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면 서비스직 종사자의 COVID-19 스트레스, 정량뇌파 스트레스 지수와 대처방식의 상관분석

        원희욱,손해경,Weon, Hee Wook,Son, Hae Kyoung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1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COVID-19 stress and th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stress quotient and identify the coping styles of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ec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COVID-19 stress, and coping style for stress to 21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between April 1 and April 18, 2021. The physical tension & stress quotient and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quotient were measured in the prefrontal lobe with QEEG. Results: Emotional easiness (r=.62, p=.002) and escape-avoidance (r=.55, p=.009) as a passive coping style were associated with COVID-19 stress, and seeking social support as an active coping style was associated with the left physical tension & stress quotient (r=.47, p=.031).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regarding the objective status of the mental health of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using both a self-reported scale and neuroscientific indicators, including brain quotients.

      • KCI등재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고려수지요법이 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스트레스 및 악력에 미치는 영향

        원희욱(Hee Wook Weon),손해경(Hae Kyoung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연구는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고려수지요법이 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스트레스 및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2021년 11월 1일부터 26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일개 시니어센터에 등록된 노인 45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실험군(n=26)은 5명의 훈련된 연구원이 일대일로 15분씩 아로마목걸이를 병용한 고려수지요법을 제공하였고, 대조군(n=19)은 일반적인 건강상담을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근골격계 통증과 스트레스 관련 자가보고형 설문과 악력 측정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중재 후에 근골격계 통증(t=4.88, p <.001)과 스트레스(t=6.94, p <.001)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근골격계 통증(t=2.35, p =.029)이 유의하게 낮았고, 악력은 남성 노인의 악력지수(우: t=7.41, p <.001, 좌: t=4.44, p =.002)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악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완대체요법으로서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Korean hand therapy combined with an aroma-necklace on musculoskeletal pain, stress, and grip strength in the elderly. A total of 45 subjects at one senior center in S city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from November 1 to November 26, 2021. The subjects (n=26)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offered one-to-one intervention for 15 minutes, while subjects (n=19) in the control group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ir gener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lated to musculoskeletal pain and stress, and readings were taken on an electronic hand dynamomet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test on the SPSS 28.0 software. After the intervention, musculoskeletal pain (t=4.88, p <.001) and stress (t=6.94, p <.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Also, the musculoskeletal pain (t=2.35, p =.029)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grip strength (Right: t=7.41, p <.001, Light: t=4.44, p =.002) of male elderly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f the utility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therapies in decreasing musculoskeletal pain and stress and improving grip strength in the elderly.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자아존중감 및 정량 뇌파를 활용한 자기조절력의 관계

        원희욱(Hee-Wook Weon),김귀엽(Gui-Yub Kim),김유진(You-Jin Kim),황준성(Joon-Sung Hwang),이현이(Hyun-Yi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의 상관관계를 정량 뇌파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9일부터 7월 12일까지였으며, 경기도 P 중학교에서 일반군 47명, 스마트폰 중독 주의위험군 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정량 뇌파를 활용하여 측정한 자기조절력 자료 76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IBM SPSS/WIN 21.0 프로그램을 활용, 빈도분석 및 독립-t 검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존중감 및 α파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조절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우울은 주의위험군이 일반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일반군이 주의위험군보다 높았다. 자기 조절력은 일반군이 주의위험군보다 높게 나타나 모든 변수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α파는 일반군이 주의위험군보다 높게, SMR도 일반군이 주의위험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경로분석 결과, α파가 스마트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정량화 분석을 활용한 뇌과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상담과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depression,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ased on QEEG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analysis.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19 to July 12, 2019, and the subjects were 76 students at P Middle School in Gyeonggi-do (normal group 47, risk group 29) who filled out a questionnaire and were subjected to quantitative EEG.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vi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the IBM SPSS Statics 21.0 program. First, smartphone addi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α wave. Third,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which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regulation. Fourth,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risk group than the normal group. For self-esteem, the norm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risk group. Self-regulation showe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normal group than the risk group. Fifth, for α wave and SMR, the norm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risk group. Sixth, α waves had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a brain science approach using quantitative analysis for objective evalu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두려움, 우울, 뇌인지 및 정량 뇌파에 미치는 영향

        원희욱(Hee Wook Weon),이원우(Won Woo Lee),손해경(Hae Kyoung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두려움, 우울, 인지기능 및 정량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는 2021년 5월 14일부터 7월 29일까지 G도에 소재한 일개 보건소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본 연구의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치매예방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10명의 노인을 편의표집하였다. 대상자는 회당 50분, 주 2회, 총 19회 동안 센터 내 독립된 공간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중재 전후 효과변수로서 치매두려움, 우울, 인지기능 및 정량 뇌파를 구조화된 설문지 및 뉴로브레인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치매예방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비교하여 참여 후에 치매두려움(Z=2.805, p =.005), 우울(Z=1.939, p =.042)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정량 뇌파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p >.05) θ파,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및 인지기능 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뇌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This study applied neurofeedback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effect of a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the fear of dementia,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QEE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 total of 10 subjects in G province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May 14 to July 29, 2021. The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separate space at the center, and provided 50-minute session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9 sessions. The fear of dementia,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were measur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Neurobrain.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Compared to the pretest, the fear of dementia (Z=2.805, p =.005) and depression (Z=1.939, p =.042)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The θ wa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s determined by QEEG were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ut were not significant (p >.05).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neuroscientific evidence for managing and improving the emotion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rough a dementia prevention program using neurofeedback.

