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차원 기공층을 포함하는 초박형 단열기판의 미세구조 및 단열 특성

        유창민,이창현,신효순,여동훈,김성훈,Yoo, Chang Min,Lee, Chang Hyun,Shin, Hyo Soon,Yeo, Dong Hun,Kim, Sung H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1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an ultra-thin insulating board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long z-axis, which was based on the idea of void layers created during the glass infiltration process for the zero-shrinkage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technology. An alumina and four glass powders were chosen and prepared as green sheets by the tape casting method. After comparison of the four glass powders, bismuth glass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Since there is no notable reactivity between alumina and bismuth glass, alumina was selected as the supporting additive in glass layers. With 2.5 vol% of alumina powder, glass green sheets were prepared and stacked alternately with alumina green sheet to form the 'alumina/glass (including alumina additive)/alumina' structure. The stacked green sheets were sintered into an insulating substrat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additive alumina formed supporting bridges in void layers. The depth and number of the stacking layers were varied to examine the insulating property.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obtained was 0.23 W/mK with a $500-{\mu}m-thick$ substrate.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유창민 ( Chang Min Yoo ),우미옥 ( Mi Ock Woo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성기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발병이 1달 이내인 급성기 뇌손상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11명은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11명은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군 11명의 환자에게는 4주간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나머지 11명의 환자에게는 재활치료만을 시행하여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정도(MFT)를 평가 하였다. 우측편마비 환자와 좌측편마비 환자의 MFT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좌측편마비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 전후의 MFT점수 차이는 대조군에서 평균 3.2점 실험군 7.8점으로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의 평균점수 차이가 더 높았다. 두 점수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우측편마비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의 MFT점수 차이는 대조군 평균 6.83점, 실험군 8.67점으로 1.84점으로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의 평균점수 차이가 더 높았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두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론: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좌측편마비 환자의 MFT점수의 전과 후의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급성기 좌측편마비 환자의 경우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상지의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우측편바미 환자의 경우 평균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의 정확한 수행방법에 관한 교육과 수행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Objective :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is given to the functions of a patient after an acute patient has gone through self exercise program training to continue exercising on own. Methods : From the 22 acute brain damage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for less than a month, 11 patients were trained for self exercise program and the other 11 were not trained. The first 11 patients as targets executed self exercise program and the rest of the 11 patients have executed rehabilitation treatment; moreover, each patient`s Manual Function Test (MFT) was re-evaluated. the MFT score rising difference of Rt. Hemiplegia patient and Lt. Hemiplegia patient was analyzed after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 black. Results :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Lt. Hemiplegia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self exercise program scored an average of 3.2 to 7.8, increasing by 4.6. The group of targets who have executed the self exercise program had a bigger rise in the average score. Th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Rt. Hemiplegia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self exercise program scored an average of 6.83 to 8.67, increasing by 1.84. The group of targets who have executed the self exercise program had a bigger rise in the average score. However,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onclusion : The Lt. Hemiplegia patients who have executed self exercise program for acute stroke pati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MFT sco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us, when acute Lt. Hemiplegia patients execute the program, it is identified that the program helps in improving the function. However, In the case of Rt. Hemiplegia pati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whether or not the self exercise program was properly executed.

      • KCI등재

        대학생 자기 소개서 쓰기 경향 분석 및 수업 방법 -교육 대학교 신입생들의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유창민 ( Chang Min Yoo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본고에서 주목한 점은 교육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소개서 글쓰기 경향이다. 자기 소개서의 내용이 일정한 유사성을 지니는 이유는 대합 입학 당시 자기소개서 기준에 맞추어 글의 내용을 구성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신입생들의 자기소개서에는 개인에 대한 객관적 성찰 행위가 삭제되거나 개인의 개성적 측면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현재 한국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교육대학 학생의 작문 수업 역시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호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글쓰기 현실을 인식하고 어떤 식으로 자신을 표현해 내어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사전 교육 없이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 소개서를 받아 보면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된다. 첫째, 자기 소개서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문제 해결 과정에 있어서 매우 유사한 행동방식들이 제시된다. 둘째, 자신의 모습이 자신의 실체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자신의 구체적인 실제 모습을 돌아보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유사한 형태의 자아를 표현해 낸다. 이는 표현된 자아이지 실제 자아의 모습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족서술, 취미서술의 단순성이 나타나며 주제를 중심으로 묶이지 않은 키워드화 한 문단 배열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독창성을 신장시키고 자기 반성적인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자신의 글과 다른 학생의 글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글에 대한 객관적 인식 단계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업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기를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만의 독창적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writing trends in freshmen`s self-introduction writing at a teachers` college. There are certain similarities in the content of self-introductions because the applicants organized the wri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elf-introduction criteria at the time of applying for the college, which explains why freshmen include no objective reflective actions upon themselves or personal individual aspects in many of their self-introductions. Today writing methods of various forms are discussed in writing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It is time for composition courses to respond to those demands of the times at a teachers` college. This study thus focused on the students recognizing the reality of their writing themselves and their ways of expressing themselves. Some interesting results are found in freshmen`s self-introductions when they had no prior education: first, they present very similar behavioral styles in problem-solving processes, which are the core content of self-introduction; secondly, they present themselves in different ways from their actual selves. Not looking back on the real, specific aspects of themselves, many students tend to express their egos of similar form. The problem is that they are the expressed egos not real ones. Furthermore, there are problems with simplicity in their descriptions of their families and hobbies and with the paragraph arrangement not bound by topics and inclined toward keywords. One of their solutions i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originality and do some reflective thinking upon themselves. That is, they should be offered a chance to compare their writings with those of other students and thus perceive their writings in an objective manner. It is through such a lesson process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look back on themselves objectively and further discover their own original aspects in them.

