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학습자의 대중 인문학 교육 체험에 관한 연구 :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유미한(You, Mi Han),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노년교육연구 Vol.3 No.2

        노인의 인구비율의 급격한 상승과 함께 개인의 삶에서 노년기가 길어지면서 건강하고 보람찬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들어 행복한 삶을 위한 방안으로 인문학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문학 교육의 핵심가치인 인간 개인의 삶의 의미 및 성장이라는 핵심 주제에 따라 노인 대상 대중 인문학 교육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D대학의 인문학 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70대 이상의 노인 7인을 선정하여, 심층적 면담을 통해 노인 학습자들의 대중 인문학 교육 체험의 본질 및 노인 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에 따라 노인 학습자들의 생활세계를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른 본질적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학습자의 대중 인문학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현재의 삶에 만족감을 누리는 체험, 타인들과의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의 체험, 다가올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는 체험으로 분석되었다. 참여자들은 대중 인문학 교육 체험을 통해서 자신의 과거의 모습을 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됨으로서 현재의 자신의 삶을 재해석하게 되어 현재의 삶을 만족 하게 되었으며,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대중 인문학 교육 체험을 통해서 배움이라는 것에 즐거움을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미래의 삶에 원동력을 만들어 낼 정도의 행복과 즐거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록 노화가 되어 신체적으로 불편하고, 인지적 능력이 저하되지만, 그들에게 새로운 역할이 주어지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퇴행을 하는 노년 기가 아닌, 새로이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ecause the proportion of old people in the population is rising sharp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w to live meaningfully and healthily in old age. In addition, liberal arts educ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s a guide for a happy life. Liber arts education, of which core values are the meaning of life and development, is needed now more than 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ssence of public humanities education for old adult learners and the way of influence of liber arts education on older adul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people aged over 70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in D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the essential theme of this study s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study employed van Manen’s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study method. The life-world of participants’ experie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analyzed. Experiencing the satisfaction of present life , experiencing community bond formation , and experiencing hope for the future were discovered. By studying liberal arts, participants got to look back on their past and reinterpreted their current life, which led them to a satisfying life. They also saw the positive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Furthermore, they found the joy of learning through public humanities education and recognized that the learning experience gave them happiness and pleasure enough to become a strong motive of life. This study showed that older adults can achieve a new goal with taking a new role and the term of older adulthood can be a new beginning.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미진(You, Mi-Jin),한혜숙(Han, Hye-Sook) 한국간호교육학회 2021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social anxiety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in particular,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ethods: A total of 187 nursing students enrolled at four universities in Korea completed surveys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20.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self-efficacy scales, and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bootstrapping for mediation. Results: Communi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r=-.61, p<.001)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77, p<.001). Furthermore,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i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ocial anxiety and self-efficacy are considered. Therefore, when developing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actively consider these pers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다발골수종의 Cyclophosphamide 및 Prednisone 복합화학요법의 효과

        유미라 ( Mi Ra You ),임현종 ( Hyun Jong Lim ),이희정 ( Hee Jeong Lee ),김형호 ( Hyung Ho Kim ),문우람 ( Woo Ram Moon ),정춘해 ( Choon Hae Chung ),박치영 ( Chi Young Park ),박상곤 ( Sang Go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5

        본 연구는 3회 이하로 투여된 환자가 13명으로 총 29명 중 상대적으로 많은 환자에서 빨리 중단되었고 후향적 분석으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기록하여 약제의 정확한 치료 효과 및 부작용을 판별하는 점은 쉽지 않았다는 한계점은 있다. 그러나 다발골수종은 고령에서 발생하고 진단 당시 합병증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연령이나 활동도 또는 합병증, 여러 경제적 상황들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현재 많은 표적 치료제가 임상에 적용되고는 있으나 많은 제약점으로 여전이 과거의 알킬화 제제를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이 현재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재 임상 상황에서 melphalan과 prednisone 복합요법보다 부작용에이 적고 정주를 통해 체내 일정 농도의 유지가 가능하며 투여 요법이 간편한, 그리고 보다 중앙 생존 기간의 연장을 보일 수 있는 cyclophosphamide, prednisone 복합요법을 전신상태가 좋지 못한 환자에서 다발성 골수종의 초기 치료로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치료 전략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For many years, conventional treatment for multiple myeloma (MM) not ineligible for high-dose therapy has been the combination of oral melphalan and prednisone (MP). However, melphalan-based regimens are associated with numerous complications. Another alkylating agent, cyclophosphamide, has similar effects on MM and is associated with fewer reports of complications. Therefore, cyclophosphamide-based regimens have usually been used as salvage therapy in patients with refractory or relapsed MM, despite the development of newer drugs.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cyclophosphamide and prednisone as a first-line therapy for MM. Methods: For the period January 2002 to June 2012,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9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MM who underwent a treatment regimen consisting of intravenous cyclophosphamide (1,000 mg/kg) for 1 day and prednisone (100 mg) for 4 days. Results: The rate of response to this regimen was 31.1 percent.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as 5.5 months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47.3 months. The regimen was well tolerated. Adverse effects of grades above III were as follows: anemia in seven patients (24.1%), neutropenia in five patients (17.2%), and thrombocytopenia in two patients (6.8%). These adverse effects were easily adjusted. No one developed a secondary malignancy or hemorrhagic cystitis. Conclusions: Although PFS was less than for the MP regimen, median OS was better than for the MP regimen. Furthermore, the cyclophosphamide-prednisone regimen was well tolerated, and the adverse effects that did occur were easily adjusted. The cyclophosphamide-prednisone combination regimen may represent an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first-line therapy for non-transplant candidates with MM. (Korean J Med 2013; 84:690-697)

