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육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사이의 선ㆍ후행성에 대한 실증

        오현탁(Hyun-Tak Oh),홍정효(Chung-hyo H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돈육 선물시장과 돈육 현물시장 사이의 동태적인 선ㆍ후행성 관계를 분석함으로 어느 시장이 정보에 더 효율적인지를 실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8년 7월 21일부터 2013년 3월 20일까지의 최근 월물 돈육선물가격과 현물시장가격의 일별 시계열자료이다. 돈육현물과 선물시장사이의 선?후행성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은 VAR(3) 및 VECM(3)모형에 기초한 Granger 인과관계분석이다. 실증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돈육현물과 선물시장에 대한 단위근(unit root)을 검증한 실시한 결과 돈육 현물과 선물가격의 수준변수들은 모두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로그 차분한 수익률 자료들은 단위근이 존재하지 않는 안정적 시계열을 보였다. 둘째, 돈육현물과 선물시장사이의 장기적인 균형관계 분석을 위한 요한센 공적분검증에서 두 시장사이에 공적분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존재하였다. 셋째, 벡터자기회귀(VAR)모형 분석에서 돈육현물시장과 선물시장 사이에 피드백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물시장의 선물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그 반대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Granger 인과관계분석에서 현?선물시장 사이에 피드백적인 Granger 인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물시장의 선물시장에 대한 예측력이 선물시장의 현물시장에 대한 예측력보다 더 강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돈육선물시장은 돈육현물시장의 가격안정화 및 헤지기능 등 파생상품의 주요한 경제적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고 못한다는 결과를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ad-lag relations among lean hog futures and spot market"s returns during the sample period covering from July 21, 2008 to March 20, 2013. To test the short-run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wo markets as well as the market efficiency, we employ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VAR"). Considering the long-run relationship, that is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vel variables of lean hog spot and futures markets, we incorporate the error correction term into the VAR model.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DF and PP test, we find that the level variables of lean hog spot and futures have unit root alike but differenced the returns have no unit root and that time series data is stable. Second, we find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among the lean hog spot and futures market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according to the VAR(3) and Granger causality tests, there is a bilateral influences between the lean hog spot and futures. but the influencing power from lean hog spot to lean hog futures are more greater than that from lean hog futures to spot market.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lean hog spot markets are more efficient than lean hog futures. This means that policy maker should be concerned with increasing the liquidity of lean hog futures markets in Korea.

      • KCI등재

        BSC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오현탁(Hyun-Tak, Oh)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과 변수를 설정하였고, 연구표본으로 ‘한국사회적기업 진흥원’이 인증한 기업 중 104개의 표본을 분석하여 실증모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BSC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설계한 4개의 관점별 성과지표와 분석결과의 관점별 성과지표가 상이하게 나타났고, 회귀분석 결과도 분석결과의 4가지 관점요인 모두 유의적 결과를 보여 BSC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지표 개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보였다. 분석결과의 내용을 보면, 재무적 관점요인에 ‘정부(지자체)의 지원상태’외에 “정부(지지체)의 시행사업과 연관성‘ ’취약계층의 고용 및 교감상태‘의 성과지표가 들어가 있는데 이는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과는 달리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과 시행사업의 관련성이 높다는 점과 이 외에도 취약계층의 고용 및 교감상태의 성과변수가 재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시회적기업의 사회적 책임 또는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이 기업에 대한 호감과 평판을 높혀 수익성에 바로 연결된다는 해석을 할 수 도 있다. 또한 고객(이해관계자관점)에 IT기반시스템과 거래처 관리상태의 성과지표가, 학습과 성장 관점에 ‘CEO와 종업원의 역량과 참여도’의 작용이 포함된다는 점을 볼 때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역량과 지배구조로 대변되는 기업의 경제민주화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BSC의 4가지 관점 변수 중 영향을 주는 정도는 학습과 성장의 요인변수가 가장 컸는데 학습과 성장 요인변수가 경제적 성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다른 관점요인보다 오히려 CEO의 리더쉽과 경영마인드, 종업원의 참여도나 역량·멤버쉽이라는 인적(人的)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부언 하자면 비록 한국 사회적기업의 실정이 아직은 정부 및 지자체와 밀접히 관련이 되어 있지만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저변에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의 사고 및 인적요소의 열정과 역량 그리고 기업민주화의 의미가 저변에 깔려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고 이러한 신선한 싹을 새로운 성과지표개발에 담아내야 할 것이다. In Korean social enterprises are criticism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ch as the fact that the social enterprises depend only on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 problem of the uniform support method and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centered on labor costs. Therefore,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ppropriate performance indicators for social enterprises and the effective policies that follow. This study set up research models and variables based on BSC model (Kaplan and Norton, 2001) and the previous studies of Social Firms which are UK (2006), Bull (2007), and Lee Young Tak (2009) and so 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mong the companies registered as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104 samples were obtained which were relatively go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ur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analysis result were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BSC precedent research previous indicators.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all four BSC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index is not sufficiently reflected on the sid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over them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재벌기업집단의 propping 효과

