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광대학교박물관의 서화 수집과 민화

        유미나(Yu, Mi-na)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원광대학교박물관은 익산지방의 역사•문화적 중요성과 문화유산의 보존 및 발굴, 교육 등을 담당할 전문기관의 필요성에 따라 1968년에 세워졌다. 원광대박물관은 구입과 기증의 형식으로 소장품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발전시켜왔다. 서화 부문의 기증 유물 가운데 조선 중기의 문신 박상(朴祥, 1474~1530)과 박순(朴淳, 1523~1589)의 초상화가 있으며, 민속학자 김태곤 교수의 무속 유물 기증, 그리고 고형곤 교수와 박순호 교수의 서화 유물 기증을 주목하였다. 구입 유물로는 〈대곡사명 감로왕도〉(보물 1990호)와 <고종황제 어진>(전북유형문화재)이 있다. 원광대박물관의 민화 소장품의 대강을 보면 화조도 유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채색화조도 중에서는 자유로운 필치의 활달한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수묵화훼도의 경우는 조선말기~근대기에 유행한 ‘사군자화훼도’ 유형의 작품들이 주목되었다. 산수화 화목에서는 금강산도, 관동팔경도, 구곡도, 소상팔경도와 사계산수도 등을 고루 볼 수 있었다. 산수화는 대부분이 수묵화이고, 일부 담채를 사용한 작품들이 있다. 화조화와 산수화 작품 중에 화가의 이름 혹은 호가 확인되고 있어서 앞으로 민화 작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이 외에 자수 작품이 많아서 근대기 자수 병풍의 인기를 실감케 한다. 원광대박물관의 민화 소장품들이 대부분 미공개 작품들이었기 때문에 지면을 통해 새로운 자료를 소개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 대해 학자들의 많은 관심과 연구를 기대하고, 작가들에게는 창작의 영감을 주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Wonkwang University Museum was established in 1968 recogniz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importance of Iksan region and to meet the need for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preservation, excavation, and educ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Wonkwang University Museum has been expanding the siz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museum collection through purchase and donation. Wonkwang University Museums Minhwa collection comprises almost all genres; flowers and birds, landscape, figures, letter paintings, chaekgeori, etc. They are mostly mounted in the folding screen form and each work consists of 6~12 paintings. Among them, the flowers-and-birds take the largest number. The flowers-and-birds rendered in color show bright and free workmanship, while the flowers-and-birds in ink wash take after the typical style of the literati painters active in the late 19th~20th centuries. The landscape collection includes the paintings of Mt. Keumgang, Eight Sceneries from Gwandong Region, and Nine Sceneries of Gosan, etc. Some of the paintings had an inscription or seal, which however does not reveal the painters identity as to when and where he or she was active. More of such information need to be collected and studied to understand the Minhwa painters and their activities.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s Minhwa collection have not been open to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ome of the works here helps attract the interest of both scholars and painters to enhance their study and work in their field.

      • SCOPUSKCI등재

        연구 논문 : KOH 활성화처리된 메조기공 탄소를 이용한 실내 포름알데히드 제거

        유미진 ( Mi Jin Yu ),박성훈 ( Sung Hoon Park ),전종기 ( Jong Ki Jeon ),박영권 ( Young Kwon Park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메조기공 탄소(CMK-3)를 KOH로 활성화 하여 실내공기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흡착에 사용하였다. 활성화는 KOH 처리한 CMK-3를 700 ℃의 반응기에서 질소분위기로 수행하였다. 활성화된 시료의 특성은 BET, XRD, XPS, FT?IR을 통해 분석하였다. 포름알데히드의 흡착능은 활성화에 의해 향상되었으며, 이는 활성화에 의해 메조기공 탄소의 산소작용기와 질소 작용기의 생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mesoporous carbon (CMK-3) activated using KOH was applied to the adsorption of formaldehyde, a representative indoor air pollutant. Activ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by putting KOH?treated CMK?3 in a reactor maintained at 700 °C in N2 atmosphere. The activated sample was characterized using BET, XRD, XPS and FT?IR analysis. The formaldehyd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mesoporous carbon was improved, which is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oxygen and nitrogen functional groups on the mesoporous carbon surface by the activation process.

