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 「입법계품」의音과 字에 대한 고찰‒ 인도와 중국의 고대음악문화를 통하여 ‒

        윤소희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Since ancient times, the vibration of the voice has been seen as the ultimate origin of the way of truth’s being, such as in the “beom” of the Beompae chants which had their roots in Brahman. The voice of the celebrants was connected with the Indian function words of particular sacrificial rites and the vibration of the voice was also emphasised as playing a role in the ruling dynasty. In ancient China the establishment of tone order was regarded as consolidating the dynasty’s basis. Although their musical philosophy was highly developed, the Mantra tones and Buddhist chants were overpowered just by the ‘nothingness’ or ‘naught’ idea of Buddhism. Among all Buddhist chants, the Whoaeomjamo chant consists of the 42 letters of the visible mantra alphabet is the greatest Beompae suit form. Within it contains the idea of the Buddhãvatamsakasutra which is that one is all and all is one. Although the 42 mantra alphabet had and has been conveyed through other sutras before and since, the mantra alphabet songs is only Whoaeomjamo chant which in Buddhãvatamsaka-sutra. I believe there is a necessary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ãvatamsaka-sutra and this music. At that time, Social status and order was together the musical theory assigned the yin and yang benevolence, in all musical tones was used to support the basic ideology of the ruling dynasty, in order to attempt to establish an ideal dynasty through formal courtesy and music. Through just that musical culture, I have been able to understand and solve the secret chord of the Ganda-vyũha Lit in the Buddhãvatamsakasutra. It is that the order of the 53 Buddhist saints is the mantra of 『화엄경』 「입법계품」의 音과 字에 대한 고찰 / 윤소희 253 Bodhisattva’s teachings. Migajangja(Jangja means sinior) was a senior of Theravada Buddhism, which transmitted the sutra orally early Buddhism. Sunjijungyedongja was a Saint of Mahayana Buddhism, which had just been formed at that time so his name was Dongja, meaning young person. Also, the Jung of Jungye (‘jung’, 衆, means popular and people) points toward private music rather than court or official music. Meanwhile, the Ye of Jungye (‘Ye’, 藝, means art) indicates that he was a professional musician and a spiritual guide of Buddhism, because musicians at that time were elite philosophers and the senior spiritual intuitions steeped in musical culture. There are, however, no Whoaeomjamo chants in Korea. The tradition may have become extinct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during the Josun dynasty, or in the era of Japanese colonalism. In the 21st century, Whoaeomjamo chants have a role to play both in the culture of Buddhism and in private medit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Korean Buddhists pay more attention to music for creating variety music include Whoaemojame chant. The benefits would, I believe, make a more fertile Buddhism and peaceful society. 범패의 ‘梵’이 브라만의 음성과 연결되듯이 소리의 진동은 고래로부터 진리의 원초적 존재방식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리하여 인도에서는 소리와 音이제례적 기능과 결합되었고, 중국에서는 治世의 역할이 강조되어 樂律의 정립이 곧 국가기반을 다지는 것이었다.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정교한 樂論이형성되어 있었던 중국에 인도의 梵音이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더 이상의 여지가 없는 空사상과 진동의 결합에 있었다. 모든 音과 字가 ‘아’자로 회귀되어 一卽多卽一의 화엄사상을 담고 있는 화엄자모는 모든 범패 중에 가장 장엄한 형태인 套曲式1)으로 연행되어 왔다. 경전을 이루는 種字인 42자모는 『화엄경』 이전과 이후에도 여러 경전을 통하여 출현해 왔으나 범패로 불리는 것은 화엄자모가 유일하다. 문자는 언어의진동을 기호화한 2차적 매개인 점에 미루어 볼 때, 『화엄경』, 「입법계품」에내재하는 音과 字의 배열순서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범어 『화엄경』 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 중국인의 의식체계가 반영되었음을 감안해 볼 때, 중국의 고대 樂論과 불교 유입 이후, 특히 『화엄경』이 번역될 당시의 중국 음악문화는 화엄자모를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였다. 禮와 樂을 통해 이상 국가를 실현하고자 했던 중국에서는 각각의 음에 사회질서와 음양오행 등 그들의 가치관과 우주관을 대입하였는데, 이는 「입법계품」에 내재한 音과 字에 얽힌 코드를 푸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결과 「입법계품」의 53선지식의 배열을 보살도의 만다라로, 다라니음의 미가장자는 口傳으로 법을 전해온 초기불교를, 자모행법의 선지중예는 당시 새로이 형성된 문자경과 대승보살을 의미하여 童子로, 衆藝의 ‘衆’은 중국의 궁중음악인 宗廟나 天祭음악과 대칭되는 음악을 의미하였으며, ‘藝’는 보살도를이룬 道人으로써 악가무를 두루 잘하는 전문 예인이었음을 당시 음악문화를조명함으로써 풀어내었다. 漢語 범패가 주로 불보살을 찬탄하는 것과 달리, 음 자체의 진동상태에 몰입하며 삼매에 드는 화엄자모 범패는 다른 어떤 종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불교적 음의 세계이다. 찬류 범패에 속하는 화엄자모에는 ‘아’자로 돌아가는휴지부분이 있어 화엄의 궁극점인 空사상이 드러나고 있다. 이렇듯 미가장자1) 序曲, 豫讚, 本曲, 後奏 악곡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 형식. 『화엄경』 「입법계품」의 音과 字에 대한 고찰 / 윤소희 215 와 선지중예동자의 행법은 音과 字를 통해서도 一切智의 깨달음을 성취할 수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행 방편으로서의 음악, 명상음악과 연결될 수 있는화엄자모는 佛曲을 위한 창작적 모티브를 비롯하여 21세기 문화시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인공지능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윤소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1

