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BSmath를 활용한 거꾸로 수업이 수학 학습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오혜진 ( Oh¸ Hyejin ),박성선 ( Park¸ Sungs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初等 數學敎育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through EBSmath on Students’ ‘rate and ratio’ learning. By increasing demands for change in education, an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Flipped Learning’, has been presented and drawing attentions. In South Korea, Flipped Learning is also highly recognized for its effectiveness by many scholars and various media. However, this innovative learning model has limitations in application and expansion due to the excessive burden of class preparation of teachers. As remote learning becomes more active, it would be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illiped learning by using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EBS). EBSmath is an online learning module that is designed to assis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us, EBSmath would reduce teachers’ burden to prepare mathematics classes fo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led to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through EBSmath on learning ‘rate and ratio’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scrutiniz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tudents’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were examined and analyzed. Students’ achievement, specifically, was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concept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Flipped learning through EBSmath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rate and ratio’ problem solving.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identified in the ‘willingness’, which is subdomain of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 KCI등재

        다양한 각도의 출구에서의 보행자 유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설치류 실험

        오혜진(Hyejin Oh),유재희(Jaehee Lyu),박준영(Junyoung Park) 한국기계가공학회 2016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5 No.4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deaths from crushing caused by dense crowds. Numerous studies about pedestrian flow have performed various simulations, but the experimental data to prove the simulations are still not enough. In this paper, the evacuation of pedestrians for proving pedestrian flow simulation is observed. Due to the possibility of real casualties, it is difficult to experiment with humans directly. Therefore, ten C57BL/6NCrSIc mice have been used. It is assumed that C57BL/6NCrSIc mice act like humans in panic situations. Electrical Stimulus Experiments on mice are conducted for exits with various angles. ICY software is applied in this paper. As a result, the mice escape fast at a proper angle of 45 to 60 degrees.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오혜진(Hyejin Oh)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3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A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각각 23명씩의 비교집단과 참여집단을 구성하였다. 비동일통제집단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하였다. 검사 시기에 따라 죽음불안, 우울, 삶의 질에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시기에 따른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집단의 죽음불안과 우울은 사전검사와 비교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추후검사와 사후검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참여집단의 삶의 질은 사전검사와 비교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추후검사와 사후검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비교집단의 죽음불안, 우울, 삶의 질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고 연구의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ath education program can have an impact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Forty-six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 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of people,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undergo pre-, post-education tests and a follow-up test. With the collected data,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using SPSS Win 22.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test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iming of test. Finally,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test meaningfulness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iming of test.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of an experiment group, and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the follow-up tes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pre-, post-education tests and a follow-up test. In conclusio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Based on these results,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알파걸과 일반 여학생 집단 간의 비교

        오혜진 ( Oh Hyejin ),지연경 ( Chee Yeon 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높은 학업 성취와 리더십, 운동 등 각 방면에서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는 여학생들과 일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고등학생 가운데 알파걸 집단은 학업성취도, 리더활동, 학업 외 활동 등을 기준으로 선정하였고 일반 여학생 비교집단과 각각 100명을 분석하였다. 알파걸 집단의 여학생들이 일반 여학생들에 비해, 부의 교육 및 직업수준과 월 소득이 더 높았으며,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더 많고,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알파걸 집단은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하고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부의 교육수준과 월 소득이 높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반면, 일반 여학생 집단은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모의 교육수준이 높고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연구가 부족한 알파걸의 특성 및 이와 관련 있는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알파걸 현상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relations of family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mong highly competent alpha girls and non-alpha gir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2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greater Seoul area. Compared to non-alpha girls, higher levels of fathers’ education and occupation, family inco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as well as studen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reported in alpha girls. Hierarchical regressions indicated that for alpha girls, both parents’ achievement-encouraging attitudes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positively affected achievement motivation, whereas fathers’ education, family inco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both parents affected higher self-efficacy. In non-alpha girls, on the other hand, only parents’ achievement-encouraging attitudes positively influenc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an additional effect of mother’s higher education on increased self-efficacy. These finding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alpha girls such as more favorable outcomes in academic motivation and competence to which open communication with both parents markedly contributes.

