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시 신북지역에 분포하는 운모편암의 물리적 풍화특성

        우익,한병현,Woo, Ik,Han, Byeong-Hye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6

        본 연구는 변성 및 단층의 영향을 받은 운모편암의 풍화 특성에 관한 고찰로 여러 실내 실험을 통하여 운모편암의 풍화 특성을 규명하였다. 물리적-화학적 풍화현상을 모사한 동결-융해실험은 운모편암에 발달한 엽리면의 영향으로 일축압축강도의 저하가 풍화상태에 따라 $20{\sim}40%$ 발생함을 보여주고 있다. 서로 다른 풍화등급의 가진 시료에 대하여 슬레이킹 내구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단층파쇄대 부근의 심한 풍화상태의 시료의 내구성 지수가 상대적으로 신선한 시료보다 낮음을 볼 수 있었다. 슬레이킹 실험 전후의 시료에 대한 XRD 분석을 통하여 건습에 의해 녹니석과 같은 점토광물이 용탈되는 광물의 동적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시간에 따른 운모편암의 거동은 크릴시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는데 이 역시 암석내에 발달한 엽리면에서의 거동이 주요한 변형 원인으로 나타났다. 불연속면의 전단특성은 불연속면에 충진되어 있는 점토광물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최대전단강도와 잔류전단강도의 차이가 크게 발생함을 볼수 있었다. 이러한 실내실험들은 운모편암의 공학적 특성은 엽리면 혹은 불연속면의 거동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shows th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mica-schist affected by faulting and metamorphism through laboratory tests. Frozen-thaw test, which simulate the physical-chemical weathering processes in the laboratory, shows the important influence of foliation developed in mica-schist, resulting in $20{\sim}40%$ reduction of UCS according to weathering grade of rock. Slaking durability test was carried out for different weathering grade rock specimens and indicated that the specimens from fault area had a low durability index compared to other relatively fresh samples. XRD analysis allowed to estimate the dynamic evolution of mineral composition through wet-dry cycle in which the chlorite was the most important mineral leached out during slaking test. The creep test indicated that the main deformation produced along the foliation plane. The compacted clay minerals between discontinuity planes influence on the discontinuity shearing properties and result in a big difference between peak shear strength and residual strength.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on mica-schist show the possibility of a important deformation along the foliation plane or discontinuity.

      • KCI등재

        강원도 원주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의 화학풍화실험에 의한 물성 변화 연구

        우익(Ik Woo),엄정기(Jeong-Gi Um),박혁진(Hyuck-Jin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09 터널과지하공간 Vol.19 No.3

        본 연구는 실내 화학풍화실험을 통하여 원주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의 화학적 풍화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중속실렛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70여일간의 용탈실험을 수행하고 연구지역 암석의 화학적 풍화작용에 의한 원소 이동과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풍화에 따른 구성광물의 반응정도에 따른 차별적 풍화침투와 P파속도의 전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공극률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풍화실험에 따른 화강암의 일축압축강도는 F 등급에서 20%, SW 등급에서 16%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 분포한 화강편마암의 경우에는 뚜렷한 이방성에 의한 일축압축강도의 편차로 인하여 풍화에 따른 암석강도의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어렵다. 연구지역에 대한 중ㆍ장기적인 풍화 예측을 위해서는 화학적 풍화와 더불어 물리적 풍화가 병행된 조건에서의 고찰 필요하며 앞으로도 심도있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emical weathering on the granite and orthogneiss in Wonju area based on accelerated artificial chemical weathering. The rock samples were scrutinized the variation of index properties and ion exchanges caused by artificial chemical weathering which was implemented with leaching test for 170 days using double soxhlet extractor. The differential weathering and decrease of p wave velocity were obtained by weathering process without significant changes of porosity. In case of granite samples, the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was reduced by 20% and 16% for the F-grade and SW-grade, respectively. For ㎿-grade granite, however, was not able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ngth reduction due to lack of sample number. Also, for orthogneiss,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values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est because of its strong anisotropy.

