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유역 내 축산분뇨 관리대상 유역 특성 분석

        우혜진 ( Hyejin Woo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 8개 시·군 중 가축 사육두수가 32.6 %로 가장 많은 김제시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해 있는 공덕면 일대 소유역을 축산분뇨 관리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축산분뇨에 따른 수질영향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새만금유역 비점오염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유역은 만경강 용암천 유입부에 위치한 부용교와 그 상류 측에 위치한 황산교, 고은교, 그리고 상리교 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고, 김제시 검산동, 요촌동, 황산면, 금구면, 공덕면, 백구면, 용지면, 백산면이 속해있는 지역이다. 전체 유역면적은 53 km²이고 2012년 면적 비 적용한 토지이용 현황은 논이 31.7 %로 가장 많고, 밭 23.7 %, 임야 25.9 %, 대지 10 %, 기타 8.6 %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가축 사육 현황(가금, 돼지, 젖소, 한우)은 총 1,557,819 두수로 해당 유역의 30개리 중 용암리에서 21.6 %의 가장 많은 가축을 사육하고 있고 용암리는 고은교의 소유역 내에 있다. 모니터링 기간인 2013년 4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연구유역 내 용지면 구암리 용지초등학교에서 측정한 강우량은 총 1196 mm로 일 최대 94 mm/day로 조사되었으며, 연구유역 평균수위는 부용교 1.02 m, 황산교 0.64 m, 상리교 0.37 m, 고은교 0.39 m로 측정되었다. 수질 분석은 월 1회, 총 28회(4개소×7회) 시료를 채취하여 T-N, T-P, SS, COD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용교, 황산교, 상리교, 고은교의 T-N은 각각 평균 2.91 mg/L, 2.86 mg/L, 2.77 mg/L, 3.48 mg/L, T-P는 각각 평균 0.13 mg/L, 0.16 mg/L, 0.11 mg/L, 0.23 mg/L, SS는 각각 100.86 mg/L, 100.43 mg/L, 121.29 mg/L, 137.87 mg/L, COD는 각각 10.66 mg/L, 10.89 mg/L, 8.54 mg/L, 11.08 mg/L로 분석되었으며, 네 가지 항목 모두 고은교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 새만금 유역 내 축산밀집 소유역에서의 수질특성 분석

        우혜진 ( Hyejin Woo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오혜진 ( Hyejin O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환경부에서 발표한 새만금유역 가축오염원 관리방안(2012)에 의하면 새만금 유역 내 T-P 발생 부하량은 축산계가 전체의 75 %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지점 불명확에 따른 집수처리 곤란과 분뇨처리에 대한 축산 농가의 인식 및 전문성 부족으로, 축산폐수의 처리 및 관리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역 특성에 따른 축산비점오염 배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수질 특성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8개 시ㆍ군 중 가축 사육두수가 32.6 %로 가장 많은 김제시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해 있는 공덕면 일대 소유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1. 대상 유역은 전북 김제시 공덕면 일대 소유역으로 만경강 용암천 유입부에 위치한 부용교와 그 상류 측에 위치한 황산교, 고은교, 그리고 상리교 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유역면적은 53 km²이고, 김제시 검산동, 요촌동, 황산면, 금구면, 공덕면, 백구면, 용지면, 백산면이 속해있다. 2. 대상 유역 내 토지이용 현황은 논이 33.6 %로 가장 많고, 밭 20.8 %, 임야 22.4 %, 대지 3.5 %, 기타 19.7 %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 현황은 총 1,787,392 두수로 용지면에서 83.1 %의 가장 많은 가축을 사육하고 있고 고은교의 소유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백산면과 공덕면이 9.5 %와 5.6 %로 뒤를 이었다. 3. 2013년 현재 평균수위는 부용교 1.66 m, 황산교 1.16 m, 상리교 0.61 m, 고은교 0.74 m로 측정되었으며, 유역내 용지면에서 측정한 강우량은 총 225 mm로 일 최대 66 mm/day, 일 평균 3.36 mm/day로 나타났다. 4. 수질 분석은 최소 월 1회, 총 4회 시료를 채취하여 T-N, T-P, TOC, BOD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항목의 평균값은 T-N은 3.68~4.86 mg/L의 범위로 평균 4.04 mg/L로 나타났고, T-P는 0.08~0.26 mg/L의 범위로 평균 0.15 mg/L로 나타났다. TOC는 6.49~11.30 mg/L의 범위로 평균 9.21 mg/L, BOD는 4.11~6.62 mg/L의 범위로 평균 5.61 mg/L로 분석되었으며, 네 가지 항목 모두 고은교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이는 유역 내에서 가축두수가 가장 많은 용지면이 고은교 유역 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기간 같은 만경강 수계인 전주 하리교에서 비교 측정한 T-N 농도는 평균 1.98 mg/L, T-P는 평균 0.05 mg/L, TOC는 평균 3.17 mg/L, BOD는 평균 1.4 mg/L로 모든 항목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한 연구 대상지가 전주 하리교보다 각각 2.06 mg/L, 0.1 mg/L, 6.04 mg/L, 4.21 mg/L 높게 측정 되어 악화된 수질로 분석되었다. 5. 본 연구는 축산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 개발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새만금 유역 축산 및 토지계 유래 비점오염 부하량 분석

