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궁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소고

        최석규(Choi, Seok-gyu),옥광(Ok, Gwang) 한국무예학회 2010 무예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국궁의 변천과 교육적 요소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국궁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궁은 생존의 도구로부터 국가 간 다툼에 있어 원사전쟁무기로써의 유용성과 무과시취에 의한 입신양명의 도구적 수단이었으며, 편전은 조선의 비밀병기로써, 편전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민족을 동이라 칭했던 원인이었다. 둘째, 화약(火藥)을 추진체로 한 총포류의 등장에 따라 궁시의 효용성은 반감되었으나, 비축무기류의 점유율에서만은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였다. 셋째, 국궁의 전통적 가치는 국궁수련을 통한 민족사관 정립과 바른 행동과 실천을 통한 도덕성 회복을 강조한 국궁의 교육적 요소에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recognition of traditional value of gukgung,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through exploration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and educational elements of gukgung.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after empirical investigation. First, it is found that gukgung was a tool to be used for warfares as a long range weapon and to mobilize social classes through national examination in the past. Pyeonjeon was a secret weapon in the Choseon Dynasty and the Northern states including China were often threatened by the ancient Korean archery calling Korea Dong-ee. Second, although the usefulness of archery was reduced after the appearance of gunpowder in the Korean traditional army, the archery occupied superior position in the weapon for the emergency. Third, the traditional value of gukgung can be found from its educational elements which emphasizes on the restoration of morality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historical view, and moral behavior and practice training gukgung.

      • KCI등재

        국궁의 중세적 전통과 의미 : 각궁, 대초명적, 편전을 중심으로

        최석규 ( Seok Gyu Choi ),정희석 ( Hee Surk Jeong ),옥광 ( Gwang Ok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3

        본고는 고려 말 궁시의 특성을 중심으로 국궁의 중세적 전통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려장군 이성계의 궁시와 궁술경지는 고려 말 공민왕의 요동정벌과 고려왕조의 국권회복 그리고 조선창업의 단초가 되었다. 둘째, 고려 말의 국궁은 각종 전투에서 사전에 적의 예봉을 꺾을 수 있는 원사전쟁무기로서의 도구적 기능과 천양의 궁술을 근간으로 한 개인전술은 천군만마에 버금가는 절대적 조건이었다. 셋째, 각궁은 민어부레에서 추출한 접착제로 접합하여 탄력성이 향상된 합성궁이며, 대우전은 학의 큰 깃을 달아 안정적인 비행성을 향상시켰고, 북방의 고(□)를 사용하여 철갑 옷을 뚫는 관통력을 배가시켰으며. 편전은 통아 없이는 발시 할 수 없는 작은 화살이지만 1000보에 도달하는 강력한 파괴력을 지닌 비밀병기였다. 유엽전은 버들잎 모양의 화살촉과 남방의 죽(竹)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비행성과 첨예한 촉을 장착한 화살이며 현존하는 유엽전과 같고, 대초명적은 대우전과 동일한 화살로써 고(□), 학령(鶴翎), 대초(大哨)로 구성된 "우는 살" 명 적이었다. 고려 말에 있어 국궁의 중세적 전통과 의미는 호국무예로서의 상무정신 고양과 왕권의 회복 및 국조창업의 도구적 기능으로써 개인전술을 아우르는 전통적 가치였고, 천연소재의 개발을 통한 독창적 궁시제작기술의 진보를 통한 과학적이며 창의적인 민족정기의 발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eval tradition and means of Korean traditional archery, gukgung during the late Goryeo.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trieved. First, gukgung in the late Goyreo was the most important national martial art and it was utilized for recovery and constructing of the medieval state reflecting military spirit. Second, gukgung played also an important role as a long range weapon with a highly effective value especially under warfares. Third, horn bow(gakgung, 角弓) was a highly flexible and technological sporting equipment combined with various materials as well as adhesive obtained from sciaenoid(□□□). Daewoojeon was a stable archery which improved its flight with long crane`s feathers in its arrow and its penetration was doubled by using the northern hard yew tree. Pyeonjeon(sculpture arrows, 片箭) was a small but powerful arrow, yuyeopjeon`s arrowhead was a shape of the willow leave to improve its range. Daewoojeon and daechomyeongjeok(big-sounding arrows, 大哨鳴鏑`s arrow was made of northern besom bush and feather of crane and its end was equipped with a air barrel which sounded a big sound. Therefore, gakgung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recognized as the most advanced archery which was made with the advanced technology and the Dynasty used gukgung for various purposes concerning about national constructions and defences.

