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 국가의 대마합법화 동향과 국내적 시사점

        유요안,전용일,배정생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5 No.3

        불법 마약의 대명사로 알려져 온 대마의 국제적 위상이 달라져가고 있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대마의 새로운 의료적 효과가 계속해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WHO의 약물의존성 전문가 위원회(Expert Committee on Drug Dependence)는 2018년 제 41차 회의에서 대마가 가진 의료 적 효과를 설명하였고, WHO의 의견에 따라 UN 마약위원회(the Commission on Narcotic Drugs) 는 통제물질 목록에서 대마를 재분류하기로 결의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국제사 회 대마규제의 총체적 권한을 갖고 있는 국제기구인 UNCND의 대마에 대한 입장 변화의 배경과 주요 국가의 대마규제 관련 법제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국내적 시사점 및 대응과제를 모색 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대마의 과학적, 법률적 분류와 함께 대마의 효능 및 사용에 대해 고찰하고, WHO 및 UN 마약위원회를 비롯한 국제기구의 대마관련 국제규범의 변화를 위한 논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마의 변화된 위상과 향후 대마관련 국제적 입법 방향이 대마의 규제적 이용으로 흐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대마합법화 논의 과정을 거쳐 합법화를 이루었거나, 현재 논의 중인 주요 국가들의 대마관련 규제 동향에서도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마규제법인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의료용 목적의 대마사용이 허용되며, 학술적 목적의 대마 연구의 문턱을 낮추는 등 대마의 의료 적 효용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그 결과를 국민생활건강에 활용하려는 준비를 하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아직까지 대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더 큰 우리나라의 경우 대마의 사용에 있어서 사회적 합의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다양한 대마관련 다양한 정보를 널리 알리고 다양한 시각에서 대마를 바라보는 공론의 장을 통해, 대마의 위험성을 정확히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대마 의 유용성을 국민건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사회적 신뢰를 구축한 후에 한국의 실정에 맞는 규제적 대마이용 정책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position of cannabis is evolving as new medical effects of cannabis are continually found thanks to scientific advancements. The WHO’s Expert Committee on Drug Dependence explained the medical effects of cannabis, and the UN Commission on Narcotic Drugs (UNCND) voted to remove cannabis from the schedule of prohibited substances in accordance to WHO’s proposal. In light of th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UNCND’s shift in position on cannabis and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annabis regulation in major countries,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meaningful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South Korean cannabis policies and regulations. Cannabis is initially looked at from a taxonomic and biological standpoint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cannabis from a variety of angl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future path of international cannabis legislation is shifting toward the regulation usage of cannabis. In Korea, the use of cannabis for medical purposes has begun, and various methods of using cannabis are being studied as part of efforts to lower the threshold of cannabis research for academic purposes. Because the majority of Koreans still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cannabis, social acceptance must come before cannabis use. A free forum for public debate on various cannabis-related topics causes people to look at cannabis from different angles, which can build social trust in cannabis’ legal use.

      • 영국 및 EU 농식품 시장 진출을 위한 Clean Label 가이드라인

        유요안(Ryu Yo-an),이정상(Lee Jeong-S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식품산업과 영양 Vol.23 No.2

        The ‘Clean and clear label’ movement, which began in UK, is expanding not only in Europe but all over the world, creating a new market for the agricultural food industry. The clean label proved its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which also suggests that consumer’s health concerns strongly link to food purchase trends. The concept of clean labels, however, is ambiguous in each country, and there is a lot of confusion among consumers, as well as food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Many experts strongly urge that the common standards of clean labels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this situation, the standards of clean labels adopted by the UK and the EU can be a good example for us. To share various implications expected through the clean label movement. we will look at various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trends triggered by the clean label movement along with clean label regulations in the UK and the EU,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the researchers involved and the companies in exporting our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Consumer Behavior toward Adopting Electric Vehicles

