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riations and Restoration of Salivary Components by Sugar Intake

        유수민,안금선 대한예방치과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11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amounts of cariogenic components in saliva after eating sugars an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and restoration of the salivary components as time elapsed. Methods: The saliva was collected at 0, 1, 2, 5, 10, 15, 20, and 30 minutes after eating 10% sucrose solution, and analyzed the cariogenic compounds. The sugars (mono- and di-saccharide) was analyzed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method, and organic acids (lactic acid, acetic acid, and formic acid) was analyzed with ion chromatography with 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method. Results: Sucrose was detected immediately after eating, and rapidly decreased as time passed. Monosaccharides generated from sucrose decomposition were also found in saliva. The clearance of disaccharide was faster than that of monosaccharide. Organic acids (lactic acid, acetic acid, and formic acid) generated from sugar metabolism were also detected, and the lower organic acid with lower molecule were more slowly generated and disappeared. The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was peaked at 2 minutes after eating sugars. Conclusion: To prevent the teeth from cariogenic acids, mouth should be cleansed as soon as possible after eating foods, because the organic acids were generated in short times within a few minutes.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Dentifrice Mixed with Green Tea Extract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in Preventing Gum Diseases and Oral Malodor

        유수민,조자원,황경숙,김찬호,채상근,성영은,이준환,박용덕 대한예방치과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7 No.1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effects on oral environment improvement including the control of dental plaque, the prevention of gingivitis and the repression of oral malodor using dentifrice mixed with hydrated silica, sodium monofluorophosphate, green tea extract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Metho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f 95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 volunteers using by double blind method. Before the experiment started, the subjects removed their tartar mechanically to make the oral conditions of all subjects same. After 2 weeks for no residual effect, the oral environmental index was measured as baseline value. For 3 months,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use dentifrice experimented and the effect of hydrated silica, sodium monofluorophosphate, green tea extract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was analyzed comparing experiment group 1 and 2 with control group. Results: The changes of gingivitis and plaque index of 2 experiment groups, which is to figure out the improvement of gingivit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p<0.05). Changes of oral malodor of 2 experi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p<0.05). After 3 months freshness of 2 experi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p<0.05). The experiment group had freshness at about 7.83, experiment group 1 at about 7.97 while the control group at about 3.15. Conclusion: The most effective improvement especially shown on the oral conditions were dentifrice that contains.

      • KCI등재

        온라인 비디오 공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을 중심으로

        유수민,노기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a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 variables (subjective norms, attitudes, and self-efficacy), need to belong and personal growth initiatives to explain the reasons for users' shared behavior. 959 participants who had shared online video were collected as a sampl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need to belong affected attitudes to online video sharing and subjective norms, and that personal growth initiative also affected attitudes to online video sharing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all three variables of TPB were affect the intend of online video sharing, and attitudes to online video sharing were affecting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user's intention to share online video through variables of TPB along with their need to belong and personal growth initiatives.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공유행위의도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 변인(주관적 규범, 태도, 자기효능감)과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의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 비디오 공유 경험이 있는 959명의 참가자들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소속 욕구는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성장주도성 역시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3가지 변인 모두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온라인 비디오 공유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속 욕구, 자기성장주도성과 함께 계획된 행동이론 모델의 구성 변인을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비디오 공유 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초음파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문의 개방 여부 판단