      • KCI등재

        국궁과녁의 변천과 정체성: 조선의 화첩과 사료를 중심으로

        최석규 ( Seok Gyu Choi ) 한국체육사학회 2014 체육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의 기록화첩 및 사료를 토대로 국궁과녁의 변천과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첫째, 조선시대 기록화첩 및 사료에 묘사 된 과녁은 이동용인 포와 고정용인 관혁으로 분류된다. 관혁은 변과 관으로 구분되었으며, 포는 변, 관, 곡, 리로 구성되었다. 둘째, 홍심은 일장기의 히노마루(日の丸)또는 공산당을 상징하거나, 근대스포츠의 조직화 과정에서 급조된 것이 아닌 조선시대 관, 포의 문양을 계승한 것이다. 포의 리 는 건곤감리 4괘 중 화(火) 즉, 불과 태양을 상징하며, 이를 포에 표기한 것은 습사 시 군사들의 불꽃같은 용기와 사기진작을 위한 상무정신 고양이 목적이었다. 셋째, 관, 포의 곡은 현재 과녁의 관과 동일한 형태이고, 홍심은 포의 정곡이며, ㅡ字 띠는 조선시대 관혁 상단에 표기했던 관 번호가 고착화 된 것이다. 현 국궁과녁 홍심의 관 번호는 대한궁도협회의 시설규정과 상이한 문화적 변형이다. 현 국궁과녁의 번호는 제주전최의 一, 二와 같이 관 상단에 표기해야 한다. 또한 리(離) ‘□’의 전승방안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 연구는 현 국궁과녁의 정체성 확보 및 전통적 가치 보존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and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archery``s target analyzing albums and historical records. First of all, the target can be classified as fixed target and portable target. The form of target is divided into Byeon and Gwan, and Byeon consists of Byeon, Gwan, Gok and Ri. Secondly, the current Hongsim is the pattern that succeed Gwan and Po of Joseon Dynasty, but is not symbolizing the of the Japanese, Hinomaru or communism. Po of Ri represents the fire. This has purpose of enhancing martialism which improves the morale and courage of military. The third, Gwan, Po of Gok has same formation with the current target of Gwan. Hongsim gives also the focus of Po and the top of the current target ㅡJa which became variation of Ri in the GeonGonGamRi or the permanent of number. Archery target numbers of Hongsim, which is currently used by Korea National Archery Association, are the transformed patterns. The current numbers of the target need to be drawn on the top of Gwan as Jejujeonchoe 一and 二. Further discussions will be necessary to discuss to preserve and succeed the tradition of ‘□``.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securing the identit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value of the national archery.

      • KCI등재

        예천 각궁제작계보의 전통성연구: 안동권씨검교공파대동세보를 중심으로

        최석규 ( Choi Seok-gyu )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각궁제작 계보 중에서 가장 많은 제작자를 배출한 경북 예천계보의 전통성을 도출, 정립함에 있다. 이를 위해 안동권씨 검교공파 대동세보와 현재까지 발표된 예천계보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에 대한 상호주관적 논의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의 종4품 절충장군을 역임한 권계황이 예천 활 제작의 시초라 한 것과 조선의 문신서열 중 상위에 해당하는 정3품 당상관인 통정대부를 지낸 권순익의 양반 가문에서 대대로 예천 활 제작을 이어오며 계보를 이루었다는 것은 조선이 철저한 계급사회였으며 반상의 구별이 엄연히 존재했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다소 과장된 것이다. 둘째, 1930년대 예천 활 제작이 재개되었다는 주장은 일제강점기 예천의 궁술대회 개최에 관한 신문기사를 통해 입증된다. 그러나 1959년에 작고한 권중원에 의해 1960년대 예천활 제작이 다시 시작되었다는 주장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으며, 오히려 1958년 예천으로 이주한 권영록에 의한 것임이 드러난다. 이는 1971년 문화재관리국이 예천을 대표하는 예천활 제작자로 권영록을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예천이 각궁제작의 본산이 된 것은 예천의 지리적 여건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는 각궁의 소재 대부분이 깊은 산중에서 자생하는 천연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천각궁제작의 계보형성은 조선의 신분제도가 사라지기 시작한 갑오경장 이후부터인 것으로 판단된다. 1930년대 신문기사와 1971년 권영록에 대한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 지정보고서의 내용은 이를 뒷받침 하는 단서인 것이다. This study purpose to establish the tradition of the Gyeongbuk Yecheon genealogy, which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producers in Korea. To this end, the data related to the Yecheon genealog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intersubjective discussions based on the empirical scientific inquiry method for previous studie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Kwon Gye-hwang, who served as jong4pum jeolchungjang-gun in the Joseon Dynasty, said that it was the beginning of Yecheon bow production, and that the family of Kwon Soon-ik, who served as jeong3pum tongjeongdaebu, produced Yecheon bow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form a genealogy, which is exaggerated in the class society of Joseon. Second, it can be proved through a newspaper article on the tradional archery competition held in Yech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Yecheon bow production resumed in the 1930s. However, it is not true that Yecheon bow production was revived by Kwon Joong-won in the 1960s. In 1971, munhwajaegwanligug designated Kwon Young-rok as the jung-yomuhyeongmunhwajae No.47th Gungsijang , in recognition of this fact. Third, the lineage of the producers of Gakgung in Yecheon, formed around Yecheon, was formed after Gab-ogyeongjang, when the Joseon status system disappeared. The designation of jung-yomuhyeongmunhwajae No. 47 Gungsijang for Kwon Young-rok among the various gakgung producers in Yecheon recognized the historicity of Yecheon bow making after Gab-ogyeongjang.