        연구목적 정부 정책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 이후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국내 선행 연구 중 인공지능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총 43편(학위 논문 18편,학술지 논문 25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개별 연구 결과들에 대한 효과크기를먼저 산출한 후, 전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이후 연구 특징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하위그룹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CMA 3.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인공지능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713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중간 효과크기로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대학교 0.947, 고등학교 0.784, 중학교 0.784, 초등학교0.6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 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온라인 툴 0.973, 언플러그드 0.768, 피지컬컴퓨팅 0.676, 블록 코딩 0.668, 스크립트 코딩 0.501, 기타 0.326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속변인에따른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 0.880, 정의적 영역 0.581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 행정가와 교사들은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저자는 인공지능 교육을 통해 모든 학교 급의 학생들이 성공적인학습을 경험하고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삼국유사 의 음악과 악기

        윤소희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4 No.-

        Some musical instruments found their way from the Song Dynasty of China to Silla because the Samgukyusa was written 170 years after Munmyo Jeryeak had been introduced to Korea. Also, since this was the time of the Mongol invasion, Ilyeon's desire for the national defense of Goryeo was contained in Samgukyusa and told through of the story of Silla. The contents of Wonhyo's Muaega, Wolmyeong's Dosolga and Jemangmaega, and the story of the Chanting Master each focus on the supernatural power and influence of Buddhism. While Samguksagi describes musical content and facts, Samgukyusa expresses the hearts of the Silla people through music rather than the music itself. This fact was clearly revealed in the Cheoyongga(處容歌) and Dosolga(兜率歌) of Ven Wolmyeong, as well as the Manpasikjeok(萬波息笛) and Geomungo(玄琴), which are included in both the Samgukyusa and the Samguksagi. In the Samgukyusa, Ven Ilyeon never once used the word Gayageum (加耶琴). Mulgyeja's 琴 and King Wonseong's 12-string, and Ureuk's gayageum are of the same family, but the 玄琴 (geomungo) is not same the structure and playing method. Therefore, it is incorrect to write the character 琴 of Mulgyeja as geomungo. Also, the translation of Ven Wolmyeong's 笛 as oboe is not appropriate. This is because the oboe was played with a reed that did not exist in Silla. When translating Chinese instrument name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to Korean, unlike instruments such as 瑟, 琵琶, and 阮咸, 琴 is included in 月琴, 洋琴, 7絃 琴, 12絃琴, and 玄琴. Thus the lineag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nstrument must be examined. The story of Cha-Deukgong, who pretended to be an ordinary man and carried a Bipa, can give off an effect similar in status to the guitar in the Korean pop music scene of the 1970s and 80s. The story of the constant playing of the pipe organ 笙 and singing of songs about town indicates the rich musical life of the Silla people. In all of the Samgukyusa and Samguksagi, there is nothing about Ven Jingam's Buddhist chant Beompae. It may be considered surprising that there is nothing about it in the Samgukyusa, which focuses on Buddhist content