        유수민,최린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5

        실내 위치 인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실내 공간에 대한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실내 공간 중 하나인 엘리베이터는 보행자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탑승을 판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엘리베이터 문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리는 엘리베이터 문을 개방했을 때와 폐쇄했을 때의 초음파 반사 시간을 비교하여 초음파를 통해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This study regards Gangtaegongjeon(姜太公傳) as an adaptation from Fengshenyanyi(封神演義) and examines the adaptation aspect. The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ation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ion’ process. Gangtaegongjeon was one of them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ed the form. I argued that the author of Gangtaegongjeon had attempted to follow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Joseon heroic novels including a biography of the one hero. I also investigated that the author had tri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Joseon readers by contracting the original text, resulting in popularization of the text. Secondly, I considered the content. I indicated that the author had attempted to minimize the fictional element and to make the readers have realistic political nature. I also examined that the author had tried not to be against the ideological principle, ‘filial piety(忠孝).’ Thirdly, I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emale readers’ influence to the text. I discussed that Gangtaegongjeon showed the female moral which advised readers to do good and to assist their husband well by means of borrowing the contrastive structure of Korean long piece novels, “legal wife-the good” and “concubine-the evil” and emphasizing on the story of Mrs. Ma(馬). I also indicated that it not only carried the female moral, but also reflected their resentment, resulting in alleviating the chagrin of them. Gangtaegongjeon reorganized Fengshenyanyi by ‘rewriting’ and created a new meaning. I tried to figure out how Joseon readers had actually shar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anipulation’ which had been occurred while they had adapted the original tex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을 중국 명대 神魔小說 《封神演義》의 번안소설로 보고,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번안 메커니즘의 일면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많은 중국소설들을 원작 그대로가 아니라 자국소설인 양 번안하여 ‘전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강태공전》도 그러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형식적 전유의 측면, 내용적 전유의 측면, 그리고 여성독자층의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작자는 《封神演義》를 영웅 일대기적 서사구조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웅소설의 문법을 따르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축약 번안을 통해 작품 독해의 대중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작자는 원작의 환상적 요소들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의 역사의식 고취를 통해 현실적인 정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번안에 있어 충효 이데올로기의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독자층의 영향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하였다. 첫째, 《강태공전》은 장편국문소설의 정실(선)-첩(악) 대비구조 차용 및 마씨 고사의 강조를 통해 여성독자들에게 선과 내조의 덕목을 권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설의 주요독자층이었던 규방 여성들의 분노심을 투사하여 雪冤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조선의 《강태공전》은 중국의 《封神演義》를 ‘다시쓰기(rewriting)’함으로써 원작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중국소설이 조선에 전파된 후 번역 및 번안되어 조선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의 지점들에 대한 궁금증에 착안하여 진행된 본고의 연구가, 비슷한 듯 하면서 엄연히 다른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封神演義》 姜太公 형상의 서사적 재현 고찰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8 No.-

        ‘낚시’로 잘 알려진 강태공은 중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은주시대 역사 인물이다. 한국에서 강태공은 ‘대기만성형 인물’이자 ‘신적 존재’, 그리고 ‘무능한 남편’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기 크게 유행했던 명대 소설 《封神演義》와 관련이 깊다. 이에 본고는 《봉신연의》 강태공 서사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설 서사가 빚어낸 강태공 인물 형상의 특징 및 의미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부침이 있기는 했지만, 강태공은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에게 뛰어난 병법가이자 정치가, 그리고 신선⋅도사 혹은 신적 존재로 여겨져 왔다. 《봉신연의》 강태공 서사에도 이러한 다양한 모습들이 반영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문인 작자의 도교 성향 및 정치적 이상, 그리고 명대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분위기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특정 형상들이 부각된 채 표현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봉신계획을 수행하는 선인, 무왕벌주 전쟁을 이끄는 제왕사, 대기만성형 인물 이렇게 세 가지 형상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봉신연의》는 그 풍부한 서사적 스토리텔링 덕분에 도교문화 및 민간 신앙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풍부한 서사성을 지닌 《봉신연의》는 비단 종교문화뿐 아니라 오늘날 문화콘텐츠 업계에서도 각광받는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하고 있다.