      • 다중분광영상 이용한 딥러닝 기반 조명 추정 알고리즘

        오혜진(Hyejin Oh),강제원(Jewon Kang),이병욱(ByungUk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6

        최근 사용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조명의 스펙트럼을 보상하여 물체의 고유의 색상을 찾는 AWB (auto white balance)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RGB 센서에서 취득한 영상은 부족한 색상 정보로 인해 영상의 정확한 조명 추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역 간의 중첩 효과를 최소화여 취득 정보량을 늘리는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해 영상에서 정확한 조명 스펙트럼을 예측하는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딥러닝 기반 조명 추정 알고리즘을 통한 다중분광영상의 조명 스펙트럼 추정 성능을 3 채널 조명 추정 성능과 비교하여 정량, 정성적 결과로 보인다.

      • 만경강 소양교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부하량 평가

        오혜진 ( Hyejin Oh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오진휴 ( Jinhyu Oh ),우혜진 ( Hyejin Woo ),김학원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는 계절 및 기후, 지형, 토지이용형태 등 지역적인 특성인자에 따라 변화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과 수질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경강 소양천 하류에 위치한 제2소양교 지점에서 2010년 10월~2013년 5월까지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상운리에 위치한 연구유역의 총 유역면적은 14,851 ha이고, 전체 유역면적 중 임야가 70.6%, 농경지가 18.7%(논 12.4%, 밭 6.3%), 기타 10.8%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문자료는 영산강홍수통제소의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강수량은 3370.4 mm를 기록하였고, 유량은 0.12~21.02 m<sup>3</sup>/s의 범위로 평균 2.72 m<sup>3</sup>/s로 나타났다. 대상유역의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월 1회 채수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T-N의 농도는 1.85~5.79 mg/L의 범위로 평균 3.84 mg/L로 나타났고, T-P의 농도는 0.01~0.12 mg/L의 범위로 평균 0.05 mg/L로 나타났다. SS는 11.18~169.3 mg/L의 범위로 평균 76.73 mg/L로 나타났고, BOD는 0.6~2.8 mg/L의 범위로 평균 1.34 mg/L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중 영양염류의 유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T-N은 81.33 kg/ha, T-P는 0.81 kg/ha로 산정되었으며, 이중 강우기의 유출부하량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량과 유출부하량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상관계수가 평균 0.98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강우시에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되므로 계절적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기초조사를 통하여 시기별 및 지형별 특성에 따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19세기 영국 과학정책 태동기 과학자의 요구: 조지 고어(G. Gore)의 사례

        오혜진(Hyejin OH),김하정(Hajeong KIM),박상욱(Sangook PARK)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이 글은 19세기 영국의 과학자들이 적극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요구했던 ʻ연구 지원 운동ʼ의 가운데 발표된 조지 고어의 책을 통해 현대적 과학정책 태동기의 모습을 알아보고자 한다. 19세기 영국 과학자들은 당시 세분화, 전문화되는 과학의 변화 속에서 전문 직업인으로서 과학자의 정체성 확보를 추구하던 사람들로, 과학과 과학자를 둘러싼 전반적인 상황을 개혁하고 정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였다. 한편 이들은 과학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간섭을 거부하였는데, 이는 훗날 등장한 ‘과학에 대한 지원은 과학자에게 맡긴다’는 정부 기초연구지원 원칙에 이르는 진화적 경로의 초기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882년 조지 고어가 작성한 『국가발전의 과학적 기반』을 현대 과학정책의 관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미 당시부터 과학자 집단의 요구가 과학정책의 주요한 발원이었음을 밝힌다. 고어의 제안들은 현대 과학정책의 관점과 범주에서 큰 이질감이 없는데, 이는 과학정책의 제도적 경로의존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각종 과학정책 형성의 근간이 과학자의 요구에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dawn of science policy in 19C Britain with review of George Goreʼs booklet, which was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endowment of research movement. British scientists at that time sought for the identity of scientist as a profession, while science had been changing. They paid their efforts to improve research environment and to invite governmentʼs support for scientific research. However, they were against the governmentʼs attempt of intervention to research, which would lead to the Haldane principle. In 1882, Gore wrote a booklet titled as The Scientific Basis of National Progress, which will be analysed through the lens of modern science policy in the paper for addressing that the birth of science policy took place when government responded to scientistsʼ demands. There found no huge difference between Goreʼs policy suggestions to the British government then and modern science policy instruments and institutions. The findings imply the path-dependency in science policy, and the science policy making mechanism has been standing on the basis of governmentʼs responding to scientistsʼ demands.