        오현탁(Oh, Hyeon-T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5

        한국기업에는 한국특유의 기업집단 형태인 재벌기업집단이 있고 그 영향도 매우 크다. 재벌의 경제에 미치 는 영향도 매우 커서 이에 따른 경제정책도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Propping은 지배주주가 일방적 이익을 위해 계열 사의 소수주주의 부를 착취하는 tunneling의 개념과는 달리 재벌기업집단의 전체이익을 위해 재벌기업내의 자원을 공 유하며 상호 지원과 위험의 공유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재벌계열기업 간 propping을 분석하는 것은 그룹내의 여러 가지 중요문제를 풀고 재벌에 대한 규제정책에 대한 중요한 핵심을 주는 결정적 키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사건연 구결과를 보면 신용등급변경 전후의 누적초과수익률(CAR)은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되었우 때에 유의한 주가반응이 없 었으나 하향변경의 경우 재벌, 비재벌 모두 유의한 음의 반응을 보였고 특히, 하향변경의 경우 재벌그룹에 속한 기업 군이 상대적으로 평균적 초과수익률의 하락 정도가 매우 낮음을 보여주고 있어서 재벌집단기업의 propping 현상이 존 재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2002년 실시한 상호출자제한제도를 전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상호출자제한제도 이후 신용등급 하향조정시 propping 효과를 크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나 재벌기업에 대한 규제정책과 propping효과와 매 우 관계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I examine propping within chaebolgroups, using changes of bond rating events made by corporate credit evaluation institutions. Much studies related to the internal capital market and tunneling have enhanced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function of chaebolgroups in emerging market,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propping within affiliated firms. In a common sense, propping implies capital reallocation within affiliated firms to save a financially troubled affiliate. In event study on announcement the changes of corporate bond rating, I found most positive numbers in chaebolgroup's CAR. Particularly when lower change than higher change, decrease ratio of CAR is higher positively in chaebolgroups, which relatively shows that there is more propping effects in chaebolgroups than non-chaebolgroups. In multi-regression analysis, after strengthen restriction of internal mutual investment, propping effects are decreased positively in chaebolgroups than non-chaebolgroups when credit rating adjust lower, which implies there was more propping in chaebolgroups.

      • KCI등재

        이단계 일반화 선형모형을 이용한 은행 고객의 연체성향 분석

        오만숙,오현탁,이영미,Oh, Man-Suk,Oh, Hyeon-Tak,Lee, Young-Mi 한국통계학회 2006 응용통계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에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카드이용 고객의 연체 방지를 위해 기존 금융권을 이용하는 개인에 대한 연체 성향 분석을 수행한다. 연체 성향 분석의 대상은 현재 한국의 한 특정 은행 고객으로 하였으며, 여러 연체 가운데 신용카드 연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체 성향과 요인이 분석되면 기존 은행 고객에 대한 향후 부실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미래의 고객에 대해서도 신용평가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연체 성향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연체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였고 연체가 있을시 연체금액에 대한 일반화 선형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적합한 후, 유의한 설명변수들을 선정하여 반응변수와 설명변수들의 관계를 설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연령, 건당 현금서비스 평균금액, 타사 현금금액, 수신잔액, 순수익이 연체 유무와 연체금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들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household overdue loans in Korea which has been causing serious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We consider customers of Bank A in Korea and focus on overdue cash services which have been snowballing in the past few years. From analysis of overdue loans, one can predict possible delays for current customers as well as build a credit evaluation and risk management system for future customers. As a statistical analytical tool, we propose a two-stage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GLM) which assumes a logistic model for presence/non-presence of overdue and a gamma model for the amount of overdue in the case of overdue. We perform goodness of fit test for the two-stage model and selec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in each stage of the model. It turns out that age, the amount of credit loans from other financial companies, the amount of cash service from other companies, debit balance, the average amount of cash service, and net profit are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relevant to overdue credit card cash service in Korea.