      • KCI등재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른 조직관리 역량 및 뇌 기능 분석

        원희욱(Weon, Hee Wook),고상진(Ko, Sangjin),손해경(Son, Hae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조직관리 역량 및 뇌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횡단면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D시 소재의 일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조직관리 역량 즉 팀 리더십, 육성력, 지시력과 뇌기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개인 인터뷰(CAPI)로 설문조사 및 정량 뇌파를 활용하여 뇌 기능 지수를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빈도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라 조직관리 역량 가운데 육성력과 지시력, 뇌 기능 지수 가운데 우측주의지수, 정서지수, 좌측 스트레스저항지수, 우측 스트레스저항지수, 뇌균형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른 조직관리 역량 및 뇌기능의 차이를 토대로 개인별 역량과 뇌 기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간호 교과과정에 따른 학생지도 시 뇌과학적 교육전략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etency of managing and reading others and brain funct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this cross-sectional research, 126 nursing students in D city were participated from May 1 to June 30, 2016. Competency of managing and reading others conducted a survey using 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 Brain quotient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encephal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grade of nursing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ability to promote and instruct others as competency of managing and reading others, and right attention quotient, emotion quotient, left stress resistance quotient, right stress resistance quotient, and correlation quotient as brain func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as an evidence for neuroscientific educational strategy to promote personal competency and brain func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성인 학습자의 마음치유를 위한 인문과학적 학습요구 분석 : 다차원적 공감과 정량뇌파를 중심으로

        원희욱(Weon, Hee Wook),김준범(Kim, Jun Beom),손해경(Son, Hae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humanities learning needs for healing of adult learners. In this cross-sectional research, twenty thre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 city were participated from March 1 to 31, 201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ultidimensional empathy. Brain beta (β) wave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dult learners with humanities learning need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beta (β) wave in Fp1 (Z=3.27, p=.001), Fp2 (Z=3.14, p=.002), F3 (Z=2.21, p=.027), F4 (Z=2.21, p=.027), C3 (Z=2.47, p=.013), C4 (Z=2.41, p=.016), F7 (Z=3.27, p=.001), F8 (Z=3.14, p=.002), T3 (Z=3.34, p=.001), T4 (Z=3.54, p<.001), T5 (Z=2.87, p=.004), T6 (Z=2.67, p=.008), and Fz (Z=2.07, p=.038) by comparison with adult learners without humanities learning need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neuroscientific approaches based various humanities learning strategy for healing.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마음치유를 위한 인문과학적 학습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다차원적 공감과 정량뇌파를 중심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S시 소재의 일개 대학원 재학생 23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 및 정량뇌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Mann-Whitney U 검정으로 하였다. 마음치유를 위한 인문과학적 학습요구가 있는 희망군은 비희망군과 비교해, 다차원적 공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정량뇌파의 경우 집중, 긴장 및 스트레스 수준을 반영하는 베타(β) 파가 19개 가운데 13개 부위(Fp1, Fp2, F3, F4, C3, C4, F7, F8, T3, T4, T5, T6, Fz)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본 결과는 마음치유가 필요한 대상자의 자가보고형 공감뿐만 아니라 뇌과학적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규명하여 이를 고려한 인문과학적 학습방법론을 강구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내향적-외향적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가 정서지수에 미치는 영향

