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윤소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overcoming frustration such as a cause of the frustr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counter in their development processes, its management, and a change caused by overcoming it. Methods A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K who had experience of overcoming frustration,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Expres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s they were through open coding and classified into high categori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comparing them repeatedly. Based on what was categorized,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categories, which corrected and confirmed them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was carried out, and member check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x subcategories as a cause of frustration were derived from top categories of cause of frustration, metho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nd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ailure to respond adequately to the needs of a variety of education consumers, sense of shame and self-destruction of being incompetent as a teacher, desperate feelings that nothing is accomplished in spite of making an effort, difficulty in facing one’s wrongdoing and feelings, fear that a tough case is likely to recur at any minute, and school administration that is passive in helping to solve problems. Four methods were derive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ttempting to develop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or voluntary learning and reflection, taking courage from collaboration and empathy with fellow teachers and managers and their support, getting away from ascribing to external stimuli and promoting inner growth through exploration, and trying to forget every case and prevent from recurring by transferring to another school or choosing subject teacher. As for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ive subcategories were derived: having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positive change in communication style, putting excessive greed aside and being able to perform a task with a calm and peaceful mind, accepting the limits of the teacher’s realistic role and maintaining affection for the students, becoming humble and mature through an expanded self-love and undestanding of other people, and having an open mind that overcoming completely is not possible and frustration may be able to happen again at any time. Conclusions A groundwork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over coming frustration was laid by systematically determin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 coming frustration, and perception and academic interest saying that frustration was an existential problem of human were arous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got away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which had focused on the stages of the teachers’ developmen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revealed the meaning and positive impact of over coming frustration in the teachers’ development processes.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그들의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좌절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처, 좌절의 극복으로 인한 변화 등 좌절극복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좌절 극복의 경험이 있는 K지역 초등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수정⋅확정하는 범주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결과 분석결과, ‘좌절의 원인’, ‘좌절에 대한 대처 방식’,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라는 3개의 상위범주 아래 좌절의 원인으로 ‘다양한교육수요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함’, ‘교사로서 무능하다는 수치심과 자괴감’, ‘노력해도 되지 않더라는 자포자기의 심정’, ‘자신의 잘못과 감정에 직면하는 것이 어려움’, ‘힘든 사건이 금방이라도 재발할 것 같은 두려움’, ‘문제해결을 위한 도움에 소극적인학교행정’의 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좌절에 대처하는 방식으로는 ‘학습공동체나 자발적 학습, 성찰을 통하여 발전을 시도’,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협업, 공감, 지지로 용기를 얻음’, ‘외부의 자극 탓에서 벗어나 탐색을 통해 내면적 성장을 도모’, ‘전근하거나전담을 선택하여 사건을 잊고 재발을 방지하고자 함’으로 4개가 도출되었다.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로는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깊은이해와 소통 방식의 긍정적 변화’, ‘지나친 욕심을 내려놓고 평온한 마음으로 직무를 수행하게 됨’, ‘현실적인 교사 역할의 한계를 받아들이면서 학생에 대한 애정을 유지함’, ‘자신에 대한 사랑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넓어져 겸허하고 성숙해짐’, ‘완전한 극복은 없고좌절은 언제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열린생각’으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좌절 극복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좌절은 인간의 실존적 문제라는 인식과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교사발달의 단계와 특성들에 중심을 두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 발달과정에서 좌절극복의 의미와 긍정적 영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대처 과정 탐색

        윤소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 특수교사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과 대처 과정을 통해 심리적 소진의 원인, 회복에 도움이 된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으로 인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심리적 소진의 경험이 있는 초등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과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를 분류하고,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범주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분석 결과, 심리적 소진의 원인, 심리적 소진 회복에 도움이 된 대처, 심리적 소진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3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아래 ‘학생의 도전행동’, ‘특수교사라서 받는 부당한 대우’, ‘동료애를 느끼기 위한 노력’,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습과 성찰’, ‘장애 학생을 더 잘 이해하게 됨’, ‘더 나은 교사로 성장’ 등 총 1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es of psychological burnout, coping methods that helped recovery, and changes due to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coping process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upper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rough open coding and categorization, the categories were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based on the categorized content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 identification method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uper-categories were derived: the cause of psychological burnout, the coping that helped recover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change due to the psychological burnout experience. Below that, ‘Students’ challenging behavior’, ‘Unfair treatment received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Efforts to feel a sense of camaraderie’, ‘Learning and reflection to improve professionalism’, ‘Being able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tter A total of 11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Growing up as a teac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부적응 학생의 학업중단예방 및 학교적응을 위한 상담