      • KCI등재

        제품관여도와 광고모델에 따른 비교광고 효과 연구

        유미원(Yu, Miwon),박범순(Park, Pums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4

        본 연구는 광고모델에 따른 비교광고의 효과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제품관여도의 상황을 고려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광고모델을 이용한 비교광고의 효과 연구에서는 유명인 모델과 전문인 모델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지만 본 연구는 광고모델에 따른 비교광고의 효과를 현실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유명인, 전문인, 일반인, 비(非)모델 4가지 유형 중 어떤 비교광고가 정보 전달에 가장 효과적인지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고관여 제품의 경우 비교광고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모두 비모델>일반인 모델>유명인 모델>전문인 모델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태도를 제외한 광고태도, 구매의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저관여 제품의 경우, 광고모델 간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관여 제품은 광고모델이 없는 광고가 더 효과적이라는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비교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 그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상황변인들 중에서 광고모델 자체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제품관여도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the product involvement situation that actual affects consumers when discussing the comparative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endorser. Also, only celebrity endorser and professional expert endorser were used in precedent researches o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effect, but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which comparative advertising among the 4 types of models from celebrity endorser, professional expert endorser, typical consumer endorser, and non-endorser are most effective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discuss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endorser.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purchasing intention of the high involvement product were all effective in the order of non-endorser → typical consumer endorser → celebrity endorser → professional expert endorser,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and purchasing intention, except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for low-involvement product,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between endorser,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purchasing inten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verified that advertisements with no endorser are more effective for high-involvement products, and implies the necessity of researches on the effect of endorser itself and product involvement to increase the effect of executing actual comparative advertising.

      • KCI등재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성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효과

        유미령(Mi-Ryoung Yu),윤상일(Sang-Il Youn),원희욱(Hee-Wook W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성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40세 이상 64세 미만의 성인들 중 남성 2명과, 여성 5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중재 기간은 2022년 8월 7일부터 동년 8월 13일까지 7일간 60분씩 참여하였다. 회기마다 도입 20분 ‘자기성찰’, 본론 30분 ‘싱잉볼 자애 명상’, 마무리 10분 ‘나누기’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인 특성, 생활스트레스를 평가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생활스트레스 하위변인 중 역할 문제 (*p〈.05)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하지만 경제 문제, 가족 문제, 건강 문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파에서는 육체적 스트레스와 자기 피드백 능력 베타1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정신적 스트레스와 자기 피드백 능력에서 알파와 베타 2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을 객관적 근거인 뇌파로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a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on life stress and EEG of adults. Two male and five female adult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4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vention period was 60 minutes per day for 7 days, from August 7 to August 13, 2022. Each session comprised a 20-minute introduction of self-reflection, a 30-minute main period of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and 10 minutes of final shar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 stress were evalua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EEG was measured for each individual.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dentif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We observed that considering the sub-variables of life stress,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imparts a significant change in role problem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the factors of economic problems, family problems, and health problems. EE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tress and self-feedback ability beta1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pha and beta 2 in mental stress and self-feedback ability.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improves life stress and brain waves. We believe that exploring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with objective evidence and EEG is meaningful with positive consequences.