        Ryu, Yo-An(유요안),Park, Myeong-Eun(박명은),You, So-Ye(유소이)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6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차가 환경 관련 규제에 대응하고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정부와 관련 기업들이 전기차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사회적 및 개인적 규범 변수를 추가하여 전기차 선택 시 소비자의 어떠한 행동 요소가 구매 의도 및 행동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 파악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Amos 18.0).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술수용모델의 핵심적 변인인 지각된 사용용이성만이 전기차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환경적 신념과 규범의 관련성을 보면, 개인적 규범의 경로를 제외한 사회적 규범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규범과 전기차의 수용의도의 관련성만 보면 사회적 규범 중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기준, 즉, 명령적 규범만이 전기차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와 기업은 물론 개인에 이르기까지 환경보호, 에너지 절약, 친환경 소비를 강조하고 있으며, 개인의 입장에서도 자신과 직접적 관련성이 있는 가시적인 효과와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하고 판단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환경친화적이고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환경적 신념과 도덕적 견해가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s electric vehicles (EVs) emerge as a promising solution to environmental pollution, governments and automakers are attempting various efforts to boost the EV market. However, the market share of EVs remains low and consumers are taking a wait-and-see approach to the situation. In this study, we look at consumer hesitation in the EV market and examine what behavioral factors in choosing EVs can be linked to actual purchase intention. We analyzed the model by empirically employing AMOS-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that only perceived ease-of-use affects intention-to-use of EVs in the origin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the extended TAM, we found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belief with the intention to use EVs through injunctive norms. Additionally, intention-to-us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to actual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EVs, intention-to-use is directly connected to purchase intention without an attitude-behavior gap. Findings imply that governments and EV makers should utilize the consumers’ environmental beliefs better to stimulate their intention to use EVs.

      • KCI등재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Major FTAs in the Asia-Pacific Region: focusing on the digital trade norms of major regional trade system

        전용일,유요안,배정생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8 No.-

        The rise of the digital economy and digital trade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by opening up new business possibilities for companies and lowering transaction costs and market barriers related to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the sake of the growth of digital commerce, that the hurdles that have been placed in the way of digital trade be removed. This deregulation is at the core of the liberalization of digital trad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transactions, vulnerabilitie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umer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 may develop as a result of cross-border information transfer, and appropriate regulations are also required to mitigate these risks. Despite their validity, digital regulations can be used as “a disguised trade tool” to shield local companies from foreign competition and buy time for domestic businesses to fast adopt new foreign technology. In this way, digital regulations can impede the growth of the digital economy. For digital trade to keep growing, international trade rules need to be updat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need for restrictions on cross-border information flow and the negative effects on digital commerce. Meanwhile, digital trade norms are being formed around the U.S. and the U.S. has been building a U.S.-centered digital trade order by presenting advanced digital trade norms through the Korea-U.S. FTA, TPP (before it was renamed CPTPP after leaving the U.S.), USMCA, and USJDTA. However, because the digital trade policies of the EU and China, two other significant pillars of digital commerce, differ from those of the U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development of US-led digital trade standards will eventually settle down as a standard model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to traditional issues such as tariff-free principle on electronic transmission, electronic signature, and electronic authentication, and paperless trade, the location of computer facilities for digital trade liberalization and privacy protection is currently in dispute among major n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China, and others. So, to make our own strategic plans, we need to closely look at each country's digital trade policy direction. Digital trade norms are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topics of the emerging new trade order, but they are also controversial and disagreeable. In other words, unlike traditional WTO trade norms or FTAs, digital trade norms have not yet formed a formal normative system and framework. In this circumstance, major nations such as the US, the EU, and China are at odds about who should lea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rade regulations. In the future, Korea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by participating in digital trade negotiations according to various needs. As a result, there will be more chances to be a "standard-setter" for new digital trade standards that will be widely used by the global community. Proactive steps should be taken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process of making (or signing) digital trade standards.

