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자연치유된 조기파막의 1예

        유형재,조상원,이희동,최한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82 충남의대잡지 Vol.9 No.2

        A case of spontaneous healing of prematurely ruptured membrane is presented. This case had taken McDonald operation at 22nd week of gestation for IIOC. Amniotic fluid leakage appeared from the next day of the operation. It was confirmed by vaginal finding, vernix and fetal hair as well as pH. With Trendelenburg posture and complete bed rest with uterine tocolytic drugs, no more leakage was shown within eight days. Pregnancy continued up to 33rd week, when spontaneous amniotic rupture occurred again and normall delivery followed soon. Baby was normal healthy male(1,890gm.). Mother and baby both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 although the baby had been kept in incubator for 37 days.

      • KCI등재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HB1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

        유형재,이선숙,이동석,김한복 한국미생물학회 2003 미생물학회지 Vol.39 No.3

        다양한 유산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동치미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동치미에서 분리된 균주는, 당이용성과 16S rRNA 유전자분석을 통하여,Lactobacillus plantarum HB1으로 밝혀졌다. 이 균주는 Gram 양성균이었으며, catalase를 갖고 있지 않았다. 16S rRNA유전자의 염기배열 120 bp을 분석해 본 결과,1~88 bp 영역에서는 기존의 것과 거의 100%의 상동성을 보여 주었고,나머지 32 bp의 영역에서는 상당한 변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균주는 기존의 L. plantarum과는 다른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치미의 무에 포함되어 있는 질산염은 체내에서 아질산염으로 바뀐다. 아질산염은 아민과 반응을 일으켜 니트로사민이 되는데, 이 성분은 위암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인자중의 하나이다. 동치미에서 분리된 본 균주의 배양액에 400 ${\mu}M$의 아질산염을 첨가한 경우 1시간30분 후에 거의 소거되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관여하는 본 균주 배양액 중의 특정성분의 분리, 소거작용 기작 등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 To obtain large pools of lactic acid bacteria, a strain was isolated from Tongchimi. Through its sugar fermentation and analysis of 16S rRNA gene, it was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plantarum HB1. This strain is Gram-positive and catalase-negative. In the range of 1~88 bp in the HB1 16S rRNA gene, the HB1 strain was homologous with other L. plantarum strains by almost 100%, and in the range of the rest 32 bp, the HB1 strain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 compared to other strains. Nitrate which may exist in radish can be easily converted to nitrite. The nitrite interacts with amine, and becomes nitrosamine which may cause stomach cancer. The culture obtained by HB1 strain could eliminate 400 ${\mu}M$ nitrite within 1.5 hr. It is necessary to isolate specific components which are involved in nitrite elimination in the culture and to study on its mechanism.

      • KCI등재

        보리, 쑥, 다시마, 대두 혼합물의 청국장 발효

        유형재,이동석,김한복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1

        보리, 쑥, 다시마, 대두를 재료로 하고 Bacillus licheniformis Bl을 접종하여, 맛과 향이 향상된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본 혼합발효에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발효시작 하루만에 최대치에 이르렀으며, 발효시작 2일만에 pH는 8.4까지 증가하였다. 당과 아미노산에 의해 생성되는 갈변물질은 초기에 비해 20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으로 대두에 보리, 쑥, 다시마를 혼합하여도 청국장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thanol과 methanol에 녹인 혼합 발효분말의 농도를 각각 0.2에서 1%(w/v)로 증가시킬수록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도는 증가하였다. 항산화도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Methanol에 1%의 분말청국장을 녹였을 때 항산화도가 가장 높았다. 고혈압군이 본 혼합 발효분말 20 g을 복용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2시간 지나 10 mmHg 떨어지는 강하효과가 있었다. 또한 맛과 향의 선호도면에서 보리, 쑥, 다시마가 포함된 혼합 발효분말이 발효대두보다 t검정으로 유의적으로 높음을 보였다. 혼합 발효분말은 앞으로 혈압강하용 기능성 청국장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were fermented by Bacillus licheniformis B 1 to make Chungkookjang with better flavor and aroma. Maximal protease activity in mixed grains was observed one day after inoculation. pH increased to 8.4 two days after inoculation. Browning material derived from interaction between sugar and amino acids increased 20-fold. Thus, it is proved that Chungkookjang can be made in the mixed grains. Antioxidant activities of mixed fermented grains dissolved in ethanol or methanol (0.2 and 1 %) increased depending on their concentration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One % of powder Chungkookjang dissolved in methanol showed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Systolic blood pressure of hypertensive volunteers who took 20 g of mixed fermented powder decreased on average by 10 mmHg in 2 h. Preference of mixed fermented soybean containing barley, wormwood, sea tangle to fermented soybean was demonstrated by t-test analysis. Mixed fermented grains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to lower hypertension.