      • KCI등재

        간송미술관 소장 <골굴 석굴도>의 작가와 회화적 재현 방식 고찰

        유미나 ( Yu Mina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간송미술관 소장 《교남명승첩》 중의 <골굴석굴도>는 골굴사와 석굴암의 모습을 담은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석굴 사원의 복원을 위한 史料가 될 뿐 아니라 겸재 정선의 작품이라는 위창 오세창의 발문이 있어 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양식상 정선의 작품으로 보기 힘들다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나온바 있고, 골굴사와 석굴암이 같은 산에 배치된 화면 구성은 관람자에게 혼란을 안겨주는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그 동안 논란이 있었던 이 작품의 작가 문제를 짚어보고, 골굴사와 석굴암을 함께 배치한 <골굴석굴도>의 회화적 재현 방식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골굴석굴도>에 대한 양식적 고찰을 통해 작가는 겸재 정선도 아니고 그 손자 정황도 아닌 18 세기 후반에 활동한 겸재 정선을 추종한 이름 없는 화가로 보았다. 기계적이고 도식적인 묘법을 속필로 구사하였으며, 작품의 수준이 다소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였다. <골굴석굴도>는 조선후기 영남지방의 명승명소를 담은 영남 명승도첩 제작의 유행과 관련된 점을 살필 수 있었다. 겸재 정선이 제작했던 《영남첩》이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이 같은 유행을 가져왔고, 겸재를 추종했던 김윤겸, 김희성과 같은 화가들이 영남 지방에서 관직을 역임하거나 유람을 하면서 영남의 명승도를 적극적으로 제작한 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관동팔경도·사군도·한양명승도 등의 유행과 더불어 유·무명의 많은 화가들의 작품 제작으로 이어졌는데, 이에 따라 실경을 접하지 못한 채 앞선 작품을 베낀 영남명승도도 다수 제작되었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의 경우도 이 같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골굴석굴도>의 재현방식을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의 골굴사와 석굴암의 표현 양식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지도의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지도를 베껴 제작한 경우 지역이나 장소 간의 거리나 방향이 왜곡되어 정확도가 떨어진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토함산 자락에 위치한 석굴암과 함월산 끝에 위치한 골굴사가 하나의 산록에 그려지는 왜곡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골굴석굴도>는 첫 공개 때부터 석굴암과 골굴사 석굴사원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 18 세기 조선후기의 석굴사원의 상황을 보여주는 시각자료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나, 이 그림이 현장을 보지 못한 채 기존에 전해지던 그림을 보고 베낀 작품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러나 골굴사가 18세기 영남 지역의 명승명소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 그 독특하고 신비로운 석굴 양식으로 인하여 조선 사람들의 뇌리에 인상 깊게 각인되었음이 확실하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는 이러한 관심과 이해의 시각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part of the 《Album of Scenic Spots in Gyonam》 in the collection of Kansong Museum is a true-view landscape painting from Joseon Period representing the Buddhist temples, Golgulsa and Seokguram. This painting gathered a keen interest among the academic world because it served as a historic material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Seokguram and because it was identified as a work of Jeong Seon(鄭敾), one of the greatest true-view landscape painters of Joseon with the colophon written by O Se-chang(吳世昌). However, there have since been a number of scholars doubting the authenticity due to the stylistic features. Also,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which placed the two cave temples on the side of a same mountain has puzzled the viewers because it was not the actual geography. This paper, thus,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painter, whether it was done by Jeong Seon or another artist, and the way of the pictorialisation of the scenery comprising the two templ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 The Golgul and Seokgul > was painted not by Jeong Seon, nor was it done by his grandson, Jeong Hwang(鄭榥). It was painted by an anonymous painter who followed the landscape style of Jeong Seon in late 18th century. I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lourishing production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containing the scenic spots in Yeongnam province. Second, the mislocation of the two cave temple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the pictorial maps from late Joseon period. Similar mislocation can be detected in some pictorial maps that copied the existing versions, thus lacking in accuracy in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pots. It is for sure the painter who worked the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has not been to the actual sites. He could have referred to the inaccurate copied versions of the pictorial maps or then existing paintings of the same scene. In any case,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carrie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the interest of the people in the unique and mysterious cave temples amidst the popularity of the albums of scenic spots in Yeong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시책 내함의 니금 瑞獸圖 연구