      • 새만금 유역 내 축산밀집 소유역에서의 수질특성 분석

        우혜진 ( Hyejin Woo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오혜진 ( Hyejin O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환경부에서 발표한 새만금유역 가축오염원 관리방안(2012)에 의하면 새만금 유역 내 T-P 발생 부하량은 축산계가 전체의 75 %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지점 불명확에 따른 집수처리 곤란과 분뇨처리에 대한 축산 농가의 인식 및 전문성 부족으로, 축산폐수의 처리 및 관리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역 특성에 따른 축산비점오염 배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수질 특성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8개 시ㆍ군 중 가축 사육두수가 32.6 %로 가장 많은 김제시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해 있는 공덕면 일대 소유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1. 대상 유역은 전북 김제시 공덕면 일대 소유역으로 만경강 용암천 유입부에 위치한 부용교와 그 상류 측에 위치한 황산교, 고은교, 그리고 상리교 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유역면적은 53 km²이고, 김제시 검산동, 요촌동, 황산면, 금구면, 공덕면, 백구면, 용지면, 백산면이 속해있다. 2. 대상 유역 내 토지이용 현황은 논이 33.6 %로 가장 많고, 밭 20.8 %, 임야 22.4 %, 대지 3.5 %, 기타 19.7 %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 현황은 총 1,787,392 두수로 용지면에서 83.1 %의 가장 많은 가축을 사육하고 있고 고은교의 소유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백산면과 공덕면이 9.5 %와 5.6 %로 뒤를 이었다. 3. 2013년 현재 평균수위는 부용교 1.66 m, 황산교 1.16 m, 상리교 0.61 m, 고은교 0.74 m로 측정되었으며, 유역내 용지면에서 측정한 강우량은 총 225 mm로 일 최대 66 mm/day, 일 평균 3.36 mm/day로 나타났다. 4. 수질 분석은 최소 월 1회, 총 4회 시료를 채취하여 T-N, T-P, TOC, BOD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항목의 평균값은 T-N은 3.68~4.86 mg/L의 범위로 평균 4.04 mg/L로 나타났고, T-P는 0.08~0.26 mg/L의 범위로 평균 0.15 mg/L로 나타났다. TOC는 6.49~11.30 mg/L의 범위로 평균 9.21 mg/L, BOD는 4.11~6.62 mg/L의 범위로 평균 5.61 mg/L로 분석되었으며, 네 가지 항목 모두 고은교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이는 유역 내에서 가축두수가 가장 많은 용지면이 고은교 유역 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기간 같은 만경강 수계인 전주 하리교에서 비교 측정한 T-N 농도는 평균 1.98 mg/L, T-P는 평균 0.05 mg/L, TOC는 평균 3.17 mg/L, BOD는 평균 1.4 mg/L로 모든 항목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한 연구 대상지가 전주 하리교보다 각각 2.06 mg/L, 0.1 mg/L, 6.04 mg/L, 4.21 mg/L 높게 측정 되어 악화된 수질로 분석되었다. 5. 본 연구는 축산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 개발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