      • KCI등재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10년간의 변화과정: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를 중심으로

        유창민 ( Yoo Chang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이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에 따라서 어떠한지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각 집단의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 다른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1차 년도부터 10차 년도까지 10년간의 종단패널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성인초기 4,781명, 중년기 4,629명, 노년기 4,735명이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성인의 자아존중감의 요인구조가 1요인보다 2요인구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경우 우리나라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궤적을, 중년기에는 유지하는 궤적을, 노년기에는 감소하는 궤적을 보였다.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경우 우리나라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하는 궤적을, 중년기에는 감소하는 궤적을, 노년기에는 증가하는 궤적을 보였다. (3)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요인(연령, 성별, 배우자유무), 사회경제적요인(직업상태, 교육수준, 소득), 심리·신체·사회적요인(우울, 만성질환, 가족관계)으로 구분하여 이원적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의 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자아존중감 하위 유형에 따라서, 그리고 생애주기에 따라서 예측요인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한 보호요인이자 내적자산이 되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및 실천적 개입을 할 때, 단일차원의 자아존중감이 아닌 이원적 자아존중감 각각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과, 생애주기에 따라서 달라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wo dimensional self-esteem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ged 19 and over.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4,781 young aged (20-39), 4,629 middle-aged (40-59), and 4,735 older adults (60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5.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1) Related to the positive self-esteem trajectories, the young aged group increased with time, the middle-aged groups maintained with time, and adult group decreased with time. Related to the negative self-esteem trajectories, the young aged group maintained with time, the middle-aged group decreased with time, and the adult group increased with time. (2) The predictors that affect two dimensional self-esteem were divided into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marital status), socioeconomic factor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and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factors (depression, chronic disease, family relationshi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predi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self-esteem and life cycle.

      • KCI등재

        천연기념물 식물 군락지의 보호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측백 수림을 중심으로-

        유창민 ( Chang Min Yoo ),이재근 ( Jae Keun Lee ),전영갑 ( Young Gab Ch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0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6 No.1

        The improvement plans for natural monument are basicall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are proposed within the scope of avoiding damage to their prototypes. However, it is supposed that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 are reinforced rather than their utilization by the species of natural monument is encouraged. It is imperative to seek diverse improvement plans by preservation type and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of natural monument.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 of natural monument and the colony of rare plants involves mostly the restriction of access by establishing a fence instead of the concept of uti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ance, viewing, and rest facilities within the scope of avoiding damage to the growth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inancial support for pursuing the improvement of the colony of the natural treasure of pl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pared a foundation as basic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colony of the natural monument of plants, and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 into their utilization.

      • KCI등재

        Care-giving Related Time-Demand, Stresses and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Moderators of Family Relationships

        유창민(Chang min Yoo),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경우 돌봄부담과 같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우울이 심하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노년기 부모들의 이러한 우울을 예방/보호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를 대상으로 돌봄시간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관계만족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1년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과제 수립 연구 중 발달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부모의 나이가 60세 이상인 노년기 응답자 27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은 경우 돌봄시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부모에게 가족관계만족도가 돌봄시간과 우울의 관계를 완충하는 중요한 보호요인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애주기에 있어서 노년기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가족관계가 중요하다는 사회정서선택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가족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과 정책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Although not many older Korean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been reported depression due to care-giving related stresses,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y could be protected from th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of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of 2011, and only a total of 276 parents, aged over 60 were examin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lder parents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were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ime demands of care-giving.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could buff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s a protective factor,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supports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which family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o older people.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develop practical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of the older parents, and to mak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 KCI등재