        원희욱(Hee Wook Weon),손해경(Hae Kyoung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가 정서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019년 7월 4일부터 8월 21일까지 6개 시, 도에 소재한 16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189명의 학령전기 아동이 편의표집되었다. 그 가운데 정량 뇌파를 활용하여 내향적 또는 외향적 성향을 가진 3-6세 아동 107명을 대상으로 Neurobrain을 활용하여 뇌 지수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서지수의 영향 요인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내향적 아동은 신체적 스트레스지수(좌 57.08±16.41㎶, 우 52.56±17.96㎶)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좌 11.05±9.95㎶, 우 7.95±6.55㎶)가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외향적 아동은 신체적 스트레스지수(좌 45.23±21.13㎶, 우 52.67±18.30㎶)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좌 4.63±2.92㎶, 우 6.97±4.80㎶)가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정서지수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는 내향적 아동의 좌·우 정신적 스트레스지수, 외향적 아동의 좌·우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로 나타났다 (p <.001). 따라서 내향적 또는 외향적 성향을 가진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건강한 정서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뇌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s on the emotion quotient in preschoolers. Totally, 189 preschoolers from 16 kindergartens in 6 cities and provinces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July 4 to August 21, 2019. Brain waves of the 3- to 6-year-old subjects were measured for 107 preschoolers with introvert or extrovert personality type, using Neurobrain.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emotion quotient, data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by applying the SPSS/WIN 22.0 program. Levels of stress quotients established for introvert preschoolers were physical stress quotient (left 57.08±16.41㎶, right 52.56±17.96㎶)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left 11.05±9.95㎶, right 7.95±6.55㎶), whereas extrovert preschoolers were determined to have physical stress quotient (left 45.23±21.13㎶, right 52.67±18.30㎶)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left 4.63±2.92㎶, right 6.97±4.80㎶).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were left and right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p <0.001) for the introverts, and left and right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p <0.001) for the extroverts. Taken together,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neuroscientific evidence, for the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management of introvert and extrovert preschoolers.

      • KCI등재

        노인의 스마트 폰 게임 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asymmetry)와 연결성(Coherehnce)의 정량화뇌파(QEEG) 비교 분석

        원희욱(Hee Wook W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논문은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 여부에 따른 뇌파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즉 정량화 뇌파 결과에서 비대칭과 연결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뇌파와 수면 문제와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이 있는 노인1명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1명 총 2명이다. 참여자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고 뇌파분석은 정량화 뇌파분석(QEEG)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는 개폐안시 모두 비대칭(asymmetry)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노인은 개폐안시 연결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뇌파분석 비교를 통해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양상을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EG according to the elderly "s tendency to be addicted to smartphone games. We compared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such as brain waves, 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asymmetry and connectivity in quantitative EEG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elderly people who were addicted to smartphone game and one elderly person who did not use smartphone (Ed- to confirm: only 3 participants?!). The participant "s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was measured by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EEG (QEEG) was used for EEG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rain waves of elderly people and smartphone non-user elderly who showed symptoms of immersion and smartphone game showed a difference in asymmetry in both opening and closing anis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nness and the anxiety of the elderly who were immersed in the mobile phone and the elderly who did not use the smartphone. Through this, it is also meaningfu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le cognitive impairment and smartphone use by exploring the effect of smartphone game use on brain cognitive function through comparison of EEG analysis.

      • KCI등재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이 뇌 지수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원희욱(Weon, Hee Wook),손해경(Son, Hae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이 뇌 지수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S시 소재의 J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및 정량 뇌파를 활용하여 측정된 자료 88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최종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하였고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26.5%이었다. 여고생의 뇌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가운데 종교와 건강상태, 자아정체성 가운데 미래확신성과 주도성,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가운데 학교규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에 중요한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세부적인 요인과 종합적인 뇌기능 상태인 뇌 지수의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서 학생지도 시 적용할 수 있는 뇌과학 학습 전략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brain quotient among a first yea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cross-sectional research, 88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 city were participated from March 1 to 31, 201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ego-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rain quotient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encephal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gression model was fit and total explanatory power was 26.5%. Religion and health status as general characteristics, future certainty and initiative as ego-identity, and school regulation as school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 factors of brain quotien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as an evidence for support to promote brain quotien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develop brain based learning strategy for adolescents.

      • KCI등재

        주거지원사업 참여 탈 노숙인의 뇌파 특성에 대한 융합연구

        김미희,원희욱,Kim, Mi-Hee,Weon, Hee-Wook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주거지원사업에 참여한 탈노숙인들의 뇌파 검사 시행 후 정량화된 결과를 분석한 융합연구로, 그들의 인지, 심리, 행동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임시노숙인 시설 혹은 노숙인 생활시설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고 주거지원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힌 6명이다. 뇌파 측정은 국제 10-20법에 따라 브레인마스터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감정적 측면의 특이점을 보여주는 Theta파, Beta파, High Beta파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감정적인 측면에서 분노, 불안, 불면증 등 감정적 측면의 특징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들이 향후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주거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상담, 신체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는 노숙인의 인지, 심리, 행동적 특성에 대한 정량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원체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ir cogni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rough a fusion study that analyzed the quantified results of post-homeless people participating in the housing support project after the electroencephalogram te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 people who have lived in temporary homeless facilities or homeless living facilities and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housing support project.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Brainmaster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La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s of Theta wave, Beta wave, and High Beta wave, which show the peculiarity of the emotional aspect, which is a result of show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nger, anxiety, and insomnia in the emotional aspec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y provide stress management, counseling, and physic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residential life 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cogni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omeless people, and suggests a support system necessary for them to maintain self-reliance in commun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