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간의 구강상피세포를 사용한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 관찰 실험의 개발

        오현선,이준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1 현장과학교육 Vol.5 No.2

        The preparation of nucleosome DNA ladder is a simple experiment that is carried out in many laboratories working on chromatin structure and gene expression control. In order to make it applicable at high school levels, we modified the conventional procedure to reduce the time and the complexity of its process. We showed that this rapid procedure was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nucleosome DNA ladder from epidermal cells of human oral cavity, which are the convenient sources of human cells to obtain. When high school students performed this experiment, more than 50 % of students succeeded to obtain clear nucleosome DNA ladders, and most of students showed great interests in this experiment. We suggest that it is an easy experiment applicable to biology courses in high school and is very helpful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organization of eukaryotic genome and scientific skills. Further development of inquiry activities, instructional models or teaching strategies should be requi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is experiment in the biology courses of high school.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및 실험 활동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간세포의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 관찰 실험을 개발하였다. 염색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 관찰 실험을 학교 현장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강상피세포를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DNA 추출 방법을 빠르고 쉽게 개선하였다. 이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 관찰 실험을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본 결과 50 % 이상의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를 제조하여 관찰할 수 있었으며, 95 % 이상의 학생들이 실험이 흥미로웠고 염색질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구강상피세포에서의 뉴클레오솜 DNA 사다리 관찰 실험이 향후 중등 교육현장에서 탐구 및 실험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PCK’ 교회교육 개혁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안

        오현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4 No.-

        Over the years, the Christian population has been reduced due to the aversion of Christians to the Christian church. They convert to other religions or are leaving the church. Church schools are also influenced both by the departure of parents and the phenomenon of decreasing Korean birthrate. The students who remain also do not seem to have an active interest in participating in Church education. Renewal of church schools is an indispensable goal in terms of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Church and having future hope for Christian education. The need for change within Church education has been raised not only from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from the spirit of Protestant Reformation called “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which means the church reformed is always being reformed. I have pointed to several problems with Church education that can undergo changes. Firstly, church education does not have integrity between the educational system and contents as ‘school.’ Church school is divided according to school age, but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do not fit into the school system. Secondly, church education depends excessively on Sunday school teachers rather than cooperation between the various participants of church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two aspects, dualistic thinking, church growing, and non-professionalism of church school are critical problems to be changed. These factors play a negative role in the current church school consistently. From these problems with the Church school, I have suggested a renewal of church education focusing on the utilizing of worship service as an important educational context and developing the 17 years' curriculum from infant child to adolescent in the church school. 본 연구는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PCK: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교단의 교회교육의 지속가능한 성장발달을 위한 하나의 제안을 하고자 진행된 것이다. 최근 수년간 기독교회에 대한 반감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인들이 타종교로 개종하거나 잠정적으로 교회를 나가는 등의 의도적 감소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교회학교의 경우 부모들의 교회이탈에 영향을 받기도하고 더불어 인구감소 현상까지 일어난 결과 교회학교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수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학교의 감소 현상은 성인들이 교회를 떠나는 것과 다른 성격을가진 것이라 보이지만 신앙이 삶과 생활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성인이나 학생들에게나 같은 상황이다. 떠나가고 있는학생들 외에 교회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도 교회학교에 의미와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려는 의지는 소극적인 것을 볼 때 교회교육의 변화는한국 교회의 위기극복을 위한 측면에서도, 교회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측면에서도 필연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현재 교회교육의 문제를 학교라는 형식은 가지고 있지만 교육내용으로는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교육적 한계의 부분, 교육이 지나치게 교사에게 의존적이라는 부분, 교회학교 주체들의 관점이 이원론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분, 교회교육의 성장주의 사고, 그리고 교회교육이 다른 부분에 비해 비전문적으로 답보상태에 놓여 있는 점 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이에 대한 대안적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는 글이다. 첫째로는 교회교육에있어서 예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배를 교육적인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식에 대하여, 둘째로는 교회교육 17년 기간을 반영한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 KCI등재

        モダリティを表す「ものだ」の意味機能

        玄仙令(현선령)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문을 분류해 보면, 각 용법은「ものだ」의 선행문에 의해 분류되며 각 용법의 분류기준이「ものだ」의 의미기능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각 용법에 공통적으로「ものだ」가 사용됨으로써 나타나는 의미기능을 해명하기 위해서「わがこと性·ひとごと性」이라는 이론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문말에「ものだ」가 사용됨으로써,「ものだ」의 선행문 성질이「非わがこと性」으로 변용하여 화자의 발언(명제)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멀어져가는 의미효과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ものだ」의 성질은 각각의 ㅇㅇ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효과를 발생시킨다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일반적인 의견(<本性·本質> <當爲>用法) 2)개인의 의견이 아니라 사실에 가깝다.(<解說>用法) 3)자신과는 떨어져있는 곳인 과거의 일이다.<回想>用法) 4)자신만의 평가가 아니다.(<感慨>用法) 5)자신만의 바램이 아니다.「∼たいものだ」문의 경우) 이를 달리 말하면, 자신의 의견·사실·평가·바램임에도 불구하고,「ものだ」가 사용됨으로써 객관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거나 강한 표현, 또는 무책임한 표현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名詞的機能の「もの」+「だ」文とモダリティを表す「ものだ」文との関係

        玄仙令(현선령)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3

        「PはQものだ」의 구조를 가진「ものだ」文은 명사적 기능을 하는「もの」와「だ」가 결합한 문장인지,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문장인지에 대해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명사적 기능을 하는「もの」+「だ」文과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文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고, 또한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했다. 그 방법으로써, 우선 형식적으로 두 개의 文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선행하고 있는 명사와「もの」와의 관계가 어떤지를 테스트 하였다. 그 결과, 명사인「もの」와「だ」가 결합한 문장으로밖에 볼 수 없는 문장의 주제 P는 「수식되고 있는 명사(화자가 말하고 있는, 하나 밖에 없는 것으로 한정된 명사)」이고, 이때의「もの」는 그 명사와 일치한다. (【수식된 명사=Qもの】)한편,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文의 경우,「ものだ」의「もの」는 선행하는 명사와 일치하지 않는다. (【주제인 명사≒Qもの】)「もの」는 선행하는 명사의 상위개념으로 보인다. 이처럼 명사「もの」+「だ」文과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文과는 선행하는 명사가 후속하는「もの」와 일치하는가의 여부, 즉, 선행하는 명사와 후속하는「もの」와의 교체가 가능한가의 테스트로 간단히 구별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별됨에도 불구하고 모달리티를 나타내는「