        우혜진 ( Hyejin Woo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의 축산계와 토지계에서 유래된 부하량을 분석하고, 만경강 소양천 하류에 위치한 제2소양교와 동진강 원평천 하류에 위치한 행정교를 연구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1. 새만금 유역의 2012년 배출부하량은 BOD 65,117 kg/일, T-N 37,728 kg/일, T-P 3,827 kg/일이며, 2007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 BOD 65,934 kg/일, T-N 38,897 kg/일, T-P 3,936 kg/일 배출되었다. 2. 새만금 유역의 2012년 BOD, T-N, T-P 배출량의 합은 106,671 kg/일 이며 이 중 축산계 배출량은 38,979 kg/일로 36.54 %를 차지한다. 38,979 kg/일 중 BOD가 23,914 kg/일, T-N 13,518 kg/일, T-P 1,547 kg/일로 산정되었다. BOD, T-N, T-P 항목 모두 축산계 비율이 59~84 %로 가장 높게 산정된 완주군 화산면, 김제시 공덕면과 용지면과 백구면, 정읍시 옹동면과 신태인읍 일대가 축산계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3. 새만금유역의 2012년 BOD, T-N, T-P 배출량의 합 중 토지계 배출량은 47,948 kg/일로 44.95 %를 차지한다. 47,948 kg/일 중 BOD가 29,969 kg/일, T-N 16,487 kg/일, T-P 1,491 kg/일로 산정되었다. BOD, T-N, T-P 항목 모두 토지계 비율이 83~100 %로 가장 높게 산정된 완주군의 동상면, 상관면 일부와 전주시 효자동, 삼천동, 평화동 일대가 토지계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4. 모니터링 대상 유역인 소양교는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상운리에 위치하며, 유역면적 14,815 ha로 토지이용현황은 임야 71 %, 논과 밭 18 %, 기타 11 %로 나타났다. 행정교는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상선리에 위치하며 유역면적 10,075 ha로 임야 76 %, 논과 밭 15 %, 기타 8 %로 나타났다. 5. 수질 분석은 2010년 10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월 1회, 총 72회(2개소×36회) 시료를 채취하여 T-N, T-P, SS, BOD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배출 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소양교, 행정교의 T-N은 각각 74.35 kg/ha, 221.01 kg/ha, T-P는 각각 1.51 kg/ha, 5.85 kg/ha, SS는 각각 2,018.16 kg/ha, 6,773.41 kg/ha, BOD는 각각 32.01 kg/ha, 120.90 kg/ha로 분석되었다. 네 가지 항목 모두 행정교 유역에서의 배출부하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 만경강 소양교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부하량 평가

        오혜진 ( Hyejin Oh ),손재권 ( Jaegwon Son ),최진규 ( Jinkyu Choi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오진휴 ( Jinhyu Oh ),우혜진 ( Hyejin Woo ),김학원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는 계절 및 기후, 지형, 토지이용형태 등 지역적인 특성인자에 따라 변화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과 수질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경강 소양천 하류에 위치한 제2소양교 지점에서 2010년 10월~2013년 5월까지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상운리에 위치한 연구유역의 총 유역면적은 14,851 ha이고, 전체 유역면적 중 임야가 70.6%, 농경지가 18.7%(논 12.4%, 밭 6.3%), 기타 10.8%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문자료는 영산강홍수통제소의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강수량은 3370.4 mm를 기록하였고, 유량은 0.12~21.02 m<sup>3</sup>/s의 범위로 평균 2.72 m<sup>3</sup>/s로 나타났다. 대상유역의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월 1회 채수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T-N의 농도는 1.85~5.79 mg/L의 범위로 평균 3.84 mg/L로 나타났고, T-P의 농도는 0.01~0.12 mg/L의 범위로 평균 0.05 mg/L로 나타났다. SS는 11.18~169.3 mg/L의 범위로 평균 76.73 mg/L로 나타났고, BOD는 0.6~2.8 mg/L의 범위로 평균 1.34 mg/L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중 영양염류의 유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T-N은 81.33 kg/ha, T-P는 0.81 kg/ha로 산정되었으며, 이중 강우기의 유출부하량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량과 유출부하량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상관계수가 평균 0.98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강우시에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되므로 계절적 특성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기초조사를 통하여 시기별 및 지형별 특성에 따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스크린 환경 도래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

