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ities Therapy: Humanities Therapy as a Prevention against Social and Relationship Problems

        유강하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Vol.9 No.2

        This article is a study about how to approach sociability and relationship problems of adolescent in our society. A precautionary way which is most severely complained among other myriad problems they suffering meanwhile accessible in humanistic way at the same time and what to educate through humanities education. Current education and policy are focused on resolutions for already exposed problems and evidently, these are critical problems. However, with those efforts, it is important to concern in prevention as well. Prevention could be less evident to see improvements than revealed disease treatment. However, humanities education which is bearing undiscovered problems will have wide preventive effects as well as becoming an axis for it and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way for humanities therapy.

      • KCI등재

        圖像學的 시각에서 본 高句麗 安岳3號墳과 中國 沂南漢墓 무덤 壁畵

        유강하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6

        A tomb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fruit which reflects the age as well as being a personal space that represents thoughts of death, taste, and faith. Yinan Tomb(沂南漢墓) is a place which realizes all popular ideas,such as Xiwangmu(西王母), Buddhist thought, the world after death,and the Yin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ies evenly. Through the contents of iconography, we can see that Yinan Tomb was organized from the reality for the unrealistic world. The first room, which was germane to the reality, was placed with advice from descendants, relatives, and friends, as well as with a strong charm against evil influences and countermeasures. The middle room represented safe arrival to the world after death and an easy life in the new world. The personal life which would be continued after death was placed in the second room. Dongsu(冬壽), who was a general in Qianyan(前燕), created a huge tomb that was as large as a royal tomb in Koguryo. The tomb’s construction style was influenced by China. However, the result of the influence was not one-sided, but rather a recreation through choice and acceptance in a new culture. Anak Tomb No.3 was quite different from other tombs in China, for example, in the choice of material, the arrangement of space, and the motif arrangement. In general, as Anak Tomb No.3(安岳三號墳) is thought to describe the luxurious life and ways of the royal family of Koguryo, it could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and the extension of the present life. While Yinan Tomb was filled with mysterious beasts and a mysterious plant,there were few paintings that are unrealistic in Anak Tomb No 3. This also shows that people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the world after death. However, the paintings that they drew about the life after death differed. The description of life after death from Kunlun Mountain(崑崙山), Xiwangmu, and Shanhaijing (山海經) was not from the culture route. While it is essential to find frequent uses of good omens, such as mysterious plants, from the paintings in the Wei, Jin, and Nanbei dynasties(魏晉南北朝), it is difficult to see those in Anak Tomb No. 3. This is because of the cultural influence from the Han Dynasty that Dongsu had brought. Although the Anak area wa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Chinese dynasties, Anak Tomb No. 3, which was built in the space and the time of Koguryo, differed from those in China. It originated from the selective acceptance and recreation of Sinicism in the cultural space of Koguryo.

      • KCI등재

        고대 중국의 이야기 속에 나타난 영혼의 역할과 작용에 대하여

        유강하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9

        이 연구의 목적은 고대 중국의 지괴소설이나 전기(傳奇)에 나타난 신혼(神魂[영혼; 혼])의 역할과 작용을 고찰하는 데 있다. 사람이 죽으면 백(魄)은 땅으로 돌아가고 혼(魂)은 하늘로 돌아간다는 고대 중국의 전통적인 혼백관은 도교의 유행, 불교의 유입과 윤회사상의 수용으로 변화를 맞이하였다. 특히 불교가 자리를 잡아가던 위진남북조 시기 이후로 혼(영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한 논쟁이 증가하였는데, 혼(영혼)에 대한 관심은 이야기를 만나 꽃을 피웠다. 《태평광기》 <신혼>은 이러한 변화와 흐름을 잘 보여준다. 《태평광기》 <신혼>은 지괴소설과 전기에 속하는 작품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야기에는 위진남북조 이후로 가열차게 진행되었던 영혼관에 대한 논의와 상상력이 반영되어 있다. 《태평광기》 <신혼>을 크게 ‘이혼(離魂)’의 이야기로 보는 관점도 있지만, 이때의 나뉨[離]을 분리[分], 이탈[脫], 흩어짐[散]으로 세분화하여 볼 필요가 있다. 《태평광기》 <신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백은 그 자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분리는 분신과 같은 개념으로서, 분리된 혼백은 언제든 결합할 수 있다. 둘째, 혼의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관념이 전제되면, 하나의 혼백이 두 개의 몸으로 분리될 경우, 혼은 한 개의 몸에만 정상적으로 머무르게 되므로 혼이 이탈한 몸은 정신적인 질병 상태로 남겨지게 된다. 이탈한 혼의 귀환은 건강회복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종교적⋅주술적 처치가 요구되기도 한다. 셋째, 혼이 흩어져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죽음을 의미한다. 넷째, 꿈은 혼의 통로이자 거소(居所)로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혼에 대한 복잡하고도 다양한 이해 방식은 중국의 전통적인 혼백관, 도교적 장생불사 사상, 불교의 영혼불멸론과 윤회사상이 반영된 복합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한 이야기들은 당시 사람들의 호기심, 관심, 상상력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잠부론』(潛夫論) 「몽렬」(夢列)을 통해 본 왕부(王符)의 꿈 인식 연구