      • KCI등재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한국인의 음주자료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오만숙,오현탁,박세미,Oh, Man-Suk,Oh, Hyun-Tak,Park, Se-Mi 한국통계학회 2012 응용통계연구 Vol.25 No.2

        순서적 다항 반응변수의 경우 종종 과도하게 많은 수의 관측치가 0 범주에서 발생하는 영 과잉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영 과잉 자료에서 0범주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여러 개 존재할 때 일반적인 순서적 프로빗 모형은 자료를 설명함에 있어서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영 과잉 특성을 반영한 이 단계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의 베이지안 분석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2008년도 통계청에서 조사한 한국인의 음주소비 자료에 적용시킨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음주소비가 하나도 없다고 답한 0 범주에 속하는 비음주자들을 신념 또는 영구적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상황에 관계없이 음주를 하지 않는 절대적 비음주자(genuine non-drinker, non-participant)와 현재 소비가 없지만 상황에 따라 음주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음주자(zero consumption potential drinker)로 구분하는 프로빗 모형을 적용시켜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잠재적 음주자와 1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실제적 음주자를 합하여 음주자 집단으로 보고 이에 대하여 순서적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비음주자 중 약 30%가 절대적 비음주자로 음주자료가 일반적 순서적 자료에 비하여 뚜렷한 영 과잉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각 변수의 한계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같은 설명변수가 절대적 비음주자와 잠재적 음주자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따라서 한국인의 음주자료에 대하여 제안된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이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Excessive zeroes are often observed in ordinal categorical response variables. An ordinary ordered Probit model is not appropriate for zero-inflated data especially when there are many different sources of generating 0 observations. In this paper, we apply a two-stage zero-inflated ordered Probit (ZIOP) model which incorporate the zero-flated nature of data, propose a Bayesian analysis of a ZIOP model, and apply the method to alcohol consumption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Korea. In the first stage of a ZIOP model, a Probit model is introduced to divide the non-drinkers into genuine non-drinkers who do not participate in drinking due to personal beliefs or permanent health problems and potential drinkers who did not drink at the time of the survey but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drinkers. In the second stage, an ordered probit model is applied to drinkers that consists of zero-consumption potential drinkers and positive consumption drink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bout 30% of non-drinkers are genuine non-drinkers and hence the Korean alcohol consumption data has the feature of zero-inflated data. A study on the marginal effect of each explanatory variable shows that certain explanatory variables have effects on the genuine non-drinkers and potential drinkers in opposite directions, which may not be detected by an ordered Probit model.

      • 비상장기업 주식평가를 위한 결합모형의 검정

        김병수(Byung-Su KIM),오현탁(Hyun-Tak OH)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1 아태경상저널 Vol.3 No.2

        상속세법상 비상장주식의 보충적평가법은 실제주가와 괴리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된 유사기업비교평가법은 지나친 제약조건 등으로 실제 평가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장지배력모형을 일부 수정한 모형을 제시하고, 기존의 비상장주식 평가모형과 대안모형의 주가예측력을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실증을 위해 비상장주식 주가정보를 구할 수 있는 프리보드 및 장외시장에서 유통되는 기업을 표본으로 한 2009년 12월말 주가를 구할 수 있는 198개 기업 중 분석조건을 충족시키는 129기업(프리보드:27개 기업, 38커뮤니케이션:102개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한 각 모형간 주가추정력의 차이분석을 요약하면, 첫째, 이익결합모형에서만 비상장주식 평가액과 실제주가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사매출모형, 결합매출모형, 보충적 평가모형, 유사기업 비교평가모형, 이익결합모형 순으로 절대오차율이 적어, 비상장주식 평가액이 실제주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모형에서 기업규모에 따른 절대오차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보충적 평가모형, 유사기업 비교평가모형, 이익결합모형에서만 결손여부에 따른 절대오차율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을 추론하면 유사매출 모형과 결합매출모형이 다른 모형들에 비해 우수한 주가예측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상대가치접근법을 사용한 기업가치평가모형에서 매출액지표가 순이익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측정변수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시장가치접근법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모형이 모형의 논리적 근거뿐만 아니라 현행 세법상 보충적평가법 및 유사기업비교평가법에 비해 현저한 오차율의 감소를 보여 줌으로써, 기존의 세법상 비상장주식가치 평가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Evaluation of unlisted company stock has a gap with the actual price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s. and the newly introduced evaluation method to resolve it has not hardly being used due to excessive constraints. we present the modified market power mode and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stock prices to existing valuation models. the result is as follows: At first, the difference of actual price and evaluation price of unlisted stock only in Combined PER model. Secondly, Similar PSR model, Combined PSR model, Complementary evaluation model, Similar companies evaluation model, Combined PER model in order of absolute error was less, the evaluation price of unlisted stock is close to the actual price.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absolute error rate by the company size in all models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difference in the absolute error rate by the deficit is significant in complementary evaluation model, Similar companies evaluation model2, Combined PER model. The result indicates that Similar PSR model and Combined PSR model have an excellent predictive power of the stock prices compare to other models. It interpreted that the sales indicator is relatively high measured variable compared to net income in the relative value of corporate valuation model using the relative value approach method.

