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한시 시조화(時調化)의 특성과 그 의미-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의 「唐詩時調型譯」을 중심으로

        유정란 한국시가문화학회 202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9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ee Eun-sang's translating works of Chinese poem to Sijo(時調)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order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attempted by Lee Eun-sang, this article firstly considered his poetry theory and perspectives of Sijo. After submitting lyrical poetry representing Sijo, he showed special interest in lyrical sentiment rather than the idea of Sijo. In addition, he predicted that the Sijo could be developed into modern poetry literature. To do this, he also even considered the style, rhetoric, and popular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terature. He struggled in various ways to find a way out for the Sijo to proceed to the literary world. Without exception, the poetry of Tang Dynasty was selected as the original, and the Sijo was made in a way that emphasized the structural unity of the Sijo more than its form. Besides, it wa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hinese poetry's meanings and themes were accepted but actively changed in terms of expression and emotion. Lee Eun-sang did not remain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poems, but focused more on improving their completeness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Sijo.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Lee Eun-sang attempted to translate Chinese poem to Sijo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lyrical poems and expand them to the literary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본고는 20세기 초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 1903∼1982)의 한시 시조화(時調化) 양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은상이 시도한 한시 시조화의 제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이 글은 우선 그의 시론과 시조관을 고찰하였다. 시조를 위시한 서정시론을 발표한 그는 시조의 사상보다 서정시적 정서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또한, 시조를 근대적 시문학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중국 문학의 문체, 수사법, 민중적 특성 등을 아울러 고찰하기도 하였다. 시조 문단계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고심했던 것이다. 한시 시조화에 있어서는 예외없이 5언 절구의 唐詩가 원시로 선택되었다. 그리고 형식보다는 시조의 구조적 통일성을 더욱 중시하는 방향으로 시조화가 이루어졌다. 한시의 의경과 주제는 수용하되 표현, 정서적 측면에서 적극적 변이를 보인 점이 특징이었다. 원시 자체를 번역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시조의 미감을 고려하여 그 완성도를 높이는 데 더욱 몰두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이은상이 20세기 초 시조의 근대적 서정시로의 수립과 그 문학 세계 확장을 위해 한시 시조화를 시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장화홍련전』 번역 양상과 그 의미

        유정란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본고는 細井肇(호소이 하지메, 이하 호소이)의 『통속조선문고』에서 출판된 『장화홍련전』 번역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번역의 실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호소이가 원문과는 달리 삭제 및 변형을 가하여 소설을 왜곡되게 번역함으로써 조선의 민족성을 부정적으로 알렸다는 기존의 논의에 문제를 제기하고, 실제양상의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선 호소이 하지메의 『장화홍련전』 번역 양상을 살피기에 앞서 高橋亨(타카하시 토오루, 이하 타카하시)의 번역을 검토했다. 타카하시는 일본 근세 소설에서 사용되는 문체를 통해 번역을 시도했기 때문에 소설의전달력이 상당히 약했다고 평가했다. 이후 호소이 하지메의 『조선문화사론』에 번역되어 있는 『장화홍련전』은 타카하시의 번역을 축소한 형태라고 보았다. 3장에서는 『통속조선문고』에서 출판된 『장화홍련전』 번역대본을 1915년 경성서적조합에서 간행된 구활자본 『장화홍련전』으로 규정하고 번역의 양상을 살폈다. ‘구어체 번역 및 조선 고유어 생략’, ‘서술자의 말 생략’, ‘번역 장치 활용’으로 유형화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호소이는 일본의 언문일치체에 맞춰 소설을 번역하였으며 왜곡된 부분이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어서 호소이의 조선관을 『조선문화사론』과 『통속조선문고』의 기록을 통해 살펴보고, 번역 의도가 ‘폄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해’에 있다고 파악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translation and its meaning u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janghwa-hongyeonjeon』 published in 『Tongsok joseon munko』. its raised the question of the argument that hosoi made a distorted translation of the novel by deleting and transforming it from the original text. First of all, we reviewed the translation 『janghwa-hongyeonjeon』 by Takahashi Tooru before looked at the HosoI Hajime's translation. Takahashi’s translation was rather weak in power of delivery because it tried to translate through a style used in old Japanese novels. In addition, Hosoi’s translation in 『Jeson-munhwasaron』 was a reduced type of Takahasi's translation. We reviewed it by typing “Colloquialization and omission of Joseon native language”, “The omission of the narrator”, “Use of translation devices”. As a result, the author revealed that the novel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modern novel style and the parts were not distorted. Then, studied Hosoi’s chosun-gwan through the records of 『joseon-munhwasaron』, 『Tongsok joseon munko』 and determined that the translation was intended to be “understanding” rather than “denigrate”.