        윤소민 한국카운슬러협회 2014 相談과 指導 Vol.49 No.-

        교육부와 여성가족부는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의 적극적 대응과 학교 밖 청소년 에 대한 부처 간 협력을 통한 유기적인 지원체제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학업중 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을 수립하였다(교육부, 여성가족부, 2013. 11. 28 일 보도자료).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KCI등재

        문화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국제영화제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윤소민(Yoon Somin),정지은(Jung Jieu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3

        국제영화제는 문화예술축제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며, 영화제가 개최되는 지역의 관광산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기에 영화제에 대한 국가의 지원정책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제영화제는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지원 규모가 매년 다르게 결정되면서, 영화제의 운영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제영화제가 대표적인 문화상품으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와 조직위원회, 시민 단체 등의 협업 관계가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제영화제의 운영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각 행위자들의 역할 관계가 문화거버넌스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제영화제의 대표적인 두 사례로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꼽아 문화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민간ㆍ공공 영역에서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우리나라의 국제영화제가 문화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위원회(예술단체 및 전문가), 시민(관객, 시민), 지방정부 및 지자체의 상호협력 관계가 중요하다. 모두 상호관계를 가진 동반자로서 신뢰와 협동이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공과 민간부문의 수평적 관계 형성은 성공적인 국제영화제 개최의 원동력으로 작동하여, 바람직한 문화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영화제의 중요한 참여 주체들을 살펴보고, 문화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한 그들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영화제의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영화제 관련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A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re the most popular type of all culture and art festivals and exerts positive effects on the host region s tourism industry, the country provides active supports for film festivals. Lately, however, the size of support f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varies each year with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of Korea, film festivals experience much difficulty in their operation. In order f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Korea to be competitive as the country s major cultural products, it is imperative that local governments, organizing committees, and civic organizations work together. Nevertheless, the problem with the 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Korea is that the relationship among the agents roles fails to form cultural governance.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uche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as the country s two leading international festivals and thereby explored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th a view to forming cultural governance. Looking ahead, in order for the international festivals of Korea to form cultural governance, it is crucial to forge cooperation among culture market (artists, artist groups, cultural enterprises), organizing committees, citizens (audience and ordinary people), local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Since all parties are partners in mutual relationships, trust and cooperation must be presupposed. Therefore, forming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serve as the driving powe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therefore can create desirable cultural governance. The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esented working-level guidelines for film festivals and created cornerstones for the studies related to film festivals by surveying the major participants of the country 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describing their roles in creating cultural governance.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윤소민(So-Mi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초⋅중⋅고 학생들의 경험과, 코로나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의 대응을 심도있게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코로나19를 경험한 K지역의 초⋅중⋅고 전문상담교사 6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확정하거나 수정하는 범주확인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결과 분석결과, ‘코로나 19로 인한 학교상담 내담자의 변화’,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의 대응’이라는 2개의 상위범주아래 ‘코로나19로 인해 한계가 없어진 생활’, ‘소통과 상담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시도’, ‘소수 내담자에 집중적인 개입과 높은 효과’ 등 각 4개씩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담자 발굴을 위한 시스템 마련’, ‘다양한 상담방법의 제도화’, ‘공유 플랫폼 마련’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와 같은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학교상담의 대응과 코로나 이후의 ??에 대한 학교상담의 선제적 대응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elucidate not only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the responses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under such a pandemic situation.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six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K region to conduct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As the analysis results, it was derived two super-domains of ‘changes of the counselees in school due to the COVID-19’ and ‘responses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thereby entailing a total of eight sub-domains such as ‘daily life with no boundary because of the COVID-19’, ‘various attempts for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intensive intervention on the minority counselees and consequent high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e action items such as ‘preparing the system for identifying a counselee who needs help’, ‘systemizing the various counseling methods,’ and ‘arranging a sharing platfor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not only for the response of school counseling under social crisis situation like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for the preparation of the preemptive measures in school counseling on the normal daily life after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남녀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윤소민(So-Mi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과 남녀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2018)의 1차년도 초 4학년 2,399명(남 1,193명, 여 1,206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기분석 모형을 통해 그릿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jamovi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제변인으로 개인발달 요인을, 독립변수로 부모양육태도(긍정/부정),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로 그릿을 선정하였다. 결과 첫째,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남학생에게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적 양육태도는 남녀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여학생에게서 더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남녀 모두에게 통계적 유의수준의 영향력을 보였으나 남학생에게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친구관계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그릿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달환경 요인인 부모양육태도, 스마트폰 의존도, 친구관계, 교사관계에 대하여 남녀 성별에 따라 중요도가 반영된 효율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유관기관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al factors(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on grit an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according to gender were analyzed. Methods For this purpose,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grit-related variables for 2,399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93 males, 1,206 female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parenting attitude(positive/negativ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grit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First, in the relative influence on gri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ale students, wherea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s and females, and showed a higher influence in female students. Second, smartphone depend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males and females, but showed a greater influence on male students. Third, friend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Finally, the teacher relationsh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influence on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promote the gr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possible to find an efficient method that reflects the importa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dependence,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o homes,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etc.