      • SCOPUSKCI등재

        뇌동정맥성 기형의 외부방사선 치료 효과

        김인아,장홍석,유미,윤세철,김문찬,신경섭,박용휘,Kim In Ah,Jang Hong Suk,You Mi Ryung,Yoon Sei Chul,Kim Moon Chan,Shinn Kyung Sub,Bahk Yong Whe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가톨릭의대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7년 2월부터 1990년 7월까지 41개월 동안에 뇌동정맥성 기형으로 확진된 17예에 대해서 6MV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SAD법으로 외부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방법은 총 14예중 4예 $(24\%)$에 대해서는 보통분할방식으로, 13예 $(70\%)$는 정위다방향 고선량 단일 조사로 치료하였다. 이들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추적검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분포는 $10\sim51$세 (중앙값 26세)였고, 남녀 비는 14 : 3으로 나타났다. 2.주증상은 두통이 12예$(70.1\%)$, 경련 5예$(29.4\%)$, 편부전마비 4예$(23.5\%)$ 등의 순이었고, 파열에 따른 출혈을 동반한 경우가 5예 $(29.4\%)$있었다. 3. 각 뇌동정맥성 기형은 중뇌동맥 분지에서 기원한 경우가 7예$(41.2\%)$, 전뇌동맥 3예$(17.6\%)$, 후뇌동맥 2예 $(11.8\%)$, 전뇌 및 후동맥 1예 $(5.9\%)$순으로 나타났다. 4. 보통 분할방식 치료군의 조사량은 $3,020\sim4,500\;cGy/3\sim4$주, 정위다방향 단일고선량 치료는 $1,200\sim3,000$ cGy를 조사하였다. 5. 추적조사기간은 보통분할방식 치료군이 $4\sim43$개월 (중앙값 33개월), 정위 다방향 단일고선량 치료군이 $3\sim21$개월(중앙값 13개월)이었다. 6. 보통분할방식 치료군중 방사선학 추적검사를 실시한 2예에서는 경미한 반응을 보였고, 임상적 추적만을 실시한 2예 중 1예에서는 임상중상의 호전을 보였다. 7. 정위다방향 고선량 단일치료군은 13명 전예에서 방사선학적 추적 검사상 완전반응 2예 $(15.4\%)$, 부분반응 5예 $(38.5\%)$, 경미반응 2예 $(15.4\%)$, 무반응 4예 $(30.7\%)$로 각각 나타났으며,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From February 1987 through July 1990, the seventeen cases of inoperable 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were treated using 6 MV linear accelerator at the Division of Therapautic Radiology, Kang Nam 51. Mary's Hospital. Of seventeen cases, fourteen were male and three were female. Ages ranged from 10 to 51 years (median age of 25 years). The main symtoms were headache, epilepsy and hemiparesis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The middle cerebral artery is the most common origin of the feeding vessel $(41.2\%)$. Four were treated by conventionally 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RT, thirteen were treated by stereotactic radiosurgery (RS). duration or follow-up in CRT and RS group were 4 to 43 months (median 33 months) and 3 to 12 months (median 13 months), respectively. When the response was assessed by radiologic follow-up study, two of four CRT group showed minimal response. Of thirteen cases of RS group, two $(15.4\%)$ showed complete response, five $(38\%)$ partial response, two $(15.4\%)$ minimal response and four $(30.7\%)$ no response by the same assessmen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follow-up period (p=0.22), size of lesion (p=0.82) and treated dose (p=0.05). Further accumulation of experience is recommended with proper case selection and sufficient follow-up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