      • KCI등재

        Optimum Application Rate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for Kenaf (Hibiscus cannabinus L.)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 Reclaimed Paddy Soil: A Pot Experiment

        윤소희,김상윤,박수용,최승우,전승호,오광교 한국토양비료학회 202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6 No.2

        Kenaf (Hibiscus cannabinus L.)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alternative crops for bioenergy production,potentially replacing fossil fuel.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vailable on systematically investigating kenafgrowth characteristics and its fertilization conditions so far. Our study investigated its biomass productivityand soil properties at the different fertilization regimes including three major treatments (N, P2O5, and K2O)with four application levels [0%-50%-100% (as recommended), and 200%] in a reclaimed paddy soil duringpot experiment under upland condition in 2021. The results showed the maximum of kenaf biomass productivitywas observed when 158 kg ha-1 of N, 156 kg ha-1 of P2O5 and 102 kg ha-1 of K2O were applied, showing62.6 g d.w pot-1, 64.1 g d.w pot-1, and 64.9 g d.w pot-1, respectively. Our study revealed that kenaf biomassmain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total N contents in soils, suggestingthat these could be major growth limiting factors for kenaf production. Our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for producing the maximum kenaf biomass, filling the gap on a promising nutrient managementstrategy for its optimum production in southern reclaimed paddy soils.

      • KCI등재후보

        제주도 소아에서 2000년 4월부터 6월까지 발생한 장 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양상 및 장 바이러스 71형 감염의 특징

        윤소희,홍정연,김의종 대한소아감염학회 200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6 No.1