      • KCI등재

        문화도시 정책의 주요 쟁점과 함의 도출에 관한 연구

        정지은,윤소민 한국문화산업학회 2024 문화산업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 정책의 주요 변화과정과 함의를 살펴보고, 본 내용을 바탕으로 1~4차에 선정된 법정 문화도시 사례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문화도시의 지속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4차 법정 문화도시 사업은 ‘장소’, ‘콘텐츠’, ‘인력및 추진기반 구축’ 사업들을 중심으로, 지역만의 도시브랜드 창출 및 도시 활성화를 구축하였다. 둘째, ‘대한민국 문화도시’에서는 ‘지역’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화’와 ‘연대’를 강조하였다. 셋째, ’대한민국 문화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전 사업과 연계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넷째,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한민국 문화도시‘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 정책의 주요 변화들을 살펴보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도시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문화도시‘가 지정되고,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각 권역별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례들을 깊이 있게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전 ’법정 문화도시‘와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 및 사례를 비교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문화도시 정책과 관련된 미시적, 거시적 관점의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scrutinized the principal evolutionary trajectories and ramifications of cultural city policies, subsequently delving into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designated Legal Cultural Cities across phases 1 through 4. Through this inquiry, we endeavored to explore diverse strategies for fostering the sustained advancement of cultural cities. Summarizing our findings, we delineate the following. Firstly, the initiatives undertaken in phases 1 through 4 of the Legal Cultural City projectswere centered around the establishment of urban brands and the revitalization of urban areas, focusing on 'Hardware', 'Software', 'Humanware', and the development of governance structures. Secondly, the 'Korean Cultural City' initiative underscored the significance of 'region' while accentuating the values of 'culture' and 'solidarity'. Thirdly, to ensure the continual progress of the 'Korean Cultural City',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coherence with preceding endeavors. Lastly, a systematic framework for supporting the 'Korean Cultural City' on a medium to long-term basis is essential. This study is poised to furnish a pertinent repository of knowledge concerning the pivotal shifts in cultural city policies. Moreover, based on our research, we proffer the following avenues for prospective inquiries into cultural cities. As the 'Korean Cultural City' initiative unfolds and projects materialize,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regional instances of 'Korean Cultural City' can be undertaken. Additionally, comparative studies examining past initiatives such as 'Legal Cultural City' projects in comparison to the 'Korean Cultural City' endeavors are warranted. Through these endeavors, we anticipate the emergence of a diverse array of scholarly investigations into cultural city policies frombothmicro andmacro perspectives.

      • 국제영화제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지은,윤소민 서비스마케팅학회 2017 서비스마케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06

        최근 국제영화제는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지원 규모가 매년 다 르게 결정되면서, 영화제의 운영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국제영화제는 개최되는 지역의 관광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기에 영화제에 대한 국가 의 지원정책은 예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제영화제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조직위원회, 지방 정부, 시민 단체 등의 협업 관계가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제영화제의 운영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각 행위자들의 역할 관계가 문화거버넌스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우리나라의 국 제영화제의 대표사례로 꼽아 문화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민간·공공 영역에서 협 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향후 우리나라의 국제영화제가 문화거버넌스를 형 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시장(예술인, 예술단체, 문화기업), 조직위원회, 시민(관객, 시민), 지방정부 및 지자체의 상호협력 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민간과 공공부문의 수평적 관계 형성은 성공적인 국제영화제 개최의 원동력으로 작동 하여, 바람직한 문화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영화 제의 중요한 참여 주체들을 분석하고, 향후 문화거버넌스를 형성하기 위한 그들 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영화제의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영화제 관련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중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정혜진,윤소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middle school students' anger expressions. Methods For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for 221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119 male students and 102 female students). For the analysis, a 3-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nal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mpa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contro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elf-compa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out and anger-in, bu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 control. Secon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anger-in had no a mediating effect. But it appears to be perfectly mediating anger control.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 self-compassion attitude in counseling. Also, in the future, it is meaningful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unseling and the life guidance to teenagers having a problem of anger expressions.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에 재학 중인 중학생 221명(남학생:119명, 여학생:1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자료분석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하위요소와의 상관에서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조절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자비는 분노표출, 분노억제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이루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의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분노표출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고,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노조절과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문제의 상담적 개입에 있어 자기자비의 증진을 고려한 접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차후 역기능적인 분노표현을 가진 청소년들에게 상담 및 생활지도 등에서 구체적인 개입방법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