      • KCI등재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 魯迅의 무의식과 관련하여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8 No.-

        이 논문은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를 시도한다. 이러한 작업의 목적은 魯迅의 소설 창작 행위를 이성의 영역인 의식적 차원만이 아니라 감성의 영역인 무의식적 차원까지 고찰하고, 작품 자체에 대한 감상 및 작가에 대한 이해의 폭을 좀 더 넓혀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2장에서는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를 위해 우선 달의 상징체계를 살펴보았다. 달은 ‘太陰’ 상징체계로서 여성 원리 및 죽음-재생의 순환을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삼는다. 달은 인류의 역사에서 감성의 항진 및 무의식의 심연과도 깊이 연관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달과 광기의 관계, 달과 서정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3장에서는 魯迅의 작품집 《吶喊》, 《彷徨》, 《故事新編》에서 달 이미지가 등장하는 소설들을 선별하여 분석했다. <奔月>, <肥皁>, <藥>에서는 太陰의 여성 원칙이 표현되어 있음을 논의했고, <狂人日記>, <白光>, <弟兄>에서는 달이 광기와 본능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으며, <故鄕>, <社戱>, <孤獨者>에서는 달이 향수와 고독의 감성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고찰했다. 4장에서는 작품 속 달의 형상화가 魯迅의 무의식적 글쓰기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魯迅의 창작 행위를 상호텍스트 원리에 기댄 ‘팔랭프세스트(palimpsestes)’ 글쓰기로 보고, 그것이 매개하는 ‘심층적 기억’을 달의 상징체계와 관련하여 논의했다. 또한, 魯迅의 창작 행위를 무의식적 층위에서 고찰했다. 라캉(J. Lacan)은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에 존재한다’라고 언명했다. ‘대타자(Other)’의 담론인 무의식은 魯迅의 유년 시절의 주변 환경과 직결되며, ‘심층적 기억’을 형성한다. 이미지에 대한 애착 및 도교, 비주류에 대한 관심은 魯迅의 무의식적 지향을 참조하며, 그것은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그의 소설 속 달의 이미지는 魯迅의 의식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무의식의 차원에서도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융(C. G. Jung)의 ‘그림자(shadow)’ 개념을 이용해 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가 ‘그림자의 자각’과 관련이 있음을 논의했다. 특히 <弟兄> 작품을 창작하면서 魯迅이 자신의 그림자를 의식에 통합하는 과정인 ‘개성화(individualization)’를 성취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은 그간 魯迅 텍스트를 이해해온 주된 방식인 이데올로기적 접근이 아닌, 상징적 독해라는 관점에서 魯迅 및 魯迅 문학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논의가 그간의 魯迅 문학 연구가 결락해온 부분에 대한 補論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ad the moon imagery in Lu Xun(魯迅)’s novel, to which the lunar symbol system is related.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not only to consider conscious aspect with reason, but also to ponder unconscious aspect with emotion of Lu Xun, which will broaden the scope of the esthetic appreciation of the literary work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uthor. In chapter 2, I investigated the lunar symbol system to apprehend the moon imagery in Lu Xun’s novel. The moon has Tai-Yin(太陰) symbol system, which typically operates the feminine principle, Eros and the repetition of life and death. In the history of mankind, the moon is deeply involved with acceleration of sensibility and abyss of the unconscious. I specially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the moon and a lunatic, the relation of the moon and sensibility. In chapter 3, I examined the moon imagery in the novels, The Call(吶喊), Paces back and forth(彷徨), Old Tales Retold(故事新編). By doing this, I argued these contents: in The Flight to the Moon(奔月), Soap(肥皁), Medicine(藥), the female principle of Tai-Yin was obviously demonstrated; in A Madman’s Diary(狂人日記), White Light(白光), Brothers(弟兄), the moon became a trigger for the revelation of lunacy and instinct; in Hometown(故鄕), Village Theatrical Performance(社戱), A Solitary Man(孤獨者), the moon represented emotions of nostalgia and loneliness. In chapter 4, I reviewed how the moon imagery in Lu Xun’s novel referred to his unconscious creation. Firstly, I argued that Lu Xun’s literary creation displayed the palimpsestic writing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by which his deep memories were mediated in relation to the lunar symbol system. Secondly, I illuminated that the literary creation by Lu Xun was closely related to his unconscious aspect. Jacques Lacan said “I think where I am not, therefore I am where I do not think.”, the converse of “Cogito, ergo sum(I think, therefore I am).”. Lu Xun’s unconscious, the discourse of the Other,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ulture in his childhood, which also formed his deep memories. His unconscious was linked to attachment for images and interest in Taoism, minority thing, therefore the orientation of his unconscious was revealed through his writing.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I illuminated that the moon imagery in his novel was utilized not only in conscious aspect but also in unconscious aspect. Lastly, I investigated that the moon imagery in his novel referred to “the encounter with the shadow” by using the Jungian shadow concept. Especially, I identified that the shadow of Lu Xun was embodied in his conscious life i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by writing Brothers(弟兄).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of Lu Xun and his literary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ymbolic read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way to analyze them by ideological approach, largely existing before.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take a definite role in establishing a way of looking in order for diversified interpretation of Lu Xun and his literary creation.