        유미나(Yu, Min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제왕이나 后妃의 존호를 올릴 때에 그 덕을 기리는 글을 옥 조각에 새겨 엮어서 만든 책을 옥책이라고 하고, 승하한 왕이나 왕후에게 시호를 올릴 때 사용된 옥책을 특히 諡冊이라고 한다. 國葬의 의식 중에 사망한 국왕의 시호를 정하고 그 인장과 시책을 제작하여 종묘에 봉안하였는데, 이 때 옥책은 冊匣으로 싸고 다시 內函과 外櫃에 차례로 넣어 이중 삼중으로 감싸서 보관하였다. 이 중 옥책 내함은 주색의 칠을 한 바탕에 니금으로 그림을 그려 장식한 화려한 것이었다. 이 연구는 국왕의 시책 내함에 장식된 니금화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로서 관련 문헌과 유물을 토대로 용·해마·혜호 니금화에 대한 도상과 상징, 양식 전개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선시대 의궤의 기록을 통해 옥책 내함에 용·해마·혜호가 그려진 경우는 기본적으로 국왕의 국장 때 제작된 시책 내함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왕의 시책 내함은 아홉 점으로 인조·효종·현종·숙종·경종·영조·정조·순조·철종의 국장 때 제작된 시책 내함이다. 용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왕의 지위와 권위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궁중에서 사용하던 서수도였다. <용운기도>는 반룡형, 일승일강형, 좌우 대칭의 승룡, 상하 구도의 행룡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해마는 바다에서 태어난 혹은 바다에서 사는 신비의 서수 혹은 명마로서 매우 잘 달린다. 용마와 함께 왕도 정치의 실현을 상징하기도 한다. 시책 내함에 그려진 해마의 도상은 용과 같이 다섯 발톱을 지닌 五爪形과 천마형, 쌍마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기록을 통해 혜호는 술을 먹으면 죽는다는 벌레를 일컫고, 혜호 모양으로 만든 술잔이 술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시책 내함에 그려진 <혜호도>는 서수형이며, 다른 면에 그려진 <해마도>와 짝을 이룬 것으로 여겨진다. 혜호의 도상은 몸에 비늘을 지닌 魚鱗形, 몸이 용처럼 가늘고 긴 細虎形, 갈기와 외뿔, 등지느러미와 풍성한 꼬리 등을 특징으로 한 해치형, 그리고 호형으로 전개되었음을 보았다. 한편, 영조 연간 이후 혜호와 세호의 명칭이 혼용되기도 하였는데, 시책 내함의 <세호도>와 왕릉의 망주석 <세호> 조각이 동일한 명칭이었다. 적어도 선조 목릉(1608 년졸) 이후의 왕릉 망주석 <세호>가 이전의 초엽형에서 서수형으로 바뀐 점을 통해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혜호(세호)의 도상과 상징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짚어 보았다. 해마와 혜호 도상의 시기별 변화의 원인이나 배경에 대해서는 추가적 자료의 발굴을 기대하며 차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e kings and queens were conferred posthumous names(諡號) to honor their lifetime accomplishments after death. The Book of Posthumous Name(諡冊) was specially produced to on that occasion along with the Seal of Posthumous Name(諡寶). The Book of Posthumous Name was made of jade pieces carved in the form of ancient bamboo books on to which were inscribed the eulogy to be read in the conferring ceremony. And the Book was put in a Book Case(冊匣) and again in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which was ultimately kept in the Jongmyo Shrine(宗廟). The containers were made of wood and varnished with lacquer. It was the Inner Container that was most elaborately decorated, which was applied with red lacquer and decorated with gold paint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uspicious animal motifs rendered in gold on the Inner Container; to make out their iconographic features and the symbolic meanings. The dragons(龍), the sea horses(海馬), and the hyehos(蟪虎) are the three animal motifs that decorated the Inner Container of King"s Jade Book. The dragon has long been the royal motif to symbolize the king"s position and power. The dragons on the Inner Container can be categorized into a several different compositional types; the single dragon named Ballyong(蟠龍), the upward and downward composition (一升一降), the upward dragon pair(乘龍) , and the striding dragons in upper and lower sides. The Sea Horses(海馬) were understood as a kind of dragon which can fly over the ocean. The sea horses were also accepted as an auspicious animal that make an appearance when the kingdom is ruled righteously. The sea horses began to be used as a decorative motif since the Sung dynasty, but they were represented more or less like a flying horse. The Sea Horses should have been understood as an auspicious animal similar to lion, haechi(獬豸), or flying horse, etc. The written records from the earlier half of Joseon dynasty has it that Hyeho(蟪虎) is a kind of insect which dies instantly when given liquor. The jade or silver cup carved in the shape of Hyeho was, thus, to give a lesson be cautious about liquor. However, the Hyeho painted on the inner container of the Jade Book is represented as an auspicious animal similar to haechi(獬豸). In fact, the iconographic features of Hyeho changed most dramatically and in various ways. In the 19th century, Hyeho was represented as a tiger.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최초의 사대부상, 최덕지(崔德之, 1384-1455) 초상화의 전승과 현황

