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吳賢鐸 全北大學校 1989 論文集 Vol.31 No.-
The aims of this article is modeling of options of futrres pricing and analyzing the sensitivity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in the models. In this paper we derived Black's formula using an approach first suggested by Cox and Ross in 1975, and applied to Black and Scholes model. we explain he financial intuition behind the different equations. Then using sensitivity analysis are find the derivatives of the options pricing formula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in the formulas. This analysis helps to illustiate the intuition behind the theoretical result, the intuition behind the theoretical result, and the appeicability of the formulas in trading commodity options. A simulation analysis is used to generate tables and diagrams.
오현탁,O, Hyeon-Tak 한국재무관리학회 2006 財務管理論叢 Vol.12 No.1
M. C. Jensen과 W. H. Meckling이 쓴 'The Nature of Man' 논문의 핵심은 역시 REMM(Resourceful Evaluative Maximizing Model)이다. REMM이라는 용어는 새롭지만 개념은 200년 이상의 연구와 경제학과 사회과학과 철학적 토론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REMM에서의 핵심은 Resourceful이다. 어떤 이론이나 정책이건 어떤 가정과 한계가 있다는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재무관리의 모태인 경제학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모델은 고전 경제학시대부터 일관되어 왔던 추상적 의미의 이익(효용)극대화 모델이다. 재무관리는 그 목적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소비선호체계를(people's consumption preference) 극대화 하는 것이고, 한정된 자원(scare resources)을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배분하여 효용(utility)을 극대화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삼고 있다. 효용의 극대화를 위한 자원배분은 생산자원을 어떻게 배합하여 가치생산을 극대화하느냐 하는 생산에의 배분문제와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사람들의 욕구충족을 최대로 하는 소비에의 배분문제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적어도 재무관리에서는 후자는 다루지 않고 가치생산의 문제만 다룬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재무관리의 목표와 이에 따르는 재무관리이론(가정)의 전개는 가치창조와 소비에의 배분을 통한 효용의 극대화를 다루는 경제학의 이론을 답습함으로 일부 혼선을 불러올 수 있다. 위험에 대한 재무담당자(투자자)의 태도를 재무관리의 입장이 아니라 경제현상 전체에 해당되는 입장에서 다루므로 각 각의 교재마다. 투자자의 부 또는 수익에 대한 효용과, 위험과 수익에 대한 무차별곡선이 달리 표현되고 있다. 재무관리 책에서는 재무관리의 가정하에서 투자자의 수익에 대한 효용, 그리고 수익과 위험에 대한 무차별곡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오현탁,이재갑,김병용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1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Vol.32 No.1
경영진견제 측면만이 부각된 현 사외이사제도 중심의 은행경영지배구조는 주주가치의 극대화 및 경영효율성 제고와 투명성 확보차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이사회 및 경영진의 역할이 불명확하여 경영의 성과제고를 어렵게 하고 있으며, 둘째로 대부분 위원회 의결기능이 결여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셋째로 개별이사 및 이사회를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이나 절차가 거의 없어 이사의 교체방안이 없다. 마지막으로 대부분 은행의 경우 경영진의 성과평가 절차 및 기준이 없거나 명확하지 못하여 경영진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첫째로 은행은 은행장과 이사회의장 및 이사회와 위원회의 역할과 의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문서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사회 지원기능을 강화하고 경영진과 이사회간의 창구를 단일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로 각 위원회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여 위원회의 기능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이사회로의 보고체계를 확립시킬 필요가 있고, 셋째로 각 은행들의 이사회는 이사회 및 이사에 대한 성과평가를 매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사회의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각 은행들은 은행장과 임원의 경영성과가 충분히 보상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성과평가 절차를 구축하고 보상수준과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