      • KCI등재

        러시아 북극권 주민의 사회경제적 상황 비교 연구: 2010년대를 중심으로

        우익 ( Choi Woo Ik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지표를 분석하여 2010년대 러시아 북극권 주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분석하였다. 러시아 북극 지역에서 인구 문제는 점차 해소되는 과정에 있지만, 소득과 빈곤 문제는 더 첨예화되어 지역 간 사회경제적 계층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삶의 질은 여전히 열악한 수준에 있다. 2010년대 러시아 북극 지역은 세 가지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양호한 사회경제적 지역인 야말로네네츠와 추콧카이며, 둘째는 중간 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역인 네네츠, 무르만스크, 사하, 크라스노야르스크이며, 셋째는 불안정한 사회경제적 지역인 카렐리야, 코미, 아르한겔스크이다. 그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네네츠가 양호한 사회경제적 지역에서 중간 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역으로, 아르한겔스크가 중간 수준의 사회경제적 지역에서 불안정한 수준의 지역으로 사회경제적 위치가 하락하였다. 반면에 크라스노야르스크는 불안정한 수준에서 중간 수준의 지역으로 사회경제적 위치가 상승하였다. 2014년 서방의 경제제재로 러시아 북극권 주민은 다른 지역보다 사회경제적 충격을 더 크게 받았다. 이로 인한 러시아 북극권 주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의 악화는 약 2~3년간 지속하였고, 대략 2017~18년부터 이들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회복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the Russian Arctic residents in the 2010s by analyzing various socioeconomic indicators. In the Arctic region of Russia, the population problem is in the process of being resolved, but income and poverty problems are getting sharper, so socioeconomic stratification between regions is progressing, and the quality of life is still at a poor level. The Russian Arctic region in the 2010s can be divided into three socioeconomic situations. The first are the good socioeconomic areas of Yamalnenets and Chukotka, the second are the moderate socioeconomic areas Nenets, Murmansk, Sakha and Krasnoyarsk, and the third are the unstable socioeconomic areas Karelia, Komi and Arhangelsk.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socioeconomic position of Nenets decreased from a good socioeconomic region to a moderate socioeconomic region and Arkhangelsk from an intermediate socioeconomic region to an unstable region. On the other hand, Krasnoyarsk has risen in socioeconomic status from an unstable to an intermediate level. In 2014, economic sanctions from the West suffered a greater socioeconomic impact on the Russian Arctic residents than in other regions. As a result,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Russian Arctic residents continued to deteriorate for about 2-3 years, and their socioeconomic situation has been recovering from about 2017-18.

      • KCI등재

        철도 밸러스트 선정 효율성에 대한 고찰

        우익(Ik Woo) 한국암반공학회 2015 터널과지하공간 Vol.25 No.6

        이 연구는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철도 밸러스트를 선정하는 규준에 대하여 논하고, 프랑스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한 채석장을 대상으로 철도 밸러스트 선정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철도 밸러스트의 품질은 대부분 입도분포와 마모 저항성으로 평가된다. 마모 저항성은 로스앤젤레스 마모 실험과 마이크로 드발 실험에 의해 평가되며, 고속철도와 일반철도용 밸러스트의 품질은 이들 두 마모 지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연구는 채석장의 생산 과정에서 단계가 다른 3 종류의 골재를 채취하여, 각각에 대하여 마모 실험을 수행하여 획득한 마모 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로스앤젤레스 마모 지수(LA)와 마이크로 드발 지수(MDA) 사이에는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고, 단계별 골재들 사이의 마모 지수도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발파 직후 현장에서 채취한 골재의 마모 지수(LA 및 MDA)와 최종 생산 단계에서 채취한 골재의 마모 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현장에서 빠른 시일 내에 최종 골재의 품질을 큰 오차 없이 예측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pecification for selecting railway ballast in France is introduced in this study and the effectiveness of selection for railway ballast is studied for the case of a quarry located in northen France. The quality of railway ballast is, in general, estimated depending on the grain distribution and mainly of the resistance against abrasion. The resistance against abrasion is obtained by both Los Angeles abrasion test and Micro Deval test, which determine the ballast quality suitable whether for high speed railway or classical railway.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rasion index obtained from the abrasion tests for the aggregates sampled at three different stages among ballast production procedure at the quarry. A high correlation is determined between Los Angeles Abrasion index (LA) and Micro Deval index (MDA) and also between abrasion indices of different aggregates. Particularly, this correlation between the abrasion indices allows to estimate the quality of ballast at the final stage from the aggregates at the site in a quarry within the margin of error.

