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향상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유채은 한국교류분석학회 2008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향상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 4, 5, 6학년 아동 175명 중 가정폭력 척도 점수가 높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14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Cook 등(2005)이 개발한 가정폭력 노출아동에 대한 치료방법과 이형득(1998)이 개발한 집단상담 발달단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진행방식은 1회기별 120분, 주 1회로 12주에 걸쳐 12회기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우울·불안 척도, 공격성척도, 의사소통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각 두 집단별 사전-사후검사 점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의 효과 비교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향상을 중심으로-

        유채은,김종운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Apprach-based Group Counseling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on the better adaptation of children who a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The two program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re based on ‘The Method of the Treatment of Children who A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by Cook et al.(2005), Pellegrini's(1990) ‘Stress Inoculation Training Programs’ and ‘Group Counseling Development Stages’ by Lee Hyeong Deuk(1998). To analyze effects of the two group counseling programs, the researcher organized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Out of these, the former consisted of 7 children only to whom Individual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while the latter, 7 children and 7 mothers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Each of the two counseling programs was applied over 12 week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programs, children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measured by using the inventories of depression and anxiety, aggressiveness, self-esteem and reaction to stress. For data processing, Wilcoxon Signed Rank was used to compare between scores from the pre- and post-tests of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s. Then Mann-Whitney U Test was made to compare effects of the two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questions as raised in the stud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II, to which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c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self-esteem and reaction to stress from Experimental Group I, to which Individual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Both of the group counseling were effective in reducing children's aggressiveness, bu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discussed implications of both Individual Approach-based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and made suggestions for them. 본 연구는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이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적응향상에 어떠한 효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Cook 등(2005)이 개발한 가정폭력 노출아동에 대한 치료방법, Pellegrini(1990)의 스트레스 면역 훈련 프로그램(stress inoculation training programs)과 이형득(1998)이 개발한 집단상담 발달단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 두 집단상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가정폭력 노출 아동 7명만을 대상으로 하는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정폭력 노출 아동 7명과 그들의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접근 집단상담을 각각 진행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진행방식은 1회기별 120분, 주 1회로 12주에 걸쳐 총 12회기 과정이었다. 개별접근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Ⅰ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Ⅱ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우울·불안 척도, 공격성척도, 자아존중감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 점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의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종속변수에 나타난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 간에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Ⅱ는 개별접근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Ⅰ보다 우울․불안,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공격성에 있어서는 집단상담의 효과는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 진로장벽,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유채은(Yu Chae Eun),조규판(Cho Gyu 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 진로장벽,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 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08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3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애착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포부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친밀애착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포부와 부적상관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취동기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포부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애착 및 불안애 착이,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우유부단 성격, 직업정보 부족, 필요성인식 부족 및 외 적 장애 요인이, 그리고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미래지향성 및 모험심이 진로결정수 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친밀애 착 및 불안애착이,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 부족 및 필요성인식 부족이, 그리고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미래지향성, 책임감이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 하고 올바른 진로목표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career barrier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aspiration. 308 university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Busan have been selected and surveyed, and 305 students response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which is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aspiration, bu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oseness attachment which is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aspiration. Second, closeness attachment and insecure attachment which are sub-factors of adult attachment, indecisive personality, shortag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shortage of realizing necessity, and external obstacle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future oriented personality and spirit of adventure which ar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s. Third, closeness attachment and insecure attachment which are sub-factors of adult attachment, shortage of self-definiteness and shortage of realizing necessity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confidence, future oriented persona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career aspiration. The results provides useful guidelin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o set up the career goal for university students.

      •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유채은 ( Chae Eun Yoo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D대학교에 재학생 중 집단상담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20명이다. 이들은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은 주 1회, 매회 120분, 총 10주 동안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에 참가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대인관계능력척도와 자존감척도를 사용하였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 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개방성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존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상담영역에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0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general skills as a sub-area of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 KCI등재후보

        당 종류에 따른 수비드 및 건식 가열한 돈육 등심햄의 품질 특성

        양나은,노신우,유채은,김현욱 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2023 자원과학연구 Vol.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sugars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sous-vide and dry-oven cooked pork loin hams. Pork loin hams were injected at a 15% pumping ratio, and the final salt concentration of all treatments was equally fixed at 2% NaCl (w/w). A control group was prepared without sugar, and treatments were formulated with 0.5% (w/w) molasses, allulose, and xylose, respectively. The injected pork loins were cooked at 63℃ for 4.42 hr (1st sous-vide cooking) in a water-bath and continually cooked in a dry oven at 220℃ until the core temperature reached 71℃. The pH, color characteristics, cooking yield, browning index, shear force, and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the pork loin hams were evaluated. The addition of sugar decreased the lightness of pork loin hams (p<0.05), and the addition of molasses and xylos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rowning index. The addition of molasses and allulos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1st cooking yield of pork loin hams. The highest shear force was observed for molasses treatment (p<0.05), which was likely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sugar contained in syrup-type molasses used. The addition of molasse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ipid oxidation of pork loin hams during 3 wk of refrigerated stor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ugars at even 0.5% (w/w) concentration changed the color and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sous-vide and dry-oven cooked pork loin hams, probably concerning the occurrence of the Maillard re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