      • KCI등재

        미국 자율주행법(Self Drive Act)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전용일,유요안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54 No.-

        The era of self-drive, which can be seen in science fiction (SF) movies, is gradually coming to reality.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aising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dustries such as Augmented Reality, Internet of Things, Drones, Autonomous driving and Hydrogen-electric vehicles. Autonomous driving that uses various forms of cutting edge technology is close to becoming commercialized, which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areas of concern due to the ubiquitous nature of automobiles today. More specific reasons for our interest in autonomous vehicles are that we expect them to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through significant reduction of accident occurrence compared to direct operation, smooth flow of traffic and increase in fuel efficiency through system control, benefits of vehicle use by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 disabled, the elderly, the sick, the minor, etc.), reduction of pollutant emissions due to increased fuel efficiency, increase of work productivity, and decrease of stress due to a reduction of driver’s role during operation. This is why technologically advanced countries such as UK, Germany, USA, and Japan are focusing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and autonomous driving infrastructure. In addition to this technology promotion, those countries are also racing for institutional,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Korea, on the contrary, still needs more technological,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catch up to those countries. The Act only provides systematic support for autonomous driving of autonomous cars through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arliamentary legislation dealing with the promotion of self-drive technology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a test bed for general road operation of self-drive vehicles to help safety assurance experiment and measures to help actively engage and support relevant companies and experts. Legislative actions that address various issues occurring after commercialization of self-drive vehicles must also be made. It would be important to analyze the main contents of the Self Driving Act, which passed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o review the implications. 공상과학(SF) 영화 속에서나 볼법한 무인 자율주행시대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 른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맞물려 세계 각국은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드론, 자율주행, 수소전기차 등 기존과 다른 새로운 과학기술산업 부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들 가운데 자 율주행은 현실에 이미 가까이 와 있고, 일상생활에서 늘 접하고 있는 자동차 운행 때문에 단연 가장 큰 관심사이다. 자율주행자동차에 관심을 가지는 보다 구체적인 이유는 직접 운행 에 비해 사고발생의 현저한 감소, 시스템 제어를 통한 교통의 원활한 흐름과 이로 인한 연료 효율성 증가, 사회적 약자(장애인, 고령자, 병자, 미성년자 등)의 차량이용의 편익 제공, 연료 효율성 증가에 따른 오염원 배출의 감소, 운행시 운전자의 운전부담 감소로 인한 업무 생산 성 증가 및 스트레스의 감소 등 긍정적인 영향을 우리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에 영국, 독일 등 유럽국가와 미국, 일본 등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차량 및 자율주행 기반시설 연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장려뿐 아니라 개발된 자 율주행차량이 실재 운용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노력도 아울러 경주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이런 기술선진국들에 비해 기술적으로나 법적⋅제도적으로 준 비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법률로는 「자동차관리법」을 통한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 한 제도적 뒷받침만 하고 있을 뿐, 기술개발의 촉진, 안전성 확보 실험을 돕기 위한 테스트배 드 구축 및 일반도로운행에 관한 사항들, 관련기업들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을 돕기 위한 조치 등을 다룬 국회차원의 입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 화와 산업분야 발전을 위한 법적 지원뿐 아니라 상용화 이후 운행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다룬 입법적 조치 또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이번에 미국하원에서 통과된 자율주행법(Self Drive Act)의 주요내용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해보는 것은 유 의한 일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그린딜 시대의 법적 과제와 대응: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현황과 관련 정책⋅법제 개선방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전용일,유요안,오희종,배정생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3 동북아법연구 Vol.17 No.1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First National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Plan. According to the plan, the government has moved its policy focus from restricting or eliminating offshore wind generation to sustaining current facilities and improving related laws. Although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has been reduced from 30.2% to 21.6% in the plan, which contradic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address climate change, the plan aims to transition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into planned location methods through government-led site exploration, area designation, and unified licensing support. The significance of the plan lies in the creation of guidelines to resolve the challenging issue of public opposition to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In order to proactively respond to policy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as well as the carbon-neutral and renewable energy legislation that regulates domestic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By examining the challenges of the domestic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 four legal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o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 These measures include the need for government-led offshore wind power site exploration, improvements to the licensing process, the introduction of ESS to facilitate power system integration and minimize output limitations, and the creation of support harbor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s and related R&D support. The significance of offshore wind generation in the energy transition to carbon neutrality cannot be overstated. Given the global trend towar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site selection, and the potential for related industry development as an advanced industry, the expans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industry requires active national interest and policy considerations. 최근 발표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정부안)에서 정부는 (해상)풍력발전을 축소 또는 폐지하는 것보다 현행 시설들을 유지하고 관련 법류를 개선하는 것으로 정책적방향을 선회하였다. 물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을 종전 30.2%에서 21.6%로 낮춘 점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 노력의 움직임과 역행하는 방향이어서 아쉬움이 있지만, 해상 풍력발전에 있어서 정부주도 입지발굴, 지구 지정, 인허가 일괄지원과 같이 계획 입지방식으로 풍력발전사업을 전환하기로 하고, 해상 풍력발전 사업에 가장 어려운 주민수용성 문제를 법적⋅제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는 접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풍력발전산업국내 밸류 체인 고도화를 위한 전문 인력양성, 부품 국산화, 전용항만구축 등의 정책 등을 통해해상 풍력발전산업은 현 정부에서도 꾸준히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정책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국내외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현황과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규율하는 탄소중립 및 재생에너지 법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적정한 시행을 위한 법적⋅정책적 개선방안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부주도의 해상풍력발전단지 발굴의 필요, 둘째, 적정수준의 인허가 절차 개선, 셋째, 전력계통 원활화와 출력제한 최소화를 위한 ESS 도입의 필요, 넷째,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지원항만 조성과 관련 연구⋅개발 지원 등이다. 탄소중립을위한 에너지 전환의 주요 수단으로 해상풍력이 중요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해상풍력발전 도입의 세계적인 추세, 대규모 입지선정의 가능성, 첨단산업으로서 관련 산업발전의 가능성 등을 보더라도 해상풍력발전 산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적극적 관심과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미국 상원 자율주행법안(AV START Act)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전용일 ( Jeon Yong-il ),유요안 ( Ryu Yo-an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2

