha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variation of the dynamic of ethical purchasing motives across consumers from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cultural backgrounds. Over 400 study participan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completed an online survey assessing cultural orientation, social motives, and personal motives, including subcategories such as a desire for uniqueness and social trend susceptibility. Due to their heightened acceptance of social inequalities and desire to stand out in social competitions, individuals from vertically individualistic culture backgrounds more often predict their ethical product purchases to be influenced by social norms and identity expression than those from more horizontally collectivistic background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inform how we can customize the marketing tactics by the cultural orientation of consumers to reinforce the moral, environmental, and societal benefits of ethical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