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정 표지 비교 연구

        윤애경,초팽염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6

        This paper takes Chinese and Korean conditional hypothetical sentences marker as the object of study, and makes a comparison and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form and semantics. Formally speaking, some conditional hypothesis sentences have clause-initial marker, some have clause-final marker, and some have both. Both Chinese and Korean have these marker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ntence. In Korean, conditional hypothesis sentences must be marked by the end of the sentence. But in Chinese, the marker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ntence can be used freely. Compared with the clause-initial marker of "如果", the clause-final marker "的话" has a stronger topical function. Therefore, when conveying new information or expressing assumptions that are difficult to achieve, we tend to use clause-initial marker "如果" .When conveying information that can be shared or activated, people tend to use the the clause-final marker "的话" . Through investigation, we fi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mantic and usage scope of different conditional hypothesis sentences.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정 표지는 그 유형 및 통사적 위치에서 차이가 난다. 우선 중국어에는 무표적 가정문도 존재하지만 한국어 가정문에는 가정 표지가 반드시 출현해야 한다. 또한 중국어 가정문에는 대부분 문두 표지가 사용되고 한국어 가정문에는 문미 표지가 없어서는 안 된다. 가정문 문두 표지의 위치를 보면 종속절과 후속절의 주어가 다를 때 중국어의 문두 표지는 종속절의 주어 앞에만 출현할 수 있지만 한국어의 문두 표지는 종속절의 주어 앞, 뒤에 모두 출현할 수 있다. 반면에 종속절과 후속절의 주어가 같을 경우에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두 표지가 종속절의 주어 앞, 뒤에 오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중국어의 가정문에서 ‘的话’가 속한 절은 문장의 마지막에 올 수가 있지만, 한국어에서 ‘-면’이 들어간 절은 일반적으로 뒤쪽에 오지 않으며 ‘-면’으로 문장을 끝낼 수는 없다. 이 밖에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정문에 사용되는 문미 표지 ‘的话’와 ‘-면’에는 다른 기능이 더 있다. 먼저 ‘的话’는 가정의 어기뿐만 아니라 화제를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的话’는 가정문 중에서도 종속절이 화제가 되기 쉬운 문장에서 출현한다. 한국어의 ‘-면’은 가정 표지이면서 조건 표지이다. 따라서 가정의 의미를 좀 더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가정을 나타내는 문두 표지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 KCI등재

        曹雪芹의 『紅樓夢』에 출현하는 호칭어의 양상 연구

        윤애경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5

        A address term is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in the conversation directly to draw listener's attention, and a reference term is a word that indicates an object. The address term is relatively independent and can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term is impossible to omit it, because it forms a linguistic relationship with other sentence components in the sentence. In this paper, I grasped indirectly the aspects of address terms which was used in China's Qing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address terms in the classic novel 『Dream of the Red Chamber』written by Cao Xueqin of the Qing Dynasty. Even in the Qing Dynasty, address terms were u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These various types of address term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address subject and internal structure. First, if the address term i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address subject, the address term can be divided into the kinship term of addresswhich is used among people of kinship and the social term of addresswhich is used among other members of society. Next, if the address term is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internal structure, there is the simplest type of th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and the general term of address. And there are types of combination of numeral, hao or qin, lao or da or xiao and wode in front of thes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or general term of address. In addition, there is the type that adds a first name or a family name in front of the basic kinship term of address or general term of address. Finally, there is the type of 'family name + first name' or frist name or nickname. 호칭어는 청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대화의 상대방을 직접 부르는 말이고, 지칭어는 어떠한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 그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호칭어는 비교적 독립적이며 생략이 가능한 반면에, 지칭어는 문장 속에서 다른 문장 성분과 모종의 어법적 관계를 형성하여 생략이 불가능하다. 본고는 청나라 시대의 작가 조설근(曹雪斤)이 저술한 고전소설 『홍루몽(紅樓夢)』에 등장하는 호칭어의 분석을 통해, 중국 청(淸)나라 시기에 사용되었던 호칭어의 양상을 간접적으로 알아보았다. 『홍루몽』의 호칭어를 먼저 호칭 대상에 따라 분류해보면 크게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에 사용하는 ‘친족 호칭어'와 기타 사회 구성원들 간에 사용하는 호칭어인 ‘사회 호칭어'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 구조에 따라 호칭어를 분류해보면 우선 가장 단순한 ‘기본 친족 호칭어’와 ‘일반 호칭어’의 유형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 친족 호칭어와 일반 호칭어의 앞에 ‘수사’, ‘好’나 ‘親’, ‘老’나 ‘大’ 혹은 ‘小’, ‘我的’ 등이 함께 결합하는 유형이 있다. 이 밖에 기본 친족 호칭어나 일반 호칭어의 앞에 성이나 이름, 또는 자 전체를 붙이기도 하고 이름이나 자가 두 글자일 경우에는 그 중 한 글자만 사용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성+이름’의 형식이나 성을 뺀 이름, 또는 별명으로 상대방을 부를 수도 있다. 『홍루몽』의 호칭어는 친족 호칭어이든 사회 호칭어이든 모두 일반 호칭어보다는 기본 친족 호칭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이는 혈연관계를 중시하는 중국인들이 친족관계가 아닌 사람들에게까지 기본 친족 호칭어를 사용함으로써, 그들과의 관계를 친족관계처럼 친근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죽음’의 의미 연구