      • KCI등재

        『근화악부(槿花樂府)』의 성격과 작품 수록의 특징

        유정란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본고는 『근화악부』의 실체를 조명하고 작품 수록의 특징적 국면을 살피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근악』은 세 곳에 편찬연대와 관련한 간기를 남기고 있다. 간기 는 각각 ‘戊寅春日雲峰來’, ‘己亥夏成’, ‘乙丑至月初一日’의 기록에서 발견된다. 필체가 본문과 일치하는 간기 기록은 ‘己亥夏成’이다. 또한 『근악』 목차에는 편찬 자 혹은 소장자의 것으로 보이는 장서인이 찍혀 있다. 검토 결과 『근악』의 편찬 자 혹은 소장자를 탐진최씨(耽津崔氏) 손암공파(遜菴公派)의 최종기(崔宗岐)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활용 지역은 전라도 광주 일대다. 두 정보를 종합해 보았을 때 『근악』의 편찬연도는 1779년(정조 3)이거나 그 이전이라 할 수 있다. 『근악』은 『고금가곡』과 상당히 유사한 가집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 서는 『근악』의 체재를 면밀히 검토하고, 내용별 분류항목을 『고금』의 그것과 비 교해보았다. 결론적으로 『근악』과 『고금』은 주제 항목을 설정하거나 작품의 정서, 미감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각기 다른 방식을 보였다. 『근악』의 독자적 성격을 증명한 것이다. 또한 『근악』은 작품 수록에서도 특징적 양상을 보인다. 단독 출현작품을 특정 주제 항목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것이나, 노랫말의 변용, 연상 원리에 의한 작품 배치가 바로 그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identifying the substance of Geunhwaakbu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 review of the records and publication informarion suggests that the complier was Choi Jong-Ki, and Geunhwaakbu was complied 1773. 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were analyzed in detail to identify the true mea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eunhwaakbu did not follow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Gogeumgagok, but incorporated or added topic items separately. It is a proof of identity. In detail, the features of Geunhwaakbu’s work were derived through close reading.