      • KCI등재

        Bis 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via Activation of HSF1

        유형재,임창임,윤동예,윤혜현,이정화 대한약리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8 No.5

        The Bis protein is known to be involved in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apoptosis,migration, autophagy as well as protein quality control. Bis expression is induced in response to anumber of types of stress, such as heat shock or a proteasome inhibitor via the activation of heatshock factor (HSF)1. We report herein that Bis expression is increas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in HK-2 kidney tubular cells and A172 glioma cells by exposure to oxidative stress such as H2O2treatment and oxygen-glucose deprivation, respectively. The pretreatment of HK-2 cells with N-acetylcysteine, suppressed Bis induction. Furthermore, HSF1 silencing attenuated Bis expression that wasinduced by H2O2, accompanied by increase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Using aseries of deletion constructs of the bis gene promoter, two putative heat shock elements located inthe proximal region of the bis gene promoter were found to be essential for the constitutive expressionis as well as the inducible expression of Bi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oxidative stressinduces Bis expression at the transcriptional levels via activation of HSF1, which might confer anexpansion of antioxidant capacity against pro-oxidant milieu. However, the possible role of the othercis-element in the induction of Bis remains to be determined.

      • KCI등재

        발효 보리, 쑥, 다시마, 대두의 항산화효과

        유형재,이승훈,이동석,김한복 한국미생물학회 2002 미생물학회지 Vol.38 No.3

        활성산소는 많은 경우에 성인병, 염증, 암, 동맥경화 등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항산화물질의 섭취는 성인병 예방이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리, 쑥, 다시마, 대두는 자연식품으로 항산화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을 발효시켰을 때, 원재료에 비해 항산화도가 증가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였다. 항산화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하였다. 보리, 쑥, 다시마, 대두를 Bacillus licheniformis Bl으로 발효 시켰을 때, ethanol 추출 발효산물의 항산화도는 원재료에 비해 각각, 2.6, 1.6, 2.7, 1.7배로 증가하였다. 또한,250∼300 nm에 걸쳐 발효대두의 ethanol 추출성분의 peak 영역이 대두의 것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이는 이런 구성성분의 차이가 양 항산화도의 차이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Paraquat는 Escherichia coli내부에서 활성산소를 만들어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thanol로 추출한 발효대두 성분은 paraquat 의한 균의 억제를 회복시킬 수 있었다. 이는 발효대두 성분이 체내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Superoxide is involved in causing inflammation, cancer, and arteriosclerosis in many cases. Taking antioxidant material can be helpful in preventing the diseases. Natural food such as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contain antioxidant ingredients.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 was determined by fermenting them with microorganism. To determine the activit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olution was used. When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were fermented with Bacillus lichenifomis Bl,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fermented product increased 2.6, 1.6, 2.7, and 1.7 folds, respectively. Also, absorbance of fermented soybean was higher than that of soybean at the range of 250~290nm, which might be involved in differences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two. Paraquat suppressed Esherichia coli DH5$\alpha$ growth by making superoxide inside the strain. However, when ethanol extract from fermented soybean was added into the GM (glucose-mineral) media containing the strain, its growth was recovered, suggesting that ethanol extract can move across E. coli, and can function as anti-oxidant material in vivo. Thus,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e antioxidant material from fermented soybean which can be taken orally.