        윤애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5 No.-

        This thesis is a diachronic study on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motif of 'death' revealed in Oh Junghee's world of novel. The tragic world view consistent in her world of work is being formalized through the motif, and presented clos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 that a woman character living a daily life should explore her own identity. The aspect of 'death' revealed remarkably in her early works is expressed as the destructive deviation from their boring daily lives by the characters, containing the existential anxiety of a woman character. In her middle works, it functioned as a medium for detecting the falsehood in a daily life, also expressed as a sign for a desire of the character disappearing in the life. In her recent world of work, it is existentially being spread to a journey for the character exploring her true self in the devastated condition of life through a cyclic view of time or matern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물결이 높던 날」의 서술기법 연구

        윤애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he main character of Jungin Suh's early novels can be revealed somewhat more clearly when I focus on how his tragic world view has meaning related to elements of formal aesthetics. Centering on the descriptive techniques shown in The Day When the Waves Were High and the meanings, this study explored in what technical strategy the tragic world view consistent in his early novels was firmly being presented. In the work, his tragic world view is being expresse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ve techniques. First, I can state the techniques of using focalization and ironic structure. Jungin Suh is expressing the tragicality of life revealed in the gap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world through a focused speaker's individual experience and its ironic structure. Secondly, I can state descriptive delay and image reinforced. By intercepting narrative flow incessantly and promoting confusion through the temporal dazzling play of moving descriptive time freely to a focused speaker, he causes descriptive delay, which is replaced by evoking the repeated image aiming at spatialization. The epigraph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novel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a where the waves are high' which is repeated in the whole work are freely being used as the figurative images suggesting the tragicality of life revealed before supernatural world. 서정인의 초기 소설세계의 성격이 형식미학적 차원에서 많은 논의들로 밝혀졌지만 그러한 특성들을 밝히기 위해 논의된 작품들은 대체로「후송」과「강」에 불과하다. 이 점에서 그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물결이 높던 날」은 초기 작품의 특성을 다각도에서 선명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진지하게 논의되어야 할 작품이다. 이 작품은 등단작에서 제시된 문제의식이나 그것을 드러내는 기법적 측면들을 더욱 다양한 형식적 탐색으로 이어가고 있으며 이후「강」이 보여주는 이미지를 통한 주제적 강화의 양상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초기 작품으로 거론되는 두 작품들의 실험적 글쓰기의 양상을 강화하거나 모색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한편 형식미학적 차원에서 개성적인 소설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서정인 소설의 경우, 서술기법의 문제는 작가의 세계관의 문제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물결이 높던 날」에 쓰인 서술기법들을 통해 작가의 비극적 세계인식의 내용이 어떠한 형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초점화(focalization)의 활용과 아이러니적 구조의 기법을 들 수 있다. 서정인은 개인과 세계간의 간극에서 드러나는 삶의 비극성을 초점화자들의 개별적 경험과 그것의 아이러니적 구조를 통해 표출하고 있다. 둘째 서술적 지연과 이미지의 강화를 들 수 있다. 그는 초점화자와 서술시간을 종횡무진 이동시키는 시간의 현란한 유희를 통해 서사적 흐름을 끊임없이 차단하고 혼선을 조장함으로써 서술적 지연을 야기하며, 그것은 공간화를 지향하는 반복되는 이미지의 환기로 대체된다. 소설 전체의 구성을 통어하고 있는 에피그래프(epigraph)와 작품 전반에 반복되고 있는 ‘물결이 높은 바다’의 묘사는 초자연적 세계 앞에서 드러나는 삶의 비극성을 암시하는 비유적 이미지로 구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정인 초기 소설에 일관되게 드러나고 있는 비극적 세계관은 인간 조건의 아이러니를 발견하는 데서 비롯되고 있으며 그러한 인식적 양상은 형식미학적 차원과의 긴밀한 관련을 통해 개성적인 소설적 언어로 형상화되고 있다는 데서 주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와 관련하여「물결이 높던 날」에서는 전통적 서술상황의 이탈 현상을 조장함으로써, 즉 연속성 혹은 시간성의 원리가 반영적 언급의 원리로 대체되면서 그의 비극적 세계관이 효과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최신 언어 이론 및 관련 중국어 구조 분석