        미래에 대해 이야기할 때마다, 소위 자율주행자동차는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 소재 중 하나이다.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 닛산과 같은 기존 자동차 제조사에서 구글과 오로라 같은 기술 회사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제적인 기업들이 자율주행자동차가 곧 상용화될 것이라고 선언하고 있으며, 무인 자동차가 가져올 편리함에 대하여 광고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새로운 세상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운전자가 없는 차량에 대한 수많은 뉴스를 접할수록, 우리는 그들의 안전성과 그들이 침해할지도 모르는 사생활에 대해 더 많이 우려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용감하게도 자율 주행 기술의 발전을 따라가기 위해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AV START ACT- S. 1885 (AV START ACT라 한다.) 이 바로 자율 주행 기술을 발 빠르게 미국 내에 적용하기 위한 미국판 자율주행법안이라고 할 수 있다. AV START ACT는 자율주행차량 배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요컨대, AV START ACT는 자율주행차량의 장단점을 따져 본 후에 자율주행차량의 빠른 도입을 원하는 관련업계와 보다 강력한 안전성과 사이버보안 및 프라이버시를 요구하는 소비자들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민한 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가오는 미래 교통수단의 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의 AV START ACT는 우리에게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특히 사이버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섹션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Every time we talk about the future, the so-called driverless vehicle is one of the common topics we normally come up with. Many international companies from conventional car makers like Mercedes Benz, Audi, and Nissan, to tech firms such as Google and Aurora declare that driverless vehicles will be commercialized very soon and advertise the bright side driverless vehicles can deliver to our real life. People, however, aren't ready for the whole new world. The more we are treated to a great deal of driverless vehicle news, the more we get concerned about their safety probability and our privacy they may breach. In this situation, the U.S. bravely made a fast move to keep up with progress i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e Autonomous Vehicle Legislation - Senate bill (AV START Act - S. 1885) is American version for dealing with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V Start Act is expected to play a momentous role in deploying driverless vehicles. To be prepared for the revolutionized future transportation, AV Start Act may become a good example for Korean legislators and researchers. Particularly, the section for cybersecurity and the section for privacy protection are so important that we need to discuss them further. In summary, AV Start Act is a current version of the best balancing act after weighing the pros and cons on driverless vehicl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