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접 보상전압 추출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직렬형 능동전력필터

        우원명,한윤석,김영석,원충연,최세완 전력전자학회 2001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6 No.3

        본 논문에서는 직접 보상전압 추출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직렬형 능동전력필터의 제어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직렬형 능동전력필터는 비선형 부하를 갖는 3상 3선식 전력계통에 병렬 수동필터와 함께 사용되어 병렬 수동필터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원측 고조파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기여한다. 제안된 제어법은 직렬형 능동전력필터의 보상전압을 성능함수에 의해 상변환 없이 직접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연산시간이 짧고, 제어가 보다 간단하다. 실험결과는 제안된 제어법을 이용한 시스템이 고조파 저감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입증한다. In this paper, a new control strategy of a series active power filter suing direct compensating voltage extraction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series active power filter and shunt passive filters are used 3-phase 3-wire power system with nonlinear load. The series active power filter complements drawbacks of the shunt passive filter and contributes to a source side harmonic reduction. We can extract the compensating voltage of the series active power filter using performance function without phase transformations. Therefore, the calculating time is short and the control method is simpl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system using the proposed method appears a good performance.

      • 3상 3선식 시스템의 고조파 저감을 위한 직렬형 능동전력필터에 관한 연구

        우원명(Wonmyung Woo),한윤석(Yoonseok Han),김영석(Youngseok Kim),원충연(Chungyuen Won),최세완(Sewan Choi) 전력전자학회 200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0 No.11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ies active power filter and a simple calculation method acqmring the reference voltage. A series active power filter is suitable to suppress harmonics produced by voltage type harmonic source such as a diode rectifier with filter capacitor on the DC side. The proposed series active power filter system is applied to 3-phase 3-wire power system including the voltage type harmonic sourc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a laboratory model are shown to verify the v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 KCI등재SCISCIESCOPUS

        TICOM 개발을 위한 형상관리도구(TCMS)의 설계 및 구현

        이준석,우원명,김웅기,박진원,Lee, Jun-Seok,Woo, Won-Myoung,Kim, Eung-Ki,Park, Jin-Wo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1 전자통신 Vol.13 No.2

        본 논문은 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 II (TICOM) 개발시 적용되는 형상관리업무를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형상관리용 소프트웨어 도구 (TCMS )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 KCI등재

        생물광자의 좌우 및 손바닥과 손등의 상관성 조사

        양준모,정현희,우원명,이승호,양종수,소광섭,윤길원 한국광학회 2004 한국광학회지 Vol.15 No.4

        세 명의 건강한 피험자의 손에서 방출되는 생물광자의 측정을 매주 금요일에 6회씩 일년간 수행하였다. 좌우 손바닥의 생물광자 방출량의 상관계수는 0.9였으며, 좌우 손등의 경우에도 유사하였다. 손바닥과 손등의 상관계수는 평균 0.5로 나왔으며, 이 결과는 장웨이보의 $CO_2$ 발생률의 상관성과 부합되며, 한의학의 음경과 양경맥의 기능간 상관성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iophotons from three healthy subject's hands were measured every Friday for one ye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lms were found to be 9.0, and a similar value was also obtai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back of hands.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lm and back of a hand turned out to be low, on the average only 0.5.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Zhang's $CO_2$ production rate experiments on the acupuncture point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and the low correlation between the palm and back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cupuncture theory of meridians. The palm and the back correspond to the yin and yang meridians, respectively. And their behaviors are rather opposite, thus they show low correlations.