      • KCI등재

        중국진출 한국 제조기업의 조직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최석규 ( Choi Seok Gyu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중국 진출 한국 제조 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관계에서 위계적 조직문화와 변화지향적 조직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조직문화와 조직경쟁력과의 관계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위계적 조직문화는 조직경쟁력인 인적자원역량 수준과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의 경우 인적자원 역량수준과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조직문화와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에 따른 조직경쟁력에 관한 회귀분석해본 결과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의 중국진출 한국제조 기업은 인적자원역량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종사자 규모에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위계적 조직문화와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에 따른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가설검증결과 위계적 조직문화와 인적자원 경쟁력 수준 및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 경쟁력에 대한 가설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계점은 데이터(HCCP)가 7차년도(2017)년도에 조사되어 최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조직경쟁력을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학문적이고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 중국에 진출한 업종 전반에 대해 실질적인 현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 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설득력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ing China.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drew meaningful implications. First,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human resource competency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which ar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ase of companies with showed a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ing China with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human resource competency and showed a high influence on the Scale of employees.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and the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ir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ere was no effect o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human resource competitiveness level,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and the hypotheses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HCCP) was investigated in the 7th year (2017), an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recently entered China, meaningful results were derived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hat relatively convincing research will be made if a comparative analysis can be made through practical field surveys and analysis of the overall industries that have entered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풍속화에 드러난 국궁의 교육철학적 특질