      • KCI등재

        『震檀學報』와 손진태의 학문적 역할

        유정란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1

        본고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 1900~?)에 중점을 두고 『진단학보(震檀學報)』에서 확인되는 그의 학문적 역할과 연구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진단학보』에 수록된 총 5편의 연구 성과물은 일본 내지의 학문 경로를 잇는 것인 동시에 이후 그의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지를 미리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진단학회에서의 손진태의 역할을 고찰하는 본고의 목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손진태는 와세다 고등학원 시절부터 연을 맺었던 인류학자 니시무라 신지의 문하에서 자연스럽게 문학에서 민속학으로 관심을 옮기게 된다. 니시무라와의 만남, 그리고 그의 강의가 민속학자로의 길을 걷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된 셈이다. 또한, 손진태 민속학의 근간에는 비교적 관점이 관통하고 있다. 수학기의 여러 성과물에서 확인되듯 그의 연구는 동북아시아 민속 비교라는 방법론으로 그 편폭을 더욱 확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까닭에 『진단학보』에서 손진태가 담당한 민속학의 세부 영역은 바로 해외의 그것이었다. 문헌 사료와 채집한 현지 자료를 이어 붙이고 타민족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보편성, 나아가 그 속에서 발견되는 조선 고유의 특성을 찾는 것이 손진태가 보여준 논의의 정수였다. 비교민속학을 통한 조선 연구란 그의 연구 방향은 진단학회의 창립 목적인 ‘조선 및 인근 문화의 연구’에도 부응하는 것이었다. 이에 그가 보여준 민속학의 윤곽은 『진단학보』의 학술 외연을 넓히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Nam-chang(南滄) Son Jin-tae(孫晋泰, 1900~?) and examines his academic role and research implications identified in the Journal of 『Chin-Tan Hakpo(震檀學報)』. A total of five research results included in the 『Chin-Tan Hakpo』 connect academic paths in Japan and show in advance the direction in which his research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which examines Son Jin-tae's role in the Chin-Tan society, has an important meaning. Son Jin-tae naturally shifts his interest from literature to folklore under the guidance of anthropologist Nishimura Shinji(西村眞次, 1879~1943), who has been associated with Waseda High School since his days. His meeting with Nishimura and his lectures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him to walk the path of a folklorist. In addition, there i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on Jin-tae's folklore. As can be seen from various achievements, his research was further broadening its scope to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in Northeast Asia. For this reason, the detailed area of folklore that Son Jin-tae charge in the 『Chin-Tan Hakpo』 was that of overseas. The essence of Son Jin-tae's discussion was to connect literature and collected local data and find the universality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ethnic groups 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unded in them. The study of Joseon through comparative folk studies was to respond to the founding purpose of the Chin-Tan Society, 'the study of Joseon and neighboring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utline of folklore he showed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academic extension of the 『Chin-Tan Hakpo』.

      • KCI등재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유정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article look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translated text <Nongawolryounga(農家月令歌 )> by Son Jin-tae in 1927. And review the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translation. Son Jin-tae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osun Literary and Poetry. Among them, he has done important work in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ranslate the <Nongawolryounga> and published in magazine of 『Dongyang(東洋)』. This paper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was carried out in Japan by Son Jin-tae, an alien.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nslation <Nongawolryounga>,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alist Joseon intellectuals. First of all, took a look at Son Jin-tae's academic journey and the opportunity for his translation. He was earlier approaching Joseon'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thnicity of Joseon and its spiritual world. In this situation, Son Jin-tae, who discovered <Nongawolryounga> emphasis on the historical aspect and introduces it to Japan. The specific aspects of transl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wo variations: shape and content. Separation of phrases and revision and addit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have been attempted. This is a translation strategy to convey "the Joseon" most effectively. In order to gauge the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looked into it as well Son Jin-tae's theory of poetry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ance. As a result, the translated version of <Nongawolryounga> was provided to imperial Japan as a study of the ethnic life of colonial Joseon. revealed the point where Son's translation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ography of Japan. 이 글에서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가 1927년 번역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텍스트의 특징적 양상을 살피고 번역을 둘러싼 문화 정치적 역학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손진태는 조선의 국문학, 구체적으로는 시가(詩歌) 문학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중에서도 번역문화사 방면에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바 있는데 바로 <농가월령가>를 번역하여 잡지 『동양』에 게재한 것이다. 본고는 <농가월령가> 번역이 외지인 손진태에 의해 일본에서 수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 지식인들과는 사정이 달랐다는 점을 시야에 넣고 번역문 <농가월령가>의 성격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우선 손진태의 학문 여정과 <농가월령가> 번역의 계기를 짚어보았다. 그는 일찍이 조선의 민족성과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의 문학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가월령가>를 발견한 손진태는 작품의 민족생활사 방면을 강조하며 번역해 일본에 소개한다.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은 크게 형태상의 변형과 내용상의 변형 두 가지로 정리된다. 구(句)의 분리, 원문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수정 및 첨가 등이 시도되었는데 ‘조선적인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농가월령가> 번역의 성격을 가늠하기 위해 손진태의 시조론과 번역의 수용 맥락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농가월령가> 번역문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 생활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국 일본에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손진태의 번역이 제국 일본의 민족지(民族誌) 구축작업에 연동한 지점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

