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의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유순화 ( Yoo Soon Hw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정준상관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부산과 경남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를 독립변인군으로,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인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생애 목표 가운데 삶지향목표가 성취지향목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적응성 하위요인 중에는 통제가 가장 높았고 관심, 호기심,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준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준함수가 도출되어 생애목표와 진로적응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생애목표의 하위요인인 성취지향목표와 삶지향목표는 모두 진로적응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성취지향목표가 삶지향목표보다 진로적응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성 하위요인도 모두 생애목표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관심, 호기심, 통제,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자대학생을 위한 진로적응성 향상 프로그램에 생애목표의 균형적 발달을 돕는 개입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goa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1 female college students in A city and B province. To analyze the data,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score in the personal life goals than the achievement goals.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came in the order of control, concern, curiosity, and confidence. Second, a significant canonical function was produced, therefo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goa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Third, both subscales of life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chievement goals having larger effect than the personal life goals on the career adaptability. All four subscales of career adaptability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ife goal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유순화 ( Soon Hwa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고려한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36명 이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성차가 발견되었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인지적 정서조절 가운데 적응적 정서조절만이 심리적 안녕감과 실제적인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정서 조절 하위변인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두 변인의 하위변인 간의 관계가 남녀 학생 간에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도모할 때는 남녀의 차이를 고려하고, 부적응적인 전략 보다는 적응적인 전략의 사용을 촉진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나타나는 성차에 관한 사회인지적 분석

        유순화(Soon Hwa Yoo)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1

        While currently dominating theories, such as Super`s theory, Holland`s theory,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decision-making, are generally sou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lack explanatory power when applied to women`s career development. A new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SCCT) seems to be able to adequately account for the career behavior of women as well as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gender, learning experienc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interest in the process of science career choice of high school students, as a partial test of the SCC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six competing career path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addition to testing these six general models, two additional models for each gender were analyzed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career choice process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719 high school students in Ohio from 12 schools.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ed the utility of SCCT in explaining the career choice proces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by SCCT, self¬ efficacy mediated gender effect on science career choice. However, the learning experiences (performance accomplishments and verbal persuasion), the important sources of self-efficacy information, did not mediate the gender effect 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failed to demonstrate the SCCT`s notion tha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affect career choi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However, the results did confirm the indirect effects. Relation to counseling research of these findings, counseling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to Korean situ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성별, 사회적 격려, 자기효능감이 미국 고등학생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유순화(Soon Haw Yoo) 한국상담학회 2000 상담학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gender, science-related social support (environmental factor) and self-efficacy beliefs on the science career choice by U. S. high school student<;, as a partial test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Subjects were 719 high school students in Ohio. Results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ll three predictor variables (science-relat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cience career choice. Consistent with the SCCT, the students who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and possessed high level of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science careers. Interestingly, gender (favoring males) appear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tudents` choice of science careers after controlling the other variables. It was concluded that SCCT can be useful for understanding science care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김예린(Kim, Yerin),유순화(Yoo, Soonhwa),안진영(An, Ji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시설보호 아동․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관련 최근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와 시설보호 아동․청소년 대상의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7년 사이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와 국회도서관 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 ‘집단 프로그램’을 주제어로 수집하여, 총 62편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적 특징은 2002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사회과학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론적 근거는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이 5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제로는 정서 관련 주제가 37%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1편의 질적연구를 제외한 61편의 연구가 실험 설계 방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포함한 실험연구가 총 24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서는 정서관련 척도가 38.7%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구조적요인에서 연구대상은 초 · 중 · 고등학생으로 다양했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4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은 집단 구성원 수 6명~10명, 집단회기 9~12회기, 회기당 운영시간 60~90분으로 진행된 방식이 많았다. 효과성은 54편의 논문이 효과성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가장 많이 제시된 제언으로는 프로그램 적용의 다양화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group programs aimed 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paper also seeks to put forward for consideration basic materials aimed at better quality provision to group programs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62 articles on group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2002 to 2017 with evaluation factors including the follo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pic, research methods and measurement instruments, research subjects, structural factors, the everyday practices of such programs and thei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The most frequent theoretical background appearing in such papers was culture and art. The most frequent subject was the emotional subject.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the most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erms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emotion related scales were the most common. In terms of structural factors, 9∼12 sessions and 60~90 minutes per sitting was the most common. A total of 54 papers were reported to be effective, with the most frequent suggestions being the diversity of the program coverage in terms of both area and 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ave rise to a number of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hi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여교사의 명예퇴직 이유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