      • 기업의 지배구조와 기업가치: 자산매각 수익금의 활용

        이상래(Sang-lae Lee),오현탁(Hyun-Tak Oh),유창환(Chang-Hwan Yu)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연구는 기업의 사업부분매각을 통하여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산매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수익금의 활용과 지배구조점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산매각 수익금은 경영자의 자유재량을 증가시켜 대리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업지배구조가 잘 갖추어 있다면 대리인문제를 완화시켜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를 보면, 자산매각의 공시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각자금의 사용에 따른 공시효과에 있어서 부채상환 목적이 재투자 목적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공시효과와의 회귀분석 결과 이사회 및 감사기구의 지배구조점수가 높은 경우 시장 반응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내부지배구조의 영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공시효과는 높게 나타나 부채규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투자자는 내부유보에 따른 경영자의 자유재량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지배구조가 좋은 경우 대리인 문제를 감소시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좋은 지배구조가 기업가치를 상승시킨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clarify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firm performance through analysing the manager`s decision to withhold or pay the proceeds of the sale of asse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announcement of asset sales is plus to a stockholder`s wealth. Furthermore,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and motivations of asset sales. it show that CAR is more higher when the proceeds are paid out to debt holders than reinvestment. Second, we can find that firm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systems te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s than others. It suggest that corporate governance systems would mitigate agency problems by controling manager’s discretion. In conclusion, even though firm retained the proceeds, the firm value with good governance index will be arise by reducing the agency cost.

      • KCI등재

        자산매각의 가치창출 효과 : 매각기업과 매수기업의 비교분석

        이상래(Lee, Sang-Lae),오현탁(Oh, Hyeon-T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7년 말까지 일본의 상장제조기업 중에서 자산을 매각한 기업과 그것을 구입한 기 업을 대상으로 자산매각의 경제적 성과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건연구 방법에 의한 분 석결과, 자산매각 공시전후의 단기간에는 매각기업의 경우 양(+)의 초과 수익률을 얻었지만, 매수기업의 주주의 손익 에는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같은 자산을 매각한 기업과 매수한 기업만을 분석한 결과 매각기업과 매수기업의 초과 수익률은 유의한 양(+)이며 합동 초과수익률 또한 유의한 양(+)으로 나타났으므로 자산매각은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거래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기업성과와 재무적 특성과의 횡단면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매각기업의 공시효과와 ROA, 부채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고 있고, 매수기업의 공시효과는 부채, 외국인 주주비율과 유의적인 양(+)을 보였지만 기업규모와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그 외의 토빈의 q와 임원주주비율, 은행주주비율은 중요한 요인이 되지 못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asset sales contributed to increase of the shareholder value of the seller and the buyer in Japan. The period of analysis is 2000-2007. As a result of event study, Although the stockholder of the seller earn positive abnormal returns at the announcement of a asset sales, most stockholders of the buyer were break even. However, the buyer which purchase related asset get positive abnormal returns. Furthermore, when using a matched seller-buyer, we find that asset sales are firm value enhancing for the seller and buyer. Furthermore, we verify whether the excess return depends on the financial condition, and the managerial performance. we find that seller gains are related to the seller's managerial performance, leverage ratio, and buyer gains are related to the leverage ratio, foreigner holdings ratio. we conclude that lender and outside monitoring lead to increase of firm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