        Purpose : We undertook this study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nonpolioenterovirus (NPEV) infections, especially enterovirus 71 (EV71)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Methods : Between April and June 2000, NPEVs were detected by RT-PCR and cultures of specimen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acute respiratory disease, and acute gastroenteritis which were associated with enteroviral exanthem and vesicular pharyngeal enanthem, such as herpangina, and hand, foot, and mouth disease (HFMD). EV71 was identified by sequencing the VP1 gene.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 dat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fter all 87 NPEV-posit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al manifestations. Sixteen patients who mainly had symptoms of acute gastroenteritis were in group A, 21 patients with symptoms and signs of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were in group B, 42 patients with a HFMD rash only were in group C with or without fever, and 8 patients with aseptic meningitis or paralysis were in group D. For the 11 EV71-positive patients, 1 was in group A, 2 were group B, 7 were in group C, and 1 was in group D. Results : There were 87 NPEV infections, including 11 EV71 infection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 years and 11 months, ranging from 1 day to 15 years. There were no fatal cases among a total of 87 NPEV infec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severity between the EV71 and other NPEV infections. Conclusion : NPEV infections in children were common during the 3 months in the spring of 2000. Unlike in southeast Asia, where fatal EV71 infection outbreaks have occurred since 1997, the clinical features of EV71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are mild. 목 적: 장 바이러스 감염은 소아에서 중요한 바이러스 감염 중 하나이며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장 바이러스 71형의 감염이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기에 장 바이러스 감염 환아들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또한 그 중 장 바이러스 71감염으로 확인된 환아들의 임상양상과 장 바이러스 71형이 아닌 장 바이러스 감염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주의료원 소 아과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소아 239명을 대상으로, 바 이러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배양검사와 RT-PCR 방법을 사용하였고 EV71 확인을 위해서 VP1 유전자의 유전 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성별, 연령, 발병 시기 및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고 환자들을 주된 진단명에 따라 A군(피부 발진이나 구협염 등의 장 바 이러스 감염 증세를 보이면서 식욕부진, 복통, 구토와 설사 등 급성 위장관염 증세가 주된 환자들), B군(피부 발진이나 구협염 등의 장 바이러스 감염 증세를 보이면서 하기도 감 염 증세가 주된 환자들), C군(상기도 감염증세와 함께 구내 궤양이나 피부 발진 등을 보이는 환자들), D군(주로 두통, 마비, 수막염 증세 등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으로 나누어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87명 중 A군은 16명(18%), B군은 21명(24 %), C군은 42명(48%), D군은 8명(9%)이었으며 전체(87명)적으 로 포진성 구협염은 63명(71%), 발진은 40명(46%), 발열 증 상은 50명(57%)에서 있었고 평균 발열 기간은 3.3일이었다. 장 바이러스 71형 양성 반응 환자 11명에서 A군이 1명, B군이 2명, C군 7명, D군이 1명이었으며 피부 발진 8명(73%), 포진 성 구협염 9명(82%), 발열 증상이 8명(73%)로 나타났고 평균 발열기간은 2.71일이었다. 위장관 증상은 8명(73%)에서 나 타났고 신경학적 증상을 보인 환자는 2명 있었다. 결 론: 2000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제주도 소아 에서 발생한 장 바이러스 감염은 특징적인 장바이러스 감염 의 임상 소견을 보인 수족구병이나 구협염 및 무균성 수막 염 외에도 하기도 감염, 급성 위장관염, 등과 함께 많은 경 우에 동반되었다. 장바이러스 중 심한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자주 초래하는 EV71 감염도 드물지 않게 관찰되었으나 다른 장바이러스 감염과의 임상양상의 중증도 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

        Effect of precursors and stress factors on yeast isolated from fermented maesil extract and their biogenic amine formation

        윤소희,이상현,이선영,문보경 한국식품과학회 2024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3 No.1

        Biogenic amines are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and can act as harmful substances. Strains related to the fermentation of maesil extract were identified and Clavispora lusitaniae and Pichia kluyveri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iogenic amines and precursors, NaCl or ethanol. Biogenic amine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mong precursors added, arginine was most effective for the biogenic amines formation. After 24 h incubation, the content of total biogenic amines increased from 37.60 to 51.75 mL/L for C. lusitaniae and from 2.60 to 33.30 mL/L for P. kluyveri in arginine-added medium. The number of yeast decreased in both NaCl- and ethanol-YM broth added with arginin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yeast and biogenic amin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by yeast wa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rather than a single factor, such as decarboxylase activity and stress factor.