        김소운의 민요 인식과 <朝鮮民謠集>(1929) 편찬의 특성

        유정란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Kim So-un (1907~1981)’s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compiled in Japan in 1929. This folk song collection was based on Joseon folk songs collected in Japan in the 1920s. Looking at Kim So-un’s folk song theory, the motivation for the compilation of folk songs was to collect and preserve local folk songs that were relatively less influenced by Chinese Confucian culture.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conceptualizing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respectively and seeking their characteristics in an era when folk songs were not yet established as subjects for academic research. Above all, the core of Kim So-un’s folk theory wa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lk songs through the concept of “Line”, and to classify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ummarize them by content. Kim So-un’s folk song theory as above was also reflected in the folk song book system. The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and the folk songs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s. Kim So-un’s method of classifying folk songs is also revealed in the organization of folk songs. In addition, the concept of Line, one of the core of folk song theory, was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Although it was choosing a faithful translation method to transfer the cause of the song, translation was attempted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 when the rhythm was damaged. In addition, various devices were us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viewers. Kim So un’s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in line with the history of folk songs, and its activities should be discussed and evaluated in a contemporary context. 본고는 1929년 일본에서 편찬된 김소운(金素雲, 1907~1981)의 朝鮮民謠集 을 대상으로 그 편찬 맥락과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민요집은 1920년대 일본에서 채집된 조선의 민요를 바탕으로 꾸려졌다. 김소운의 민요론을 살펴보았을 때 민요집 편찬의 동기는 중국의 유교문화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은 향토 민요를 채집하고 또 이를 보존하는 것이었다. 또한, 민요가 학적 연구 대상으로 미처 자리 잡지 못한 시대에 민요, 동요, 그리고 부요를 각각 개념화하고 그 특질을 모색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무엇보다 ‘선’이라는 개념을 통해 조선 민요의 특질을 설명하고자 한 점, 민요를 성격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내용별로 집약했다는 점 등이 김소운 민요론의 핵심이었다. 위와 같은 김소운의 민요론은 민요집 체제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조선민요집 은 크게 민요편, 동요편, 부요편으로 나뉘고 민요편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김소운의 민요 분류 방식이 민요집 편제에도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다. 또한, 민요론의 핵심 중 하나인 선의 개념이 번역 과정에도 개입되어 있었다. 노래의 대의를 옮기는 데 충실한 번역 방식을 택하고 있었지만 여음이나 리듬에 손상이 가는 경우 ‘선’의 특질을 살리는 방향으로 번역이 시도되었다. 그 외에도 여러 장치를 동원하여 감상자의 편의를 도모한 조선민요집 은 일본과 조선 시단 양쪽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김소운의 조선민요집 은 민요 연구사와 맥을 같이하는바 그 활동은 당대적 맥락에서 논의되고 또 평가되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前間恭作 편 『歌曲大全』의 저본과 「引用書解題」