      • KCI등재

        청국장에 존재하는 Isoflavone의 Mass분석

        유형재,황재성,김한복,Yoo, Hyung-Jae,Hwang, Jae-Sung,Kim, Han-Bok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1

        청국장은 미생물, 효소,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대두발효식품으로 정장, 핼액순환개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청국장에 존재하는 isoflavone이 유방암, 전립선암의 억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PLC와 Mass 분석을 통해 분말청국장 100% ethanol추출물에 aglycone 형태의genistein, daidzein, glyciten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당이 붙어 있는 genistin, daidzin, OH기가 추가적으로 붙어 있는 8-OH-genistein, 8-OH-daidzein은 존재하지 않았다. Estrogen 수용체에는 $ER{\alpha},ER{\beta}$가 있다. $ER{\alpha}$는 유방암, 전립선암의 촉진에, $ER{\beta}$는 이들 암의 억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인간의 estrogen 수용체가 cloning되어 있는 효모의 전사촉진 assay를 이용하여, 청국장에 있는 isoflavone이 $ER{\beta}_{1}$를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contains microorganism, enzyme, and diverse bioactive compounds. Isoflavones in Chungkookjang might suppress breast and prostate cancers. Using HPLC and Mass analyses, it was found that 100% ethanol extract of Chungkookjang contains aglycone forms such as genistein, daidzein, and glycitein. 8-OH-genistein, 8-OH-daidzein were not found. There are two estrogen receptors, $ER{\alpha},ER{\beta}$. $ER{\alpha}$ might stimulate proliferation of breast and prostate cancer cells, and $ER{\beta}$ might suppress their growth. Using yeast transactivation assay under the control of human ER expres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isoflavones in Chungkookjang can stimulate $ER{\beta}_{1}$, selectively.

      • KCI등재

        청국장으로부터 Angiotensin I 전환효소 저해 Peptide의 분리

        송정이랑,유형재,황재성,이동석,김한복,Matsui Toshiro,Yoo Hyung Jae,Hwang Jae Sung,Lee Dong Seok,Kim Han Bok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한국의 전통 대두 발효식품 청국장이 정장, 혈액순환 개선 둥의 기능성식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청국장은 발효가 되면서 미생물, 효소,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크게 증가하며, 그 중에는 peptide류도 포함된다. 청국장 Peptide류의 형성은 SDS-PAGE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청국장의 수용성 아미노산중, Tyr, Gln-Lys, Trp, Gln, Lys-Pro 등이 주요성분으로 발견되었고, Lys-Pro (0.083 mg/100 g 시료)가 HPLC에 의해 분리되었다. Lys-Pro은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저해효과 $(IC_{50}=32.1{\mu}m)$를 지니고 있었다. 고혈압군이 분말청국장 20 g을 복용하고 2시간 지났을 때, 수축기 혈압은 15 mmHg, 이완기 혈압은 8 mmHg떨어지는 강하효과가 있었다. 청국장은 ACE 저해제와 혈압강하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혈액순환개선에 상당한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Chunkoo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emerges as a functional food to improve intestinal function and blood circula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microorganisms, enzymes, and diverse bioactive compounds increase sharply. Chungkookjang contains diverse oligo-peptides. Formation of peptides was confirmed by SDS-PAGE. Solube fermented soybean in our sample contained Tyr, Gln-Lys, Trp, Gln, and Lys-Pro as major components. Lys-Pro (0.083 mg/100 g sample) was purified by HPLC analysis.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causes hypertension by converting angiotensin I to angiotension II. ACE inhibitory activity of Lys-Pro was determined to be $IC_{50}=32.1\;{\mu}M.$ Whether or not eating Chungkookjang can lower blood pressure was also determined. Sistolic blood pressure dropped by 15 mmHg,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y 8 mmHg 2 hr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20 g of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might be helpful in improving blood circulation since it has ACE inhibitor and antihypertenisv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