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맹욱재(Wookjae Maeng),김혁(Hyeok Kim),우준희(Junhee Woo),허영진(Youngjin Huh),이서영(Seo-young Lee),최지원(Jeewon Choi),이상욱(Sangwook Lee),은진수(Jinsu Eun),이경진(Kung Jin Lee),이준환(J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온라인 게임에서 상당수의 여성 게이머가 성차별을 경험하며 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한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게임 커뮤니티에서 여성 게이머의 성차별 대응 전략은 구조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는 여성게이머가 온라인 게임에서 성차별에 대응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20 명의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많은 인터뷰 참여자가 게임 내 신고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하며, 성차별을 대응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희생된다는 고충을 토로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7 명의 게임이용자와 2 명의 게임 기획자를 모집해 공동 디자인 워크숍을 열었다. 워크숍에서 도출된 결과는 젠더 감수성을 높이는 신고 시스템과 성별을 감추는 음성변조 기능이었다. 이 연구는 온라인 게임 내 신고시스템을 설계할 때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포용이라는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암환자에서의 대장균 균혈증

        이신배,우준희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2

        목 적 : 악성 종양 환자에서 발생하는 대장균 균혈증의 발생빈도, 기저질환, 임상 양상, 항균제 효과, 사망률과 예후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순천향 대학병원 내과에 1998년부터 1994년까지 입원한 악성종양환자 가운데 대장균균혈증을 경험하였던 50예를 대상으로 상기조사항목을 알아보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 입원환자 1,000명당 2.3명의 대장균 균혈증이 조사되었고, 평균 38.9℃의 고열이 94%에서 발병되었는데 DIC는 4%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치료효과는 64%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폐렴의 경우는 14%에서만 치료효과가 관찰되었을 뿐이고, 연령, 혈액종양, 항균제에 대한 효과, 쇽, DIC등이 예후인자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암환자에서 병발되는 대장균 균혈증은 드물지 않은 감염증이며, 감수성 검사에 따른 항균제의 선택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이 조사되었다. Bachground : Escherichia coli bacteremia was common in patients with malignancy. The many reviews of gram-negative bacillary bacteremia have been published, bu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E. coli. The common clinical features, efficacy of antimicrobial therapy,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of E coli bacteremia in cancer patients should be determined.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fifty cases of E. coli bacteremia in cancer patients retrospectively during a 7-year period(from 1988 to 1994)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diseases, source of infection, clinical manifestation, effect of antimicrobial therapy, mortality and prognostic factors. Results : Fever occurred in 94% of patients. Only 4% of the patients ha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64%. Age, hematologic malignancy, response to antimicrobials, shock and DIC were the prognostic factors irrespective of underlying diseases. Conclusion : The majority of E. coli isolated were susceptible to a wide variety of antimicrobial agents. The appropriately selected antimicrobial agents would provide adequate management against this common pathogen even in cancer patients.

      • 세균성 폐렴에서 Cefotiam Hexetil의 효과

        안영수,우준희,박춘식 대한감염학회 1994 감염 Vol.26 No.1

        Cefotiam hexetil is an oral cephalosporin and is a prodrug of cefotiam which has been synthesized by esterifying cefotiam at the carboxyl group.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safety and bacteriological response including MIC. Study subjects includ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cute bacterial pneumonia. There were 19 acute lobar and bronchopneumonia without underlying diseases and 12 acute pneumonia with underlying disease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4 : 17 and the average age was 54±14.8. Underlying diseases were in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5), endobronchial tuberculosis (1), COPD (4), bronchial asthma (1), bronchiectasis (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linical improvement was present in 78.0% of fever, in 52.6% of cough, in 100% of sputum amount, in 93.7% of sputum character, in 78.9% of dyspnea, in 100% of chest pain and in 93% of rales. 2) On laboratory findings leukocytosis was improved to normal range in 54.8%. There were no changes in hemoglobin, hematocrit, the number of platelet, GOT, GPT, Alkaline phosphatase, total bilirubin, serum creatinine, BUM, urinary protein and sugar. 3) On bacteriological identification and culture, pathological bacteria were found and the MIC of cefotiam for 59 patients showed that β-hemolytic Streptococcus, Klebsiella pneumonis, Acinobacter calc aceticus var anitratus, Escherichia coli are sensitive but Pseudomonas aeruginosa, Serratia liquefaciens, Xanthomonas maltophilia, Staphylococcus aureus were resistant to cefotiam. 4) The most common side effect was dyspepsia and nausea which were reported in 6.45%. 5) Cefotiam hexetil treatment was judged as fairly useful in 67.7%, slightly useful in 19.4%, not useful in 12.9% of the patients with bacterial pneumonia.