        김대원(Daewon Kim),우혜진(Hyejin Woo),김성철(Seongcheo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N-스크린 시대의 미국, 영국, 일본의 유력 신문사의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의 틀로는 디지털 콘텐츠의 유료화 시점, 시장 세분화 여부, 4P 마케팅 믹스 전략이 활용됐다. 해외 주요 신문사들의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은 2000년을 전후로 시작된 후, 2000년 초중반 캐즘을 겪었고 2010년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신문사 대부분은 상품 측면에서 시장을 세분화하는 모습을 보이진 않았다. 4P 전략의 관점에서 상품 전략의 경우, e-paper와 디지털 콘텐츠를 축으로 프리미엄 서비스가 부가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가격 전략은 연성 체계와 혼합 체계가 주로 활용됐다. 유통전략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세분화 여부에 따라 대별됐다.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경로는 ‘디지털’로 묶어 하나의 대상으로 간주하면 단일 요금제, 그렇지 않고 각각의 단말기마다 세분화 한 경우에는 복합 요금제가 선택됐다. 판촉 전략에서는 종이신문과의 번들링 전략이 주로 채택되는 가운데, 시범 이용을 두고 분석 결과가 서구(미국과 영국)와 일본 간 상이하게 나타났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N-Screen strategies of paid digital contents of foreign newspapers belonging to advanced companies: USA, United Kingdom, and Japan. This research employed the time to launch paid digital content business, whether or not to segment market, and 4p marketing mix strategies for analyzing the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ategies, starting around the year 2000, had experience chasm, and then revived since the year 2010, when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proliferated. Most newspapers still supply content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y paly in a mass market. The items of paid digital contents are mainly composed of e-paper and digital contents. Regarding the price strategy, soft paywall and combination paywall are largely used. Distribution strategy is subject to whether or not to discriminate the path of digital contents. As for promotion strategy, bundling strategy with newspaper is mostly utilized. The difference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Japan was found in term of the free trial service.

      • KCI등재

        경엽식물 잎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효과

        박동일(Dongill Park),최아름(Areum Choi),우혜진(Hyejin Woo),이성갑(Seong Kap Rhee),채희정(Hee Jeong Ch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 및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 및 유산균 증식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이 뽕잎 추출물과 댓잎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유산균의 생육을 더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담근 14일 후의 관능평가 결과, 감잎 세절물 0.3%를 첨가한 김치에서 색, 풍미,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 감잎 세절물과 감잎 추출물 0.3%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담근 당일과 담근 14일 후의 pH와 산도의 변화량( ΔpH, ΔTA)을 계산한 결과, 감잎 세절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p<0.05). 또한, 담근 14일 후의 감잎 세절물 0.3% 첨가한 김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김치 제조 시 감잎 세절물 0.3%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pH, 총산도의 변화, DPPH 전자공여능, 총 폴리페놀 함량 및 관능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persimmon, mulberry and bamboo leaves addition on the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investigated.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EtOH extract from persimmon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mulberry and bamboo leaves.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added with three chopped plant leaves, kimchi added with chopped persimmon leaves gave the highest point in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ignificantly (p<0.05). When the chopped persimmon leaves were added at a ratio of 0.3% based on cabbage weight, the changes of pH and total acidity (TA) during the storage for 14 days wer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general kimchi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opped persimmon leaves at 0.3%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torage for 14 days (p<0.05), and this kimchi provid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general kimch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perisimmon leave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 KCI우수등재

        한국 언론의 인터랙티브 기사 도입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대원(Daewon Kim),박지은(Jieun Park),우혜진(Hyejin Woo),김성철(Seongcheol Kim)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4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potential, and limitation of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in Korean news industry through in-depth interview analysis. The young, mobile-savvy readers in their 20-30s are Korean newspaper companies’ main target for their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is an appropriate form of news especially for straight news. Along with archive journalism and repackaging journalism, it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range and definition of today’s journalism. This study views that the form of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would differ by the size of the budget a newspaper company puts. Newspaper companies with low budget assigned for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may take card stack style news. The companies seem to actively utilize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reach the readers with their interactive storytelling/news. This study views that producing digital, interactive news is never enough to make the newspaper company truly digital. There must be a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 change,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