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숏폼 동영상의 도시 이미지 구축 분석 -TikTok의 베이징 도시 이미지 구축을 중심으로-

        유미,이상은,양종훈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mage of Beijing created by short-form videos on TikTok through content analysis to observe how to build a city image in short-form videos and its shortcomings in the context of new media. 258 sample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by means of purposive sampling and based on confidence levels. Then, the basic attributes (video producer, duration and source, and sound and text) and narrative patterns (narrative subject and perspective) of these sampl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1) Basic attributes: the diversified video producers mainly make short- or mid-form videos, which are highly original. In these videos, background music and verbal elements are used quite frequently, and subtitles are used in such a clever way that they can effectively complement the frames of the videos. (2) Narrative patterns: character narration is preferred by personal accounts and online influencer's accounts, while non-character narration is adopted more by government and media accounts. In terms of narrative perspective, omniscient and limited perspectives, and single perspectives and multi-perspectives are used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while inner and first-person perspectives are more frequently us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image creation requires more engagement of the government and celebrities, and more elements manifesting local culture amid th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image in short-form videos. These findings will better clarify the composition process of short-form videos that reflect the city image, and provide, to some extent, data and theoretical support for building a better city image through short-form video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본 연구는 모바일 숏폼 동영상 TikTok의 베이징 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콘텐츠 분석법을 분석 수단으로 삼아현재 뉴 미디어 환경의 숏폼 동영상에서 도시 이미지 구축과 그에 존재하는 문제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유의추출법과 신뢰성 수준을 통해 258개 연구 샘플을 선정하고, 연구 샘플에서 기본 속성(동영상 제작자, 시간 길이와 출처, 소리와 문자)과 서사 방식(서술 주체, 서술 시각)에 대해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 기본 속성 측면에서 동영상 제작자의 유형이 다양하고, 시간 길이는 짧은 유형과 중간 유형이 많으며, 원작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경 음악과 언어 사용 빈도수가 비교적 높고, 적절한 자막사용을 통해 동영상 화면과 효과적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2) 서술 방식 측면에서 개인 계정과 인터넷 오피니언 리더의 계정은 인물 서술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고, 정부 계정과 미디어 계정은 비인물 서술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사 시각에서는 전지적 시각과 제한적 시각, 일원 및 다원적 시각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내적 시각과 제1 인칭 시각의 사용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숏폼 동영상의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부와 스타의 참여 수준이 낮고, 지방 문화 요소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시 이미지 숏폼 동영상의 창작 과정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있게 할 뿐만 아니라 뉴 미디어 환경에서 모바일 숏폼 동영상을 통해 양호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일정한 참고 데이터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글 아스키 아트의 자동 생성

        유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2

        이 논문은 KS X 1001 완성형 한글 코드에 선별된 한글 자모음 및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한글을 기반으로, 이미지 및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글꼴로 이루어진 한글 아스키 아트로 손쉽게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트루 타입 글꼴(.ttf) 및 트루 타입 글꼴 묶음(.ttc) 파일 분석을 통해 각 글꼴별 특성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입력된 이미지의 명도를 분석하여 이를 사용자가 입력한 글자에 매핑시킨다. 우리의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결과물은 다양한 이미지와 다양한 입력 한글에 대하여 신뢰도 높고 안정적으로 아스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Hangul ASCII art that is composed of Hangul letters chosen by the user or KS X 1001 Hangul code sourced from input images. First, we analyze ‘TrueType’ fonts (.ttf) and ‘TrueType’ collection files (.ttc), after which we automatically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onts. Second, we compute the brightness of each pixel in the input images. Third, we map the calculated data to letters. Our method creates stable and reliable Hangul ASCII art from various input images and inputted Hangul letters easily.

      • KCI등재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에 관한 연구

        유미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1 간호행정학회지 Vol.17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in nurses in Korea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 Participants were 242 nurses working in 13 general hospitals. Burnout was measur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work stress with the instrument by Gu & Kim (1994), and turnover intention with the scale by Kim & Lee (2001). Size of the NICU, nurse to patient ratio,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work environ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work stress in NICU nurses was 3.43 points, for burnout, 2.72 points, and for turnover intention, 4.64 point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level of participants were moderate-high. Work stress, communication dissatisfaction with physician, and clinical career accounted for 33% of variance in burno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ize of NICU and staffing related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Conclusions: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owork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appropriate staffing according to number of beds will help to prevent work stress, burnout, and ultimately, nurses' resignations.

