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유하얀,김미옥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0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 depth the aspects, meaning, and context of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d by social 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reby suggesting their social-welfar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B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seven social workers at six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ix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be grouped into 5 upper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In the familiar way as it is,’ ‘I and we changing first,’ ‘Understanding and giving way,’ ‘Continuing endless worries,’ and ‘Faced with limitations beyond control.’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social-welfare methods for establishing equal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orkers an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6개 지역에 있는 장애인거주시설 6개소의 사회복지사 7명이었으며, 개별심층면접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 관계 경험은 5개의 상위범주와 22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으며, <익숙했던 모습 그대로>, <나와 우리가 먼저 변화되고>, <이해하고 양보하고>, <끝이 없는 고민이 계속 되고>, <어쩔 수 없는 한계에 부딪치고>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관계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지원 경험

        유하얀,김미옥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support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residential facilitie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r this purpose, an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6 social workers from 4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natural right to choose and decide on their own what they want to do’. Meanwhile, it was found that social workers were going through practical dilemmas due to limits of communication, confusion of rights with responsibilities, conflicts between practices and various values, physical constraints of residential facilities, obligation of protection and responsibilities, and so on. With all the difficulties above, showing interest in and affection to the users, and cultivating wisdom of practices, building collaborative relations based on self-reflection, and expanding the scope and opportunities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were emphasized to exp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efforts to suppor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cluded the changes in users’ daily lives and their more facial expressions. And it was found that service providers recognized the boundary which they solidified themselves and had a tendency to move toward the user-centered practices. In addition, attempts were being made to change the service environment and procedur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that support fo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지원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4개소의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하고 싶은 것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한계, 권리와 책임에 대한 혼돈, 다양한 실천가치의 충돌, 거주시설의 물리적 제약, 보호와 책임의 의무 등으로 인한 실천적 딜레마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에 대한 관심과 애정, 실천의 지혜를 쌓고, 자기성찰에 기초한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맺으며, 자기결정권 보장의 범위와 기회를 확대해야 함이 강조되었다. 자기결정권 지원 노력의 결과로는 이용자들의 일상이 달라지고 표현이 많아졌으며, 서비스제공자들은 스스로 고착화시킨 경계를 인식하고 이용자중심실천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조직차원에서는 서비스 환경과 절차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 확대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옥,김새봄,유하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upported decision-making of adult guardians when providing “public services of adult guardianship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 related issues.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public guardians who were recommended by the guardian organization and discussed related issues. First, regarding the quality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the guardians identified limited guardianship time and guardianship tasks requiring expertise as concerns. Second, the issue of whether it is best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uardianship activities was raised. Discussion on this included: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due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conflict between stakeholders, and conflict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and meeting best interests based on ambiguous decision-making standards. Third, the boundary of the guardianship activities is unclear, raising issues that defined its scope as too wide or narrow.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boundaries for guardian activities due to guardian tasks being difficult to standardize, which sometimes leads to problems in which guardian activities are limited only to property management. In this process, the guardians experienced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issues were raised about whether there we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Finally, the issue of linkage between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and limitations of cooperation were raised, and the need for an effective guardianship supervision system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proposals to stabilize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as a supported decision-making and rights advocacy system.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인의 의사결정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관련 쟁점과 딜레마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후견업무 주관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공공후견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고, 관련 쟁점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후견활동의 질이 담보되는지와 관련하여, 특히 후견활동의 제한된 만남, 후견업무의 다양성에 따른 적절한 대응의 어려움이 제기되었다. 둘째, 후견활동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보장만이 최선인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제한적인 상황 이해, 이해당사자의 의견충돌과 관계갈등, 모호한 의사결정기준으로 자기결정권 보장과 최선의 이익간의 충돌 등이 논의되었다. 셋째, 후견활동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거나 좁은 것으로 규정되는 쟁점이 제기되었다. 이는 표준화가 어려운 후견활동으로 인하여 그 경계 짓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때론 재산관리로만 제한되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후견인은 신체적,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후견과정에서 발달장애인의 의사결정능력 향상 기회가 있는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관련기관의 연계와 협력의 제한성이 제기되면서 실효성 있는 후견감독체계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를 규명하고, 공공후견제도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의사결정지원과 권리옹호적 제도로서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배분의제 2-3차년도 성과평가(소외) - 장애인의 안전한 삶 지원 사업 -

        김미옥,김동기,김소영,오양래,유하얀,정준영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2019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연구보고서 Vol.2018 No.6

        배분의제 2-3차년도 성과평가 연구 : 소외는 지난 3년간 추진된 장애인 안저한 삶 지원 사업에 대한 총괄적인 성과평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반적인 사업 수행 현황을 파악하고, 양적분석을 통해 사업참여자 및 지역사회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분석을 통해 1~3차년도에 걸친 사업의 과정평가와 성과평가에서는 사업의 전체적인 성과와 집중지역으로 선정된 영주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사업의 중거시적 성과를 제시하고 모금회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 반도체 칩 이미지검출 및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계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openCV, YOLOv4)

        박진우(PARK JIN WOO),이선우(LEE SUN WOO),유하얀(YU HA YAN),박호민(PARK HO MIN),김양중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x-ray머신으로 이미지를 확보하여 반도체 칩 인식 정확도 향상을 위해 openCV, YOLO v4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칩 릴 테이프를 선검출 후 칩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3가지 방법으로 이미지인식을 진행한 이유는 openCV Match, labelling,, YOLOv4의 각각 활용하여 결과를 알아보고 장점과 단점을 알고자 하였다. 가장 계수능력이 좋은 방법을 찾아 설득력이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 것이다. 생산현장에서 릴 형태의 반도체 칩을 검출하는 것은 창고관리와 재고관리를 하는데 자재관리 시간을 절약하고 계수 정확도 향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개선방법이다. 따라서, 반도체 릴에 있는 수량파악을 정확하게 해낼 수 있다면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이다. 스마트 공장의 일환으로 x-ray머신을 이용한 계수기를 도입하였으나 계수 정확도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했으며 오차가 발생하였다. 현재 update를 하고 있으나 각 릴마다의 오차는 재고관리에서 수량의 오차를 발생하게 되어 실물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미지를 읽고 계수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coding을 실시하여 결과를 검토하였다. openCV매칭 ,openCV 라벨링으로서는 인식능력에 한계를 보였으며, 상용화단계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단계의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였다. YOLO-V4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 릴 테이프 인식 과정을 모의실험한 결과, openCV매칭,openCV라벨링에서 수작업했던 부분의 단점을 보완하여 계수를 정확하게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 YOLO 기반 X-ray 머신 이미지 반도체 칩 검출 및 인식 기술은 반도체 릴 테이프 칩 계수 속도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