        윤애경 중국어문논역학회 2022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1

        ‘지도 제작 이론’은 형식언어학 이론이 최근에 제시한 이론으로 자연 언어 문장과 구의 기능 구조도를 상세하게 묘사하는 이론 계열의 통칭이다. 지도 제작 이론은 중국어의 많은 사실들을 비교적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구문 문법 이론’은 인지언어학 이론의 가장 새로운 진보 중 하나로 특수한 문형에 대한 분석 효과가 전통적인 분석보다 더 우수하다. 어느 언어 구조라도 그 형식이나 기능의 어떠한 방면이 그것의 구성 성분이나 이미 존재하는 다른 구조로부터 완전히 예측되지 않는 것이라면 하나의 구문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구문이 문장 전체의 의미를 예측하는 더 좋은 요소일 수 있다. “Cartographic Approach” is a theory recently proposed by formal linguistics theory and is a generic term for a series of theories that describe in detail the functional structure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and phrases. Cartographic approach presents many facts in Chinese relatively convincingly. “Construction Grammar” is one of the most recent advances in cognitive linguistic theory, and its analytical effect on special sentence types is better than traditional analysis. Any linguistic structure should be regarded as a construct if any aspect of its form or function can not be fully predicted from its components or other structures that already exist and construct may be a better predictor of the overall meaning of a sentence.

      • KCI등재

        한국 SF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자유의지와 젠더 수행성

        윤애경 국제언어문학회 2022 國際言語文學 Vol.- No.53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narrative of the posthuman subject, which values free will and emotion, which are inherent human qualities, is converging into the context of critical posthumanism oriented towards postanthropocentrism, focusing on the works of Yoon Yi-hyung ("Goodbye"), Jang Kang-myung ("You Are a Hot Star"), and Kim Cho-yup ("About My Space Hero"). These SF narratives, which are noted in this paper, draw attention to the point where the logic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apital form a close collusion between the various probable conflict situations that test the problem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understanding with the expanded human beings of the future society. And it shows that the anti-ethical purposefulness involved in the re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es a serious threat to the existence of posthumans. The characters in these works are 'posthumanized humans' who can note the violence of the dominant perception or gaze of the present humanity towards the future human being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existential situations they face and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m as they undergo a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human category. Posthumanized human beings struggle to uphold their dignity as independent autonomous entities centered on human values in conflict situations of existential crisis. At this time, the free will exercised by posthumans can be seen as not an anthropocentric value that contains the violence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ut the realization of postancentrism, which restores human values away from them. On the other hand, free will as a human value to which posthumans aspire is signified as gender-subversiv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deep-rooted gender predicament faced by non-human women-posthumans. The gender-subversive process of posthumanized women scientists is not carried out as a single entity, but is made possible by forming new solidarities with the women around them, and underlying this solidarity is an ethic of care that promotes coexistence against anti-humanistic situations. Ultimately, among the various probable situations that can be raise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future societies, a tendency in science fiction narratives that focuses on the existence and human value of symbolic beings on the border, in particular, can be positioned as a direction of serious exploration of how the violent anthropocentric thinking in the posthuman era should be overcome. 이 글은 인간의 고유한 자질이라 할 수 있는 자유의지와 감정에 대해가치를 부여하는 포스트휴먼 주체의 서사가 어떻게 탈인간중심주의를지향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맥락으로 수렴되고 있는가를 윤이형(「굿바이」), 장강명(「당신은 뜨거운 별에」), 김초엽(「나의 우주영웅에 관하여」)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이 SF서사들은 미래사회의 확장된 인간에의 이해와 관계 설정의 문제를 사고실험하는 여러 개연적 갈등 상황 가운데 특히 과학기술과 자본의 논리가 긴밀한 공모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 그리고 과학기술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개입되는 반윤리적 목적성이 포스트휴먼의 실존에 심각한 위협을가하는 정황을 보여준다. 이 작품들 속의 인물들은 ‘포스트휴먼화된 인간’ 존재로서, 전통적인인간 범주로부터의 전이를 겪은 그들이 직면한 실존 상황과 이로부터발생하는 제 문제들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미래 인간에 대한 현 인류의지배적 인식 혹은 시선의 폭력성에 주목할 수 있다. 포스트휴먼화된 인간은 실존의 위기를 겪는 갈등 상황에서 인간적가치를 중심으로 독립적 자율적 개체로서의 존엄성을 고수하기 위해분투하고 있다. 이때 포스트휴먼들이 행사하는 자유의지는 배제와 차별의 폭력성을 내재한 인간중심적 가치가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벗어나인간적 가치를 복원하는 탈인간중심주의의 실현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수 있다. 한편 포스트휴먼이 지향하는 인간적 가치로서 자유의지는 비인간으로서의 여성-포스트휴먼이 직면한 뿌리 깊은 젠더적 곤경과 관련하여젠더 전복적 수행으로 의미화된다. 포스트휴먼화된 여성 과학자들의젠더 전복적 과정은 단독 개체로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여성들과 새로운 연대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해지며, 이들의 연대의 바탕에는반휴머니즘적 상황에 맞서 공존을 도모하는 돌봄의 윤리가 자리 잡고있다. 결국 미래사회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개연적 상황들 가운데 특히 경계에 선 상징적 존재의 실존과 인간적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SF서사의 한 경향은 포스트휴먼 시대에 폭력적으로 치닫는 인간중심적 사고가 어떠한 방식으로 극복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모색의 한 방향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 KCI등재