      • 21세기 불교의례를 위한 세계불학

        윤소희 세계불학원 2022 세계불학 Vol.- No.1

        한국의 불교의례와 율조는 수백년간의 억불과 일제의 억압으로 시대에 부합하는 합리성과 지성적 논의의 기회를 놓친 상태로 20세기를 맞았다. 성인이 된 사람에게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주신다”는 식의 의례와 신행, 조선조 억불사회에서 불교가 폄하된 상태로 문화재가 된 산대극과 여타의 콘텐츠도 있다. 이들의 본래 모습을 인도・동남아・한・중・일 등, 한국에 영향을 준 외부의 자료를 통해 객관적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괘불이운의 원형 탕카의식, 시련의 원형 반차도, 작법무의 원류 티베트 호법무를 보면 전후좌우 맥락이 탄탄할 뿐만 아니라 그 절차만으로도 종일 소요되는 장엄한 의례이다. 그런데 이들이 한국의례에 혼재되어 있으니 옥상옥이 되거나 의례맥락에 혼선을 주기도 한다. 또한 한국에 없는 사료들이 주변국에 있는 경우도 많아 이들 모자이크를 이어 붙여서라도 한국불교문화의 저력을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 진언종에서는 진언을 설하기 위해서 이중・삼중의 인가를 받아야 하고, 밀교종파는 티베트와 일본 모두 승려만이 범패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선교통합의 중국, 현교를 추구하는 일본의 법상종은 승려와 대중이 함께 범패를 하는데, 밀교 종파가 아닌 한국에서는 왜 의례와 범패는 승려만이 할 수 있는 것인가? 범패를 누가 하느냐 하지 않느냐 보다 그렇게 해야 하는 교의적 이유와 설행의 일치성이 중요하다. 대만의 성운대사는 “범패는 사람이 들으라고 하는 것이지 불보살이 들으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고 하였다. 매일 10시마다 밥을 올리기보다 조석예불에서 경전염송을 한 구절이라도 하는 것이 더 유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대에 맞지 않은 여러 가지 신행관습이 있다. 전통은 옛날 그대로 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현대에 맞게 적용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21세기 현대인의 지적수준과 객관적 합리성에 부합하는 의례와 음악을 위해서 세계불학이 필요하다. Korean Buddhist rituals entered the 20th century with missing opportunities for rational and intellectual discussions which correspond to this zeitgeist. Therefore, Korean Buddhism has sham rituals the same as “Santa will give a present” to an adult or which fail to reflect modern Buddhism. It is due to both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a policy to obliterate Korean culture by Japanese imperialists. This writing considers this issue and how to correct the Korean Buddhist ritual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Buddhism. The Taiwanese Great monk Xīngyún said, “Beompae is not for the Bodhisattvas to listen to but for the people to do.” The ritual of the percussion quartet, the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and Buddhist scroll painting were not in the original rites are not in the original Buddhist rituals. These were performed to attract public attention or by historical custom, rather than to act in accord with doctrinal purposes. It is necessary to obtain double or triple approval in order to chant mantras in the Japanese Shingon sect. Beompae can only be sung by monks in Tibet and Japan who belonged to Esoteric Buddhism. Meanwhile, monks and laymen sang Beompae together in China which belonged to the Seon(Zen) Buddhism, and in the Silla Dynasty which didn't accept Esoteric Buddhism. It is more important to be consistent with the Buddhist doctrine than to sing it. A rite that does not match the rationale and the present situation cannot have the ceremonial function, and even less can obtain the consensus of the people. Both rituals for ritual’s sake and adherence to traditions for tradition’s sake are the ways for Buddhism to a path to extinction from the masses. The words of Ven. Xīngyún has great implications for Buddhist rituals and music. Tradition has no value in keeping it as they were in the past, but in applying its lesson to the present times. We need World Buddhology to have Buddhist rituals and Buddhist music that can meet the level of awareness and rationality of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스리랑카 찬팅율조와 공양타주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4 No.-