      • 다중격자 라그랑지안 입자확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개발

        김석철,김민성,김완수,박준,우원명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라그랑지안 입자 모델(Lagrangian Particle Model)은 운용조건 만족 시 모델링 오차를 실질적인 영의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정교한 대기확산모델이다.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에서 모델링 대상은 질량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되고 이 질량 점이 계산 기본 단위가 된다. 펍(puff) 모델과 달리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은 질량 점이 수학적으로 0차원이므로 공간적 구조가 없다. 이러한 구조적 단순함은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의 강점인 동시에 취약점이다. 펍 모델에 비해 입자모델은 경우에 따라 많은 수의 계산입자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 결과 계산시간 증가로 신속한 모델링 상황에는 적용이 제약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에서 계산입자 수가 모델링 공간규모와 모델링에서 구해지는 물리량(예, 농도)의 공간분포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점에 착안해 물질 확산프로세스의 공간규모에 맞추어 격자계가 동적으로 설정되는 다중격자계를 고안하였다. Hanna 등(1977)의 확산폭에 대한 일반 이론과 Draxler (1976)가 제안하고 Irwin (1983)이 유효성을 확인한 모형식을 확장하여, 라그랑지안 시간척도와 난류량의 함수로 다중격자계 해상도를 결정하는 방정식을 구하였다. 이와 함께 격자영역과 해상도가 확산과정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되는 다중격자계를 기반으로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을 이용한 대기확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다양한 대기 안정도에서 복잡지형과 도시건물에 의한 거칠기 효과가 있는 문제에 적용한 결과, 실시간 운용이 가능한 적은 수의 계산입자로도 배출원 인근 고해상도 현상부터 원거리의 광역 오염 영향권이 적절히 모델링 되었다.

      • KCI등재

        고효율 및 슬림형 전압 평형 3-레벨 벅 컨버터

        정준봉,김찬규,하가산,우원명,강정일,한상규 전력전자학회 2023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28 No.2

        The 3-level buck converter features half the switch voltage stress of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buck converter.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output inductor is also twice the switching frequency. The slope of the inductor current can be reduced as well due to the flying capacitor voltage,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size of the output inductor. Therefore, the 3-level buck converter can achieve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density. The flying capacitor voltage must be half the input voltag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strength. Most conventional control schemes for the voltage balance of the flying capacitor adopt a peak or valley current mode control method using real-time current sensing. Therefore, the control algorithm is complicated, and high performance and expensive digital controller is required. This study proposes an independent two-loop voltage mode control scheme that can guarantee the flying capacitor voltage to be half of the input voltage. The proposed control scheme can be simply implemented without current detection and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control algorithms. Thus, simple and low-cost micro controller can be used. Experimental results from a rated prototype of 500 W are provid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 기상결합빈도함수(JFF)에 기반한 대기환경 감시망의 감지효율 예측

        김석철,김민성,김완수,박준,우원명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악취 혹은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경고하거나 산업공단이나 화력발전소 인접지역의 대기오염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탐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례가 있다. 배출원에서 가까울수록, 대기상태가 안정하여 확산이 억제될수록, 기류가 특정위치로 수렴되는 경향이 강할수록, 대기 중으로 방출된 물질 덩어리(이하 오염덩어리)는 크기가 작고 고농도 상태가 된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오염덩어리는 포착되지 않고 센서망을 통과하여 피해민감지역(예, 주거지역)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같을 질량일 경우 오염덩어리가 작을수록 농도는 높기 때문에 노출 위험도는 더 커진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최적의 설치 위치, 곧 포착효율이 가장 높은 위치를 선정하는 문제에 대해서 일반적인 해법을 모색하였다. 배출원의 위치가 주어진 문제를 우선 고려하였다. 이때 배출원의 개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배출원의 위치가 주어지면, 확립된 대기확산모델링 절차를 통해 오염덩어리의 이동궤적, 형태변화, 농도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을 사용하였다. 센서반응은 농도 입력치에 대해서 참 혹은 거짓의 논리적 판정을 시간순서대로 출력하는 논리함수로써 구현하였다. ISCLT모델의 기상결합빈도함수를 사용하여 발생가능한 대표적 기상조건 전부에 대하여, 설치 후보지역 전부에 대해서 반응함수의 가능조합에 대한 앙상블평균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기확산 모델링오차 범위 내에서 최적의 센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