        최정임 ( Jeong Im Choi ),유순화 ( Soon Hwa Yoo ),이성실 ( Seong Sil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초등 여교사의 명예퇴직 이유를 Q방법론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선행 문헌연구에서 드러난 명예퇴직 이유를 참고하고, 실제로 명퇴한 초등교사 4명과, 상담심리 전문가 1인의 면담을 통해 명예퇴직의 이유를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문항 78개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명퇴교사 1인과 상담심리 전문가 1인, 교육학 교수와의 논의와 자문을 거쳐, 최종 34개의 진술문을 채택하였다. 이 진술문을 명퇴한 초등 여교사 41명으로 하여금 9점 척도의 Q분류 분포도 상에 강제 배분하도록 한 후, 개인면담을 통해 그 이유를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28명의 대상자가 최종 유형에 포함되었으며, 가장 동의하거나 부정하는 진술문과 식별문항 중심으로 해석하여 명퇴 이유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1유형은 소진형, 제2유형은 안전추구형, 제3유형은 제2의 인생설계형, 제4유형은 현실문제탈피형, 제5유형은 개인행복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명예퇴직을 희망하는 교사와 체계적 명예퇴직 제도의 수립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asons of voluntary retirement of fe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by using Q-methodology. Seventy-eight Q statements representing the reasons of voluntary retirement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four retired female teachers and one counseling specialist. Finally, thirty-four Q statements were selected by a female retired teacher, a specialist in counseling and a professor majoring in education.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8 female retired teachers. They were asked to rank-order Q statements on the 9-point continuum, then explain the reasons why they made the orders. The result of the Q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st agreed and the most disagreed statements: 1) burn-out, 2) pursuit of safety 3) planning for new life, 4) escaping from reality problems, 5)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It is suggested that the needs and the directions of policy for voluntary retirement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숙 ( Young Sug Park ),유순화 ( Soon Hwa Yoo ),한귀녀 ( Gui Nyeo Han ),정애리 ( Ae Ree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직무만족 여부가 아동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교육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으면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 또한 달라져서 결과적으로 아동의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 G, W 초등학교 4~6학년 담임교사 50명과 담당 학급의 아동 1082명이 참여하여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을 1단계로,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2단계로 회귀방정식에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았으며, 아동들은 대체로 담임교사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고, 학교생활에도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 및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상관이 높았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은 모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아동의 교사에 대한 지각이 투입된 후에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아동교육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tudy results have frequently reported that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attitudes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how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teachers` attitudes, and how it is thereby a factor having an influence on children and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50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4~6 grad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their 1,082 childr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ppea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fter controlling a common part with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increas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강원희 ( Won Hee Kang ),유순화 ( Soon Hwa Yoo ),윤경미 ( Kyung Mi Y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 여 고등학교, 전문계 남녀공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347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과 정서적 돌봄이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었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 신체증상, 위축의 변인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심리적 부적응과 가장 관계가 높았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에 노출된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적절하게 부모화 경험을 다룰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high school students(142 boys and 205 girls).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Second, unfairness of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caregiving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ignificantly, anxiety/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and withdrawal were related to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Third,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counseling services must implement a program for treating cases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 자녀와 부모가 생각하는 좋은 부모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

        조미영 ( Cho Miyoung ),유순화 ( Yoo Soonhw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청소년기 자녀와 부모가 생각하는 좋은 부모의 유형과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41개의 진술문을 53개의 가정의 청소년 자녀와 부모에게 Q분포도에 분류하게 하고, 추가인터뷰를 통해 분류의 이유와 관련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기 자녀가 생각하는 좋은 부모는 ‘친밀한 가족관계를 만드는 부모’, ‘자녀를 존중하고 대화하는 부모’, ‘기본 생활습관 형성을 중요시하는 부모’, ‘일상적 안정감을 제공한 부모’, ‘자녀를 존중하고 기준이 명확한 부모’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생각하는 좋은 부모는 ‘화목한 가정을 중요시하는 부모’, ‘믿어주고 기다려주는 부모’, ‘친밀하고 격려하는 부모’, ‘격려하고 길잡이가 되는 부모’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이해 증진, 호감과 존중의 가족문화 형성, 청소년 부모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and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Q methodology. First, 162 Q recruitment groups were form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view and open questionnaires for adolescent children and parents, and 41 statements with representation were adopted among them. This statement was classified into the Q distribution by adolescent children and parents of 53 families with childre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fically explored the reasons for classification and related experiences through additional inter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good parents that adolescent think are (1) ‘parents who create intimate family relationships’, (2) ‘parents who respect and talk to their children’, (3) ‘parents who value the formation of basic lifestyle’, (4) ‘parents who provide a sense of everyday stability’, and (5) ‘Parents who respect their children and have clear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good parents that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think are (1) ‘parents who value harmonious families’, (2) ‘parents who believe and wait’, (3) ‘intimate and encouraging parents’, and (4) ‘parents who are encouraged and gu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