      • 피하 결절로 발현한 피부 결핵 1예

        류지소,우준희,이상오,김은옥,김인구,김온자,김양수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3

        저자들은 최근 8세 남아에서 대퇴부에 피하 결절로 발현한 피부 결핵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Recently, the incidence of cutaneous tuberculosis is tending to decrease in Korea as well as in the world. However, the cutaneous tuberculosis is frequently reported in the developing countries having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poverty, malnutrition, and p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western countries, it has recently become more resurgent because it occurs frequently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s and in patients with AIDS. The clinical picture of all cutaneous mycobacterial infections including tuberculosis is highly variable, and any unexplained skin lesion, especially if it has nodular or ulcerative components, may be due to tuberculosis. We experienced a case of cutaneous tuberculosis in an 8 year-old Korean boy.

      • Achromobacter xylosoxidans 균혈증과 항균요법

        오종훈,우준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6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4 No.1

        목적:오염된 물에의해 세균성 감염이나 원내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A. xylosoxidans 균혈증의 미생물학적인 특징과 임상적 의미를 파악하여 원내감염의 기회를 적게하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위해서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1989년 6월부터1995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병원을 내원한 환자중 혈액배양에서 균이 검출된 환자 3예, 여자 4예, 총 7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와 성별, 기저질화여부, 임상적 의미 및 예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7예 환자의 기저질환을 보면 만성 신부전, 간암, 담관담도암,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뇌막염, 다발성 두개골, 말라리아 등으로 이미 기존에 면역 기능이 결핍 또는 저하된 상태이거나 뇌수술 후 별발한 경우가 많았고, Kirby Bauer disk 확산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한 결과 piperacillin은 전 예에서 감수성을 보였고 csftazidime과 ciprofloxa-cin은 7예중 3예에서 감수성을 보였으며, cephalothin은 7예중2예, ceftriaxone와 chloamphericol은 7예중 1예에서 감수성을 보였는데, 그 외 ami-noglycosides, aztreonam, ampicillin에 대해서는 전 예에서 내성이 관찰되었다. 결론: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진단기기를 사용한 원내 감염에 의해 대부분의 A. xylosoxidans 균혈증이 발생되었으며, 임상적 질병경과에 따라 감수성있는 항균제를 선택하면예후가 더욱 개선될 것이다. Background : Achromobacter xylosoxidans is often Isolated from aqueous environments, but little Have been reported on pathogenicity in human, epidemiological pattern, and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Methods : In order to elucidate the demographic factors, underlying diseases, effect and prognosis of antibiotic treatment in A. xylosoxidans infection, we reviewed retrospectively seven patients with A. xylosoxidans bacteremia. Results : A. xylosoxidans eaused opportunistic infe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hepatoma, cholangiocarcinoma, multiple skull fracture, Herpes virus meningoencephalitis, and malaria. By the Kirby - Bauer disk diffusion method all of isolates were sensitive to piperacillin, some were sensitive to resistant to aminoglycosides, aztreonam, and ampicillin. Four out of seven patients recovered, there out of seven died, however one out of seven died probably of sepsis due to A. xylosoxidans. Conclusion : A nosocomial outbreak of A. xylosoxidans infection is distinctly rare.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for potentially fatal cases of bacteremia with A. xylosoxidans is essential No specific clinical factors that predispose to bacteremia with A. xylosoxidans were identified.