        유정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2 고전과 해석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original script of 『Gagokdaejeon(歌曲大全)』 compiled by Maema-Kyosaku(前間恭作, 1867-1942)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o introduce the explanation text in translation. 『Gagokdaejeon』, made of nine books, is a draft of the Maema's 『Kyoju-Gagokjip(校註歌曲集)』 and is currently housed in the Dongyang-mungo(東洋文庫) of Japan. Prior to compiling the Sijo, Maema recorded the books that were the basis of 『Gagokdaejeon』 and explained their forms, systems, and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facts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explanation text is as follows. First, referring to the details of the collection, Maema began to explore the Ga-jip(歌集) immediately after entering Joseon(朝鮮), and it was possible to specify that the collecting activity lasted for about 40 years. Second, the scope of collection of Sijo text included Gagok, Sijo Ga-jip, and a printed edition of Ga-jip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even personal collections of literature and novels. In particular, Maema collected Ga-jip mainly through direct purchase and rental, but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Ga-yo(歌謠)』, it was also found that he collected the editorials of Sijo, which were performed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the help of people around Maema-Kyosaku. Finally,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Maema’s explanation text is that each Ga-jip has its own value. The evaluation criteria cover the inclusion of new Sijo and Jang-ga(長歌), including the Sijo source, writing style, consistency of organization, forms of original preservation in phrases, diversity of tune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Maema trusted 『Haedongayo(海東歌謠) the most, and chose 『Yeochanggayorok(女唱歌謠錄)』, 『Ga-yo』 as the best for learning Sijo. Like this, value evaluation of Ga-jip which can infer Maema’s Sijo recognition, its period of compilation, circumstances of Ga-jip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20th century were minutely recorded in explanation text of Gagokdaejeon. In this sense, Maema’s explanation text is valuable for researching into meaning of compilation, mutual relation, and its own characteristics of Gagokdaejeon and Kyoju-Gagokjip. 이 글은 20세기 초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1867~1942)가 편찬한 『가곡대전(歌曲大全)』의 저본을 밝히고 그 해제문을 번역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전 9책으로 만들어진 『가곡대전』은 마에마 편『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의 초고로 현재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마에마는 시조 수록에 앞서 『가곡대전』의 근간이 된 저본들을 기록하고 그 형태, 체계, 특성 등을 해제해 놓았다. 해제문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장 경위를 참고해볼 때 마에마는 조선에 들어온 직후부터 가집을 탐문하기 시작했고, 그 수집이 40여 년간 지속하였다는 점을 특정할 수 있었다. 둘째, 시조 사설의 수집 범위는 가곡창, 시조창 가집을 아울렀으며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을 비롯하여 개인 문집, 소설집 등도 포함되었다. 특히 마에마는 주로 직접 구매와 대여의 방식으로 가집을 수집했지만, 주변 인사들을 통해 19세기 후반 실연되던 시조 사설도 수집한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에마 해제문의 가장 큰 특징은 각 가집에 나름의 가치를 매겨놓았다는 점이다. 그 평가 기준은 서체, 편제의 일관성, 출처 표기, 어구의 원형 보존 의식, 곡조의 다양성을 비롯하여 신작 및 장가(長歌) 수록 여부에 걸쳐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마에마는 『해동가요(海東歌謠)』를 가장 신뢰하였으며, 시조 학습용으로는 『여창가요록(女唱歌謠錄)』과 『가요(歌謠)』를 최고로 보았다. 이렇듯 『가곡대전』의 「인용서 해제」문에는 마에마의 시조 인식을 유추해볼 수 있는 가집에 대한 가치 평가는 물론 그 편찬연대, 20세기 전후의 가집 유통 정황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마에마의 이 글은 『가곡대전』과 『교주가곡집』의 편찬 의미, 상호 관계, 독자적 특성 등을 살피는 데 매우 긴요한 자료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편찬 『歌曲大全』에 대하여

        유정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3 No.-

        이 글은 20세기 초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1867〜1942) 편 『校註歌曲集』의 초고본인 『歌曲大全』을 해제하고 그 서문을 번역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곡대전』은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신자료다. 그간 『교주가곡집』의 이본 으로는 서울대본과 이화여대본 2종이 알려져 있었지만 필자는 일본 동양문고에 소 장된 또 다른 이본인 『가곡대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가곡대전』에는 다른 이본에 없는 마에마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교주가곡집』의 편찬 과정을 이해하 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에 본고는 『가곡대전』의 전체 체계를 소개하고 그 서문을 살핌으로써 『교주가곡집』 이해의 편폭을 확장해보고자 한다. 이 검토를 통해 20세 기 전반기 고시조 전승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rganize the 『Gagokdaejeon』 the first edition of the Maema Kyosaku’s 『Kyoju-Gagokjip』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o translate and introduce the preface. The 『Gagokdaejeon』 is a new material that has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Until now, two types of copies of the 『Kyoju-Gagokjip』 were known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but I found another version that 『Gagokdaejeon』 in the Dongyang-mungo(東洋文庫). This is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ompilation, as the preface of Maema, which is not in other versions, is contained in the first draft of the collection. In response, this article intend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by introducing 『Gagokdaejeon』 and examining its preface. Through this review, a new perspective the transmission of Gosijo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ll be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