        최명익 심리소설의 서술 방식과 현실 인식 양상

        윤애경 현대문학이론학회 200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24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world of his psychological novel and the aspect in which he responds to reality through it by analyzing the method of depicting characters' consciousness and the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works Bi onun gil, Yuksul and Pyeuin, which reveal his recognition of reality relatively clearly. He depicts characters' world of consciousness mainly in the methods of depiction such as 'psychological depiction' by a depicter and 'quoted monologue' by characters themselves. Such methods function as 'a technique as attitude' that displays how the author recognizes reality and to what direction such real life should proceed.

      • KCI등재

        西南官话 명사 중첩의 다양성 및 특징에 관한 연구

        윤애경 한국중문학회 2024 中國文學硏究 Vol.- No.94

        西南官话의 명사 중첩은 형식이 매우 다양하고 다채로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 특히 명사 중첩에 얼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西南官话의 독특한 특징이다. AA儿식은 湖北省서부, 湖南省서북부, 重庆市, 贵州省북부, 그리고 四川省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湖南省, 重庆市, 贵州省, 四川省에는 AA儿식이 있고 AA子식이 없는 반면에 陕西省에는 AA儿식이 없고 AA子식이 있다. 陕西省과 인접한 湖北省의 일부 지역에서 AA儿식과 AA子식이 병존한다. AA老老식은 贵州省, 广西省, 四川省에 주로 분포해 있고, 湖南省에서는 AA儿老老식으로 출현한다. 西南官话에서 명사의 어법의미는 비교적 다채롭지만 이들은 모두 주관성이 강하거나 파생 의미를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The noun reduplications in southwest mandarin are very diverse in form and has a variety of appearances.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the phenomenon of suffixation of a nonsyllabic “r” in noun reduplication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southwest mandarin. The AA儿-type is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Hubei province, the northwestern part of Hunan province, Chongqing City, the northern part of Guizhou province, and most of Sichuan province. Hunan province, Chongqing City, Guizhou province, and Sichuan province have the AA儿-type and do not have the AA子-type, while Shanxi province has the AA子-type and no the AA儿-type. In some areas of Hubei province adjacent to Shanxi province, the AA儿-type and the AA 子-type coexist. The AA老老-type is mainly distributed in Guizhou province, Guangxi province, and Sichaun province, and appears as the AA儿老老-type in Hunan province. The grammatical meanings of noun reduplications in southwest mandarin are relatively diverse, but they all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strong subjectivity or derivative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