      • KCI등재

        조직분권화, 의사결정참여, 직무만족이 간호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미,김경숙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1 간호행정학회지 Vol.1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centralization,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 managers. Method: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ponses of 198 nurse managers from January to March, 2006 at four general hospitals over 900 beds in Seoul and Gyungi province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OVA and Sheffe's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Mean of decentralization was 3.53±0.52,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as 5.04±0.83, job satisfaction 3.54±0.48,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5.30±0.7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career of manager, field of practice, span of control, especially in staffing decision.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centralization (r=.22, p<.001),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r=.40, p<.001), job satisfaction (r=.64, p<.001). The job satisfaction has the highest significant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2=43%). Conclusions: Nursing manag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be promoted by granting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 KCI등재

        가상 제작의 개념과 해외 제작 사례 분석

        유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1

        Virtual production expands the possibilities of the existing movie production environment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the traditional cinematography method. Since Hollywood movies have produced a lot of movies with intense VFX scenes, there is a lot of room for virtual production to be used because movies that use a lot of VFX produce a lot of digital assets. As a result, virtual production studios specializing in virtual production are emerging, especially in Hollywood. The set of movies with many VFX scenes is in most cases surrounded by a blue or green screen. The director confirms the result of the final video only after the VFX scene is inserted after shooting and editing are all finished. Virtual production is drawing attention as a major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lack of visual information about VFX that occurs during shooting. Virtual production is a concept that can revolutionize the entire movie production environment, but until now, the quality of the graphic has not reached the level used in the final movie, so it is used in a limited way.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otential of virtual production, which is drastically changing the way films are planned and produce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virtual production is still unfamiliar to the domestic film industry, we will look at overseas cases and discuss its possibilities. 가상 제작(버추얼 프로덕션, virtual production)은 기존의 영화 촬영 방식에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하여영화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영화 제작 환경의 가능성을 확대시킨다. 할리우드 영화들은 강도 높은VFX 장면들이 들어간 영화를 많이 제작해 왔는데, VFX가 많이 사용된 영화들은 디지털 에셋을 많이 제작하기때문에 가상 제작이 사용될 여지가 많이 있다. 그러다 보니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최근 가상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가상 제작 스튜디오(virtual production studio)들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VFX 장면이 많이 들어간 영화의 세트장은 대부분의 경우 블루 스크린 또는 그린 스크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감독이 최종 영상의 결과물을확인하는 것은 촬영과 편집이 모두 끝난 후 VFX 장면이 삽입된 후다. 가상 제작은 촬영 도중에 생기는 VFX에대한 시각적 정보 부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주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가상 제작은 영화 제작환경 전체를 혁신적으로 변모시킬 수 있는 개념이지만 현재까지는 그래픽의 품질이 최종 영화에서 사용될 수준까지 이르지 못하였기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기획 및 제작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가상 제작의 잠재성에 주목한다. 가상 제작이라는 개념이 아직은 국내의 영화계에서는 생소하게 느껴지는 현 상황에서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그 가능성을 논의해본다.

      • KCI등재

        미숙아의 구강수유 이행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도와 실천도

        유미,김종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outine level of transitional feeding management currently provided for preterm neonates from gavage feeding to oral feeding across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Method: This cross sectional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ed with feeding criteria, assessment tool, specific interventions at transitional period revised from Dodrill et al. (2008). Data were collected from Dec. 2010 to Jan. 2011 in 13 hospitals, 242 neonatal nurses and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Result: 84.6% of these NICUs reported having criteria to start oral feeding from gavage feeding, however only 3 (23.1%) NICUs had formal and written policy regarding the management. There were differences in transitional feeding guideline, criteria to cease tube feeding, decision-makers among hospitals and in awareness and practice among nurses.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 it requires evidence-based guideline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practice on transitional feeding among neonatal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위관수유에서 구강수유로의 이행에 관한 국내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현 수준과 이에 관한 간호사의 인지도와 실천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13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근무하는 간호관리자와 간호사 총 242명으로 Dodrill 등(2008)의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의 84.6%에서 구강수유 이행에 관한 기준이 있다고 하였으나 성문화된 기준이 명시되어있는 곳은 3곳(23.1%)뿐이었다. 구강수유이행 기준, 위관수유 중단에 관한 기준, 수유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방법 등에서 병원과 간호사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구강수유 이행에 관한 간호사들의 인지도와 실천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추후 미숙아 구강수유이행에 관한 간호중재방법에 대한 공통된 합의와 실무중심의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사들의 인식과 실천의 증가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