      • Changes in Resistance to Fluorquinolone in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 vitro

        Ryu, Chang Beom,Rha, Eun Seon,Woo, JunHee 대한화학요법학회 1994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2 No.2

        목적 : 세균의 효소인 DNA gyrase와 작용하여 감수성이 있는 세균에서 DNA-supercoiling을 저해하는 oflozacin과 ciprofloxacin은 그람음성간균에 의한 감염증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경구용 항균제의 대표이다. 최근들어 상당히 많은 감염증에 사용되고 있어 내성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저자들은 그람음성 간균 가운데 대장균, K.pneumoniae, 녹농균의 ofloxacin, cipr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 1989-1990년 환자의 혈액 배양에서 분리 동정된 17균주의 녹농균과 대장균, 14균주의 K.pneumoniae와 1994년에 환자의 혈액뇨, 객담 배양에서 분리 동정된 16균주의 녹농균, 18균주의 대장균, 20균주의 K.pneumoniae를 대상으로 배지회석법에 의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여 감수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성적 : 1) Ciprofloxacin 대하여 녹농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1균주(5.8%), 1994년에 16균주중 6균주(37.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p=0.03) 2) Cirprofloxacin에 대하여 Klebsiella는 1990년 14균주에서 0균주(0%), 1994년 20균주중 4균주(20%)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p>0.05) 3) Ciprofloxacin 대하여 대장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1균주(5.8%), 1994년에 18균주중 1균주(5.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 4) Ofolxacin에 대하여 녹농균은 1990년 17균주에서 3균주(17.6%), 1994년에 16균주중 4균주(25%)에서 감수성이 감소되었다. 5) Ofloxacin에 대하여 Klebsiella는 1990년 14균주중 3균주(16%), 1994년 20균주중 2균주(10%)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 6) Ofloxacin에 대하여는 대장균은 1990년 17균주중 4균주(23.5%), 1994년 18균주중 4균주(22%)에서 감수성이 감소하였다. 결론 : 대장균은 4년간에 ciprofloxacin과 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은 rkat하지 않았으나 K.pneumoniae의 내성은 ciprofloxacin에 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고, 녹농균은 ciprofloxacin에 내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전신적 감염증환자에 fluoroquinolone은 더욱 주의를 기울여 투여하여야겠다.

      • 과립구 감소증을 보이는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tosufloxacin의 감염 예방 효과 : 무작위배정 양안맹검 위약 대조 시험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김양수,양성연,조용균,김백남,정두련,김은옥,송재훈,우준희,유지소,배직현 대한화학요법학회 1996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4 No.1

        Background : Infection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during periods of granulocytopenia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Several prophylactic antibiotics including quinolones show preventive effect, with some drawbacks including superinfections by gram-positive bactera. Tosufloxacin is a new flucroquinolone that theoretically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break-through infection by gram-positive bacteria. Methods :To evaluate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tosufloxacin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we performed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trial. Patients were randomized to two group, one of which received tosufloxacin (150mg bid), and the other received placebo. Infection was classified as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MDI), clinically documented infection (CDI), and unexplained fever (UF). Results : From March 1993 to March 1994,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under remission induction or consolidation chemotherapy were enrolled, and 52 patients were finally analysed. The incidence of infe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sufloxacin and placebo group(P=0.08), and the incidence of MDI plus CDI(P=0.54) or MDI alone(P=1.0) also showed no difference. MDI by gram-positive organisms was fewer in tosufloxacin than in placebo group. Surveillance culture revealed emergence of tosufloxacin resistant E. coli in 30% of tosufloxacin patients. Conclusion : In conclustion, tosufloxacin failed to show prophylactic efficacy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and the emergence of resistant gram-negative organisms will be a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