        유강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3

        이 논문은 후한(後漢) 시기의 유학자였던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 「몽렬」(夢列)편에 대한 연구이다. 「몽렬」은 꿈에 대한 왕부의 철학이 담긴 저술로서, 이를 통해 한대(漢代)의 꿈에 대한 현상과 관념, 왕부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한대는 유학의 발전을 이룬 시기였지만, 종교적 분위기가 농후했던 시대였다. 춘추전국 시대까지 공적인 영역에서 다루어지던 ‘점몽’(占夢)이 민간의 영역으로 흡수되어 발전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점몽은 풍수, 관상, 팔괘(八卦) 등과 결합하며 크게 유행하였는데, 진·한대 성행했던 참위(讖緯)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왕부는 혼란스러웠던 후한 시기, 은거하면서 세상과 우주를 관조하고 자신의 도도한 이론을 펼쳤던 유학자였다. 왕부는 주술, 무술(巫術), 관상(觀相), 점몽 등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그는 꿈의 존재와 효용성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그것은 음양론의 질서 속에서 용인되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왕부의 이러한 비판적 해석은 꿈에 대한 분석적 저술로 이어졌다. 왕부는 「몽렬」을 통해 꿈을 열 가지로 분류하고[十夢], 꿈이 발생하는 원인, 꿈을 해석하는 방법, 꿈이 현실과 조응하는 방식과 몽자의 태도를 진지하지만 비판적으로 서술하였다. 왕부가 꿈에 대해 갖는 객관적 태도, 점몽 방법에 대한 소개, 꿈에 대한 서술은 이후의 고대 중국의 꿈 연구, 꿈에 대한 동서비교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Wang Fu(王符)’s perception of dream in the QianFuLun(潛夫論) “Meng Lie”(夢列). Wang Fu was a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Later Han period. he is the author of the QianFuLun. By analyzing "Menglie," I could understand the Wang Fu's perspective about dreams. Han period was a time when the Confucianism developed, and the religious atmosphere was abundant. At that time, ‘prediction one's dream’ which was conducted in the royal court before, began to be popular in the private sector. Wang Fu had a critical view of sorcery, shamanism, physiognomy, etc. Although he acknowledged their existence and utility, it was a limited one that was allowed i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oughts. Ironically, however, Wang Fu’s critical perspective of dreams become a remarkable dream theory. Wang Fu classified dreams into ten categories, analyzed the causes of the dreams occurring, and described how to interpret the dreams. He said dreams and reality are related, so dream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of one’s dream are very important. He, however, explain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m is the attitude of the dreamer. Wang Fu’s objective attitude toward dreams, his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divination and his description of dream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dreams in ancient China. This study could be the basic research for East and West dream comparativ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야차(夜叉)의 중국적 수용과 다기성(多歧性) 연구 — <<태평광기(太平廣記)>> 「야차(夜叉)」를 중심으로