        유미나(Yu, Mi-n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1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 1384-1455)는 조선 태종~문종 연간에 활동한 문신으로서 특히 세종조의 성세(盛世)에 관료를 지내면서 집현전 학사들과 교유하며 덕망이 높았던 인물이다. 그는 문종 즉위 후에 예문관 직제학을 지내다가 노령을 이유로 사퇴하고 전라도 영암으로 내려가 학문에 몰두하였다. 최덕지 사후에 그의 초상화는 그의 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었고, 이후 사당과 서원의 건립이 이어져 이모본이 봉안되면서 후손 및 사림의 첨배 대상으로 존숭되었다. 최덕지 초상화는 조선시대의 사대부상 중 가장 이른 작품으로 일찍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영암 영보리 영당의 <최덕지상 정본>과 <유지초본>은 1975년 보물 제594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최덕지 초상은 영보리 영당에 2 점이 더 있고 임실 주암서원에도 1본이 있어 총 5점이지만 이들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을 통해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펴보고, 이어 현존하는 5점의 작품에 대한 양식 고찰을 행하였다. 먼저 최덕지 초상화에 표현된 복식을 보면 직령(直領)의 청포를 걸치고 허리에 홍대(紅帶)를 둘렀는데 이는 고려 말의 유풍이 있는 공복(公服)에 해당되고, 머리에 착용한 관모(冠帽)는 일종의 오건(烏巾)으로 단추와 같은 돌기가 있는 독특한 규식인데 이는 사복(私服)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서안을 앞에 놓고 독서하는 선비의 모습을 표현한 도상이다. 이는 고위 관료를 지낸 최덕지의 위상을 드러낸 동시에 향리에 은거한 선비의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상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필 수 있는 곳으로 첫째, 최덕지가 중앙 관료직을 사임하고 은퇴하여 살았던 영암 영보 마을의 영당, 둘째, 영암의 사족이 힘을 모아 설립한 녹동서원(구 존양사),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원(현 임실)의 주암서원이다. 첫째 영암 영보리 영당은 최덕지가 거처했던 곳에 설립된 사당이다. 최덕지 초상화는 최덕지의 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다가 1578년(선조 11)에 사당 건립 후 사당의 영당에 봉안되었다. 정유재란 중에 이 사당은 소실되었으나, 초상화는 나주의 본손(本孫) 묘산에 매안(埋安)한 덕분에 온전하였다. 전란 후 1610년(광해 2)에 꺼내어 개장했고 이후 이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초상화는 1659년(현종 즉위년)에 다시 건립된 영당에 봉안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 영보리 영당에 총 3점의 최덕지 초상화 정본과 유지초본 1점이 있는데, 이 중 ‘궤장본’이 17세기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보리 영당본이라 여겨진다. 둘째 녹동서원은 본래 최덕지 향사(享祀)를 위해 1630년(인조 8)에 창건된 존양사(存養祠)에서 시작되었다. 1713년(숙종 39)에 사액되어 녹동서원으로 개칭되었으며, 이 때 최덕지 초상화 이모본을 제작하여 봉안하였고, 1769년(영조 45)에 또 한 차례 이모하여 봉안하였다. 이후 녹동서원에는 1769년 제작본이 봉안되어 내려오다가 1868년(고종 5)의 서원철훼 때 영보리 영당으로 옮겨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영보리 영당의 현존작 중 ‘보물 지정본’과 ‘유지초본’은 18세기 양식 특징을 보이고 있어 녹동서원의 1769년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셋째, 주암서원은 남원(현 임실)의 최덕지 후손들이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1774년(영조 50)에 설립한 곳이다. 녹동서원의 1769년본을 토대로 이모본을 제작하여 주암서원 영당에 봉안하였다. 주암서원에 현존하는 <최덕지 초상화>는 양식에서도 18세기 말의 특징을 지닌 작품으로 기록과 부합된다. 한편, 영보리 영당에 현존하는 ‘신본’은 20세기 중반에 ‘궤장본’을 토대로 이모한 본이다. 당시 ‘궤장본’을 모본(母本)으로 삼았던 것은 그것이 영보리 영당에 원래 걸려있던 영정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상 문헌 자료와 현존 초상화의 양식을 검토하여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알아보고 현존작에 대한 편년을 시도하였다. 