      • SCOPUSKCI등재

        참치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효과

        우익(Woo-Ik Hwang),백나경(Na-Gyung Baik),황윤경(Yoon-Kyung Hwang),이성동(Sung-D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참치의 석유 에텔 추출물로부터 항암 효과가 있는 활성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 흰생쥐의 임파모 세포인 L1210과 P388, 인체 장암세포인 HCT-48, HT-29 및 HRT-18를 대상으로 단계별로 얻어지는 성분의 항암 활성을 측정하고, 그물질의 생체내에서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해 여러가지 면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 배양액에서의 인체 결장암세포인 HCT-48에 대해, crude extract는 배양액 1ml당 60㎍ 첨가시 증식이 2배로 억제되었으며 (1 unit), 이를 column chromatography 수행하여 얻은 fraction D의 1 unit은 22㎍이며, 다시 TLC를 하여 얻은 Spot Ⅰ의 1 unit은 9㎍으로서 정제했을때 277배 증가하였다. Spot Ⅰ은 GC/MS에 의해 7가지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로서 이중 4가지 성분은 CC_(14:0), C_(16:0), C_(17:1) 및 C_(18:0)인 지방산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나머지 3가지는 지방성분으로 분자식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른 인체 장암 세포인 HT-29과 HRT-18에 대한 crude extract의 1 unit은 64㎍ 및 54㎍이었으며 fraction D의 1 unit에 해당하는 양은 두 세포 모두 약 34㎍이었다. 또한, 생쥐의 백혈병성 임파모 세포인 L1210과 P388의 경우 crude extract의 1 unit에 해당하는 양은 2-2.5㎍이며, fraction D의 경우는 1.2~1.4㎍으로서 참치 추출물의 세포 증식 억제력은 백혈병성 임파모세에서 인체 장암세포보다 높았으며,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참치 추출물 (fraction D)을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HCT-48 세포의 크기 분포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며, 현미경 사진에서 보면 본래의 형태가 위축되거나, 세포의 주위가 흐트러지면서 사멸 현상을 보였다. 참치 석유 에텔 추출물에는 DHA가 18.8%를 차지하며 EPA는 3.25% 포함되어 있었다. 대조군 생쥐에 비해 S-180을 접종한 후 참치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용혈반 형성 세포수와 혈청 단백질 중 immunoglobulin의 relative %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장의 자연 살해 세포의 활성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치의 석유 에텔 추출물중에 in vitro에서 인체 장암세포 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devised to purify the compound from tuna that have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various cancer cell lines and to observe its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The cytotoxic compound was partially purified 277 fold, from petroleum ether extract (crude extract) of tuna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fraction D)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Spot Ⅰ). Cytotoxic activity was monitored using human colon cancer cell, HCT-48. The active compound (Spot Ⅰ) was composed of seven materials which are fatty acids off our kinds (C_(14:0), C_(16:0), C_(17:1) and C_(18:0)) and unknown three fat materials. The active compound has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various cancer cell lines, that is, murine leukemic lymphocytes (L1210, P388) and human rectal (HRT-18) and colon cancer cells (HCT-48, HT-29). The patterns of size distribution of HCT-48 cells in the medium containing tuna extract were shifted to direction of the small size region. Also, the microscopic shape of HCT-48 cells were shrinked and distracted.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 and immunoglobin fraction of serum protein obtained from tuna-treated mice were increased, but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not aff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