        본고를 통해 고찰한 스리랑카(Sri Lanka)의 찬팅(chanting) 율조(律調)에 대한 내용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스리랑카 · 태국(泰國) · 미얀마(Myanmar)는 서로 전법을 주고받을 정도로 공동체적 연결고리가 있다. 이들 율조를 살펴보니 미얀마의 찬팅은 선율의 장식음(裝飾音)이나 요성(搖聲)이 거의 없고, 태국은 장식음과 요성이 있기도 하지만 다소 경직된 울림인데 비해 스리랑카의 발성(發聲)과 율조(律調)는 부드러운데다 다양한 요성(搖聲)과 장식적 표현이 있어 “팔리어 율조는 스리랑카가 최고”라는 말이 사실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처님 예경(禮經)의 귀경게를 미얀마나 태국에서는 ‘나모 따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스리랑카에서는 ‘나모 따스~’와 같이 ‘으’ 로 발음하고, 이 외에도 음 소리 모음창(母音唱)이 많았다. 더불어 일직선으로 지속되는 음에 연속적으로 장식음을 구사하는 점이 영남범패(嶺南梵唄)의 음 소리와 거성에서 구사하는 선율과 닮았고, 빠른 패턴의 송경(誦經) 율조는 한국의 엇모리장단과 닮은 점이 있었다. 셋째, 밤새도록 하는 송경 율조는 크게 보아, 무박절(無拍節)의 느리고 아정(雅正)한 선율과 리듬 패턴이 느껴질 정도로 다소 신명나는 율조의 두 가지가 있고, 지속되는 긴 찬팅은 후반으로 갈수록 조금씩 빨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보리수(菩提樹) 공양(供養)이나 사찰(寺刹) 행사에 연주되는 호라나바(Horanȁva: 太平簫)가락은 도약(跳躍) 선율이 거의 없고, 음역 또한 6도 이상을 넘어서는 경우가 없고, 리듬 패턴도 마찬가지여서 사찰기악(寺刹器樂)도 찬팅 율조의 범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스리랑카의 불교문화와 찬팅 율조가 인도문화와 동일 계통이며 초기 인도 불교승단(佛敎僧團)이 했던 찬팅 율조와 원형적 명맥이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국 한어(漢語) 성조(聲調)의 형성과정에 인도 경전(經典)의 범어(梵語)가 큰 영향을 주었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중국 당풍(唐風) 범패(梵唄)의 영향을 받은 한국 범패와 스리랑카 찬팅 율조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불교문화권(佛敎文化圈)의 그 어떤 지역 보다 스리랑카의 찬팅 율조와 표현 방식이 한국 전통 성악곡과 닮았다는 점은 스리랑카 찬팅 율조을 가교(架橋)로 삼아 한국과 인도음악과의 관계를 찾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s chanting melody and the performing arts of Sri Lankan Buddhist ceremonies by investigation in Sri Lanka. It can be summarized as four brief contents. First Sri Lankan monk is pronounced as “Namo tass~”, unlike “Namo Tassa~” in Myanmar. The Pali chanting melody of Myanmar is very simple and smooth but there are more vibrato and ornamental tones in Sri Lankan melodies. It is the same as any Buddhist sect introduced from Thailand or Myanmar. By this fact I could estimate that they have kept their original Pali reciting tone, even though the tradition was broken during the period of western colonization. Secondly, taking a broad view, there are two features of the melody. One is slow melisma; another is a moderate tempo rhythm. Also, the melody pattern of the nightlong Paritta Chanting becomes gradually faster. Beside that, the melody and rhythm of the Horanȁva (Sri Lankan Trumpet) is a conjunctive motion including micro tones at a range of within every 6th interval. The melodic types are two kind of like chanting style, and so it resembles the chanting melody. Third, the chanting tone came from the early Buddhist Saṅghaṃ in North India, which is related to the Veda chanting melody and raga. I was surprised that Sri Lankan chanting is closer to Korean traditional melody and vocalization than any other Buddhist country. Fourth, there are many ‘ŭm’ 음 vowel sounds and some melody with ornament tones in Sri Lankan chants. The two features are similar to Korean Buddhist chants, i.e. Yŏngnam pŏmp'ae 嶺南 梵唄 (the Buddhist chant of Yŏngnam region). And the moderate rhythm pattern resembles the Korean rhythmic cycle known as ŏmmori changdan 엇모리장단. The words of Indian Buddhist Sutra effected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phoneme, and the melodies of Chinese Buddhist chants were influenced by Indian Buddhist chants.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e Sri Lankan chanting melody and the Korean Yŏngnam pŏmp'ae, which maintains the Buddhist modes of Tang Chinese style, have some similarity. There is much scope fo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of Korea and In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