최덕지 초상화는 초상화 양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던 1970년대에 보물로 지정된 이래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 검토 없이 지금까지 15세기의 원본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본 연구에서 그동안 흑장궤에 담긴 채 잊혀졌던 ‘궤장본’과 기존에 주목되지 않았던 ‘주암 서원본’ 및 ‘신본’에 대한 조사를 하여 최덕지 초상화 현존작 5 점에 대한 편년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Choi Deok-ji(崔德之, 1384-1455) was a high-ranking official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s Taejong~Munjong. In 1451, he resigned from office and returned to his home in Yeongam, Jeolla Province to concentrate on confucian studies. After his death, his portrait was enshrined in Jonyanglu(存養樓) Pavilion, where he had studied and taught students. Later, as his offsprings and followers constructed mortuary shrines for him, his portrait was copied and enshrined in more places to be revered and cherished. Choi Deok-ji portrait has been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work because it i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a scholar"s portrait of Joseon Period. The Choi Deok-ji Portrait and the Sketch(Chobon) versions in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n Yeongam were designated Treasure No. 594 in 1975. Since then, these two versions have been authorized as the original versions from the 15th century. However, there are two more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extant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one of which has been kept inside a portrait case and long forgotten, and one more version in Juam Seowon(舟巖書院) in Imshil, North Jeolla Province, both of which had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paper, written documen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portrait were studied in detail to find out when and how each copie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handed down in each shrine. Also, five extant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were studied and analyzed to assess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ir production dates. The conclusion is that unlike the existing authorization, the portrait and the sketch designated Treasure No. 594 are the 18th century copies which had been enshrined in Nokdong Seowon(鹿洞書院) and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after the crack down on Seowon in 1868. And the probable original version which the written records point to be the work from the 15th century is the one kept in the portrait case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However, this portrait case version stylistically shows it"s from the 17th century, which, in fact,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that the Choi Deok-ji portrait was repainted between 1610 and 1635. Thus, the original Choi Deok-ji portrait from the 15th century does not exist and the portrait kept in the case is the oldest extant version from the 17th century. One more version in th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s a work of the mid 20th century. Since the production of this 20th century new version, the offsprings say the older three versions had been put together in the portrait case until two of them were designated treasures. At present, the treasure versions and the new version are hung on the wall. Finally, one more version enshrined in Juam Seowon(舟巖書院) was produced in 1774 when Choi Deok-ji"s offsprings residing in Namwon(present Imshil) constructed the shr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is version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