        최석규(Seok Gyu Choi),최봉암(Bong Am Choi)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후기 풍속화에서 드러나는 국궁의 정체성 탐구를 통해, 전통문화유산으로서 국궁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내재한 교육철학적 특질을 탐구하고자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후기 풍속화의 이해를 통해 본 국궁의 교육철학적 특질은 인재등용과 신분상승의 도구였다. 습사는 원사전쟁무기로서의 효용성이 상존했던 시대상을 대별했기에 조선선비와 양반사대부들의 일상생활로서, 국방의 의무에 대처하기 위한 유비무환적인 필수덕목이었다. 정량궁 쏘기는 무과시취의 통과의례로서 신분상승을 위한 교육수단이었다. 또한 국궁은 경제의 발달에 편승한 신흥자본가들과 중인신분한량들의 유희적이며 일상적인 생활문화였다. 둘째, 예를 중시한 국궁의 유가적 규범과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유유자적하고자 했던 조선후기의 사회·문화적인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현재까지도 금기시 하고 있는 좌궁이 우궁에 비해 자주 묘사된 것은 조선시대가 유가적 전통사회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사실이다. 또한 사정조직은 계모임 형태의 조직체 즉, 사포계와 사계좌목을 구성하여 조선사회의 지도층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고, 비정비팔은 우리 활 사법의 근간으로서, ``멀리 쏘기``를 위한 기본자세였으며, 정량궁 쏘기는 무과시취의 필수과목이었고, 사법형태는 용약전진하며 발시 하는 특징이 있다. 각궁제조에 수우각을 사용한 것에서 당시 국제간 교역 또한 활발했었음이 유추된다. 습사는 유희적 속성과 전통문화적인 가치관 형성의 양면성을 함께 공유하였고, 대사례는 국가의식행사의 필수적인 요소였다. 셋째, 조선 후기 사회문화적 특성을 내포한 국궁의 교육철학적 가치는 유가적 행동지침인 정정당당함을 사풍의 주요 골격으로 삼는 활쏘기를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을 배양하고, 올바른 행동을 통해 예의를 바르게 함은 물론 주종의 질서와 규칙의 존중, 약속의 실행 등과 같은 도덕성을 함양하며, 관용과 자제력을 길러 사회적 지도층으로서의 적응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교육도구적요소를 함유하였던 것으로 드러난다. The study aims to figur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traits within the scope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ow, gukgung, a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sset, by examining the identity of Korean bow found in genre painting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and has gene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bow was a means of selecting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and ascending social status during the Joseon Dyansty, and as Seupsa was used as a weapon during a war, it was necessary for classical scholars and aristocrats to master it in their daily life with an aim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for national defense. Shooting Jeongryanggung was an educational means of ascending social status as a rite of passage in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Korean bow was a playful daily life culture for newly emerging capitalists and profligates from a lower class who jumped on the bandwagon of development of commercial economy. Second, it well demonstrates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hen people were not bound by Confucian norm and formality of Korean bow that valued decorum desiring to live free from worldly car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Juagung (left-handed shooting), a taboo even today, was described more frequently than Woogung (right-handed shooting) is noteworthy given that the Joseon Dynasty was a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A mutual-aid society was organized acting as the leadership clas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Sapogye (Scholar Fraternity) and Sagyejuamok, and Bijeongbipal was the fundamentals of Korean bow and a basic posture for the long shooting. Shooting Jeongryanggung w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state examination. The fact that buffalo horns were used in manufacturing Korean horn bows shows that international trade was facilitated at that time. Seupsa contains playful attributes and traditional value system at the same time, and Daesarye was an essential factor in the national ceremony. Third, th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value of Korean bow found i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s educational factors where a spirit of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was enhanced through archery that valued fairness, the Confucian code of conduct, decorum was improved through appropriate behavior, morality was further developed through respect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master and servant a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promises and adaptability that social leaders need to have was booste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olerance and the power of self-control.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국궁의 변천과 사회·문화적 기능

        최석규(Seok Gyu Choi),옥광(Gwang Ok),정희석(Hee Surk Jeo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0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ocial cultural functions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ery and the social cultural functions for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archery.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was utilized to defense the Japanese army as a long range weap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its social cultural function was to promote Korean ident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intend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and the necessity of its preservation as a traditional cultural legacy. Historic time span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o Gabo Reform in 1894 by analysis using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was the main weapon and it was successful at naval battl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the bow and arrow was the main weapon for Korean army, despite the advent of gunpowder weapons of the absolute superiority in weaponry, according to demonstrated the best performance as weapons of warfares; third, the Japanese invasion was an opportunity to mobilize social status in the Joseon society and the archery was often played by former high ranking officers and governors. In addition, the Korean traditional archery became play an important role to entertain the upper class and to educate virtue of humility and concessions for younger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se social cultural functions of the archery can be applied for youngers now and future so that the archery itself can be mechanized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globalism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society.

      •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에 내재한 국궁 과녁의 형태적 함의

        최석규 ( Seok Gyu Choi ) 제주대학교 해양스포츠센터 2014 해양스포츠연구 Vol.4 No.2

        The main pupose of the research i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current archery target by drawing morphological implications which is included in 貫 and 布 of Tamrasunryeokdo. Sir Karl Raimund popper gave intersubjective conclusion which is based on reasonable ciritism. First of all, the target which depicted on Tamrasunryeokdo by Heongsan Lee, is classified by fixed target and portable target. The form of target by 邊 and 貫, and 邊 consists of 邊, 貫, 告鳥 and ‘離’. Secondly, current 紅心 of 貫is in succession to patterns of 貫 and 布, neither symbolizing the 日章旗 of ‘하노마루(日丸)’ and communism nor improvising the process of coordination. ‘布’ of ‘離’ represents the sun which indicates the fire in the ‘乾坤坎離’ of 4卦. This has purpose of enhancing martialism which improves the morale and courage of military. The third, 貫, 布 of 告鳥 the has same formation with the current target of 貫. 紅心 gives also the focus of 布 and the top of the current target 壹字 which became variation of 이 in the ‘乾坤坎離’ or permanent by number. 貫 and 布 in the Tamrasunryeokdo is invaluable asset in the Jeju which kept the origin formation of archery target. It is also the symbol which represents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o continue our ancestor`s wisdo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