      • KCI등재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중심으로

        유수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This study examines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in Daesoon Jinrihoe), in terms of narrative imagination, by investigating the narrative of Wen Zhong (聞仲) in Investiture of the Gods (Fengshenyanyi 封神演義) and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姜甑山)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This examination occurs along three dimensions: Firstly, I look into the cultural contexts of the image of the Thunder God (雷神) in Gojoseon (古朝鮮) mythology and the Korean seondo (仙道) tradition both of which are reflected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t the same time, I also argue that the cultural contexts examined above are able to be found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Secondly, I consid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oncept of “deifying” (封神)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nd its connection to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haewon 解冤)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Thirdly, I consider the traits of embracing heterogeneous things (異類) in the religious group “Jiejiao” (截敎) that Wen Zhong belonged to in relation to the values of “mutual beneficence” (sangsaeng 相生) that Kang Jeungsan pursued. In this study’s conclusion, I posit that the “mentalité” of Dong-yi (東夷) culture and tales including Yin (殷) is identifiable in narrative imagination applied to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This means that the nature of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seondo and Korean Daoism.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 서사와 대순진리회 경전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을 서사적 상상력의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고조선 신화의 뇌신(雷神) 이미지와 한국 선도 전통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있고, 그러한 문화적 맥락이 다시 『전경』 강증산 서사에서도 곳곳에 나타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표현된 ‘봉신(封神)’이라는 개념의 본질을 『전경』 강증산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解冤)’ 사상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봉신연의』에서 문중이 속해 있는 ‘절교(截敎)’라는 집단이 가지는 이류(異類) 포용의 특성을 『전경』에서 강증산이 추구하는 ‘상생(相生)’의 가치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에는 은(殷)을 포함한 동이계 종족의 설화와 문화에 대한 ‘망탈리테(mentalité)’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해당 신격이 태생적으로 한국 고유의 선도(仙道) 전통 및 한국 도교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The Stability of Oral-Disease Preventing Natural Compounds in Toothpaste Containing Green Tea

        유수민,황경숙,안금선 대한예방치과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9 No.2

        Objective: In this study, bioactive compounds of green tea were determined and their stability was observed in toothpaste containing green tea. Methods: The natural compounds in toothpaste containing green tea were extracted in methanol, diluted with water five times,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in toothpaste were observed for one month. The compounds in toothpaste were analyzed by external standard method of HPLC using reversed-phase column as stationary phase and phosphoric acid-acetonitrile gradient condition as mobile phase. Results: The content of total compounds was 875.88 mg/g in toothpaste containing green tea. After one month, total content was 264.62 mg/g, thereby 66% of compounds are decomposed for one month. Conclusion: In toothpaste containing green tea, majority of compounds was decomposed in a month. Therefore, it is need to find an effective manufacturing condition to prolong the shelf life to seek the positive preventive effects of green tea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eriod of toothpa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