        유강하 한국중국학회 2022 중국학보 Vol.10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본래 힌두신화 속의 신이었던 ‘야차’에 대한 탐색으로서, 야차가 중국에 수용된 이후 생산된 야차 서사의 다기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태평광기(太平廣記) 「야차(夜叉)」에 분류된 14조의 고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야차의 다양한 신격과 존재성을 검토하였다. 중국에 수용된 야차 고사는 다채롭게 변주되는데, 야차의 이질성과 괴이성은 공통적이다. 우선, 야차는 선악(善惡)의 양면적 신성(神性)을 모두 갖춘 신적 존재로서 인간보다 우월한 능력과 위상을 보유하고 있었고, 인간을 보호하거나 징벌할 수 있는 강력한 존재였다. 둘째, 야차는 신-요괴 사이의 경계적 존재로, 인간과의 관계 맺음을 갈망하는 존재이다. 야차는 종종 인간을 납치하는데, 야차는 납치한 인간을 돌보고 그들과 대화를 나누며 인간과 헤어질 때 슬픔이라는 감정을 느끼는 존재이다. 셋째, 검푸른 몸, 날카로운 이빨, 붉은 눈은 야차를 대표하는 외모인데, 이는 괴물성과 직결되는 묘사이다. 야차의 괴물성이 강조될수록 야차는 두려움, 혐오, 퇴치의 대상이 되어 사람들은 야차를 꾸짖고, 위협하고, 제거하는 데 이른다. 무엇보다 야차는 어디에나 편재(遍在)하는 존재로서, 특정한 시간이나 장소가 아닌 인간세상 모든 곳에 ‘있었다’. 야차는 길거리를 활보하고, 사람들과 대화하고, 사람의 몸을 드나들며 사람들과 같은 시공간을 공유했다. 야차 고사는 중국에 수용된 이후, 전통 시기 내내 이야기의 매력적인 소재로서 다양하게 변주되며 꾸준히 이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icity of yaksha tales in ancient China. I analyzed the 14 stories of Extensive records of the Taiping reign(Taiping guangji 太平廣記) to examine the various attributes of yaksha. Although yaksha has in common of bizarreness and heterogeneity, the spectrum of yaksha tales is very wide. Yaksha is a divine being equipped with both the divine nature of good and evil, and has superior power to humans. Yaksha is a powerful being who can protect or punish humans. Yaksha is a being with the attributes of gods and monsters, and wants to be close to humans. Yaksha often abduct humans to live with them. Yaksha takes care of abducted humans, and feels sad when parting with them. A dark blue body, sharp teeth, and red eyes represent the appearance of yaksha, which is a description that is directly related to monster nature. As Yaksha's monstrous nature is emphasized, he becomes fearful, loathsome, and terrifying. People scold them, beat them, and kill them. Yaksha is everywhere in which humans live, not in a specific time or place. Yaksha shared time and space with people by talking to people, punishing people, and moving in and out of human bodies. After being brought to China, Yaksha tales have been a fascinating subject of tales during the traditional period.

      • KCI등재

        고대 중국인의 꿈 기록 『몽점일지』(夢占逸旨)에 대한 한 연구- 『몽점일지』 외편(外篇)을 중심으로

        유강하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硏究 Vol.- No.90

        This article is a study of Mengzhanyizhi(夢占逸旨), a dream record of ancient China. The ancient Chinese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dreams. They have long sought ways to deal with dreams, had experts for interpretation, and have classified and recorded dreams. Among many dream books, Mengzhanyizhi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ext that shows the aspect of ancient Chinese dream records.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divination by means of dreams’ and how to interpret ancient dreams. It could be said that the ancient dream interpretation was not interpreted in the realm of sorcery, but in the realm of humanities. There were dream-tellers who were experts in interpreting dreams, but other people around one wh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dreamer and intellectuals who are knowledgeable have interpreted dreams. Typical ways to interpret dreams are symbolism, disassembly of Chinese characters and homophone. Mengzhanyizhi tells us that there was a unique way to interpret the dreams of ancient China. Various and extensive studies of ancient ‘dream book’(or ‘book of divination of dream’) will provide examples of various dream interpretations. Furthermore, it could be presented as a meaningful basis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Eastern and Western dreams. 고대 중국인들은 오랫동안 꿈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들은 오래전부터 꿈을 다루는 방법을 궁구하고, 정확한 해석을 위해 전문가를 두었으며, 꿈을 분류하고 기록해왔다. 이미 주대(周代)부터 점몽가가 있었고, 청대(淸代)에 이르기까지 수십 권의 몽서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몽서의 경우, 대부분 일실되어 구체적인 내용을 알기 어렵다. 고대의 몽서 가운데서도 『몽점일지』는 내용이 비교적 완정하게 남아 있어, 고대의 꿈 기록의 면모를 확인하는 중요한 텍스트라고 평가되고 있다. 『몽점일지』의 기록을 분석해보면, 여기에서 언급되는 ‘몽점’은 미래에 대한 예측인 ‘점’의 의미를 뛰어넘어, 몽자(夢者)의 심리와 무의식을 드러내고 해석하는 측면도 있다. 고대의 꿈해석은 주술의 영역에서 해석될 뿐만 아니라, 심리학과 정신분석학 등을 포함한 인문(人文)의 영역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꿈해석의 주체로는 점사(占師), 점몽자(占夢者), 술자(術者) 등이 있는데, 그 외에 몽자의 상황을 잘 이해하는 주위 사람과 박학다식한 지식인 역시 꿈해석의 주체가 되었다. 꿈을 해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상징성을 이용한 방법, 탁자(拆字)와 해음(諧音)을 이용한 방법이 있었다. 『몽점일지』는 고대 중국의 풍부한 꿈과 꿈해석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고대 중국의 꿈에 내재된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내다. 꿈은 몽자의 심리를 반영하는 분석대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의 상징문화를 잘 보여주는 살아있는 텍스트이다. 『몽점일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각 문화는 꿈을 해석하는 고유한 방식을 갖고 있다. 고대 점몽서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는 다양한 꿈해석의 사례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더 나아가 동서양 꿈 비교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