        선호된 리더십과 인지된 리더십의 일치가 중학교 학생선수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창민 ( Yoo Changmin ),권형일 ( Kwon Hyungil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Chelladurai(1978)가 제시한 다차원리더십모형을 바탕으로 운동부 지도자의 선호된 리더십 행동과 인지된 리더십 행동의 일치가 중학교 학생선수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의 중학교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264명의 학생선수들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2, AMO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의 5개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 권위적 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긍정적 피드백 중에서 권위적 행동에서의 일치만이 학생선수들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선수들에게 있어서 훈련 과정에 있어서 의사결정권을 부여하지 않고 지도자 스스로가 독단적으로 계획 및 실행 하는 것에 대한 선호정도와 인지정도가 일치할 경우 이 요인이 학생선수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ongruence between preferred leadership and perceived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athletes' satisfaction level based on Multidimensional Model of Leadership.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otal of 26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 athlete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in 2016. Research sample was se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pondents read and answered questions by themselves based on self-administration method. Using SPSS 22 and AMOS 22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five sub-factors of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 only the congruence in autocratic behavior had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athletes'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유창민 ( Yoo Chang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과 그 예측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궤적 및 예측요인이 장애인과 비장애인 각 집단 내적으로, 그리고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부터 9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14,613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조건부 모형에 대한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의 다중집단분석결과 두집단의 건강상태 궤적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장애인의 건강상태 궤적이 더욱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과 예측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조건부 모형의 다중집단분석 결과, 건강 불평등 예측요인 유형이 ①심화요인(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연령), ②지속요인(장애인: 교육, 취업, 음주, 주거환경, 사회적지지; 비장애인: 흡연, 사회적지지) ③완화요인(장애인: 소득, 외래진료 수; 비장애인: 소득, 교육, 결혼, 취업, 음주, 외래진료 수, 주거환경) ④무영향요인(장애인: 성별, 결혼, 흡연, 건강검진 수; 비장애인: 성별)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별로 건강상태궤적이 불평등하고, 예측요인의 종류가 다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의 건강을 증진 및 예방하고 건강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그리고 장애유무에 따라서 다름을 고려하여 보다 세밀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self-rated health trajectories of health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among people aged 19 and over in Korea. Also, whether these estimated results differ according to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involving 14,613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4.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health trajectories differed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pecifically, health status was wors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i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2) Multi-group analysis of conditional model revealed that health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differed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 inequality intensified (i.e., aged), ② inequality maintained (i.e., w/disabled: education,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environment) ③ inequality alleviated (i.e., w/disabled: incom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o disabled: income, education), ④ non effected (i.e., w/disabled: marital status, smoking; w/o disabled: gen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ealth related intervention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 KCI등재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의 시를 통해 본 저항담론 연구

        유창민 ( Yoo Cha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본 연구는 한국 현대 시문학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에 저항 담론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현재 베트남 전쟁 관련 현대시는 전쟁시라는 장르적 의미를 넘어선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베트남 전쟁 관련 시문학에 관한 이전의 연구는 문학사적 입장에서 의의가 있지만 변화하는 파병담론과의 비교 고찰이 이루어 지지 않아 시인의 의식 세계에 대한 세밀한 조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의 베트남 전쟁 연구는 전쟁에 대한 공식 담론과 사적 체험 간의 간극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학은 공식 기억의 모순에 도전하기도 한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 발표되거나 베트남 전쟁을 재현하는 시문학에 대한 면밀한 고찰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베트남 전쟁이 한국 현대시에서 어떤 형태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쟁에 참전한 참전 군인의 의식과 정체성의 문제를 시문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1960년대에 한국에는 많은 일이 발생한다. 4·19, 한일수교와 6·3학생운동, 베트남 전쟁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한다. 이 가운데 베트남 전쟁에 직접 참전한 세대들은 전쟁의 직접 수행과 체험을 통해 그 들만의 독특한 집단 정체성을 이루게 된다. 그 정체성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내면세계나 의식 등이 전쟁이라는 폭력적 상황에서 시문학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핀다면 베트남 전쟁의 실체에 보다 깊숙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참전 군인들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할 당시 20대의 청년기였다. 이들은 협력과 우애, 도주와 자유라는 기질을 일반적으로 갖고 있다. 그러한 독특한 면들은 당대 형성된 파병에 관한 공식 담론에 부합하지 않고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본고에서 살펴 본 참전 군인의 현대시에는 전쟁에 대한 혼란스러운 태도가 양가적인 입장에서 표현되어 있다. 간섭으로 인해 전쟁에 몰입하기 힘든 화자는 불연속적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전쟁에 대한 개인적 인식을 통해 전쟁이 지니고 있는 폭력적 구조와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Previous research on Vietnamese war-related poetic literature is meaningful from a literary historical standpoint because it distinguishes genres. However, no comparison has been made with the discussion of the troop dispatch. As a result, there was no detailed view of the poet's conscious world. The Vietnam War study since the 2000s focuses on the gap between official discourse and private experience. Literature also challenges the contradictions of official memory. In particular, the study of novels related to the Vietnam War actively discovers the distance between reproduction and subst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literature that was published during the Vietnam War or reproducing the Vietnam War.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look specifically at what form the Vietnam War is being reproduced in modern Korean poet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of the generation who fought in the war. In the 1960s, the new generation experiences events such as 4.19, the Korea-Japan Mathematics and 6.3 student movements, the Vietnam War and its entry into the Middle East. Their lives have many different point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tions. The branches gather to achieve their own clear identity. In the 1960s, the new generation was in their 20s when they fought in the Vietnam War. They are revealing their specialties of cooperation and friendship, escape and freedom. This particularity is different from the official discourse on the troop dispatch that was formed in the past. If you look at the Vietnam War poetic science that they created, there are both sides that accept official discourse and those that deny it. In some cases, the realization of the fugitive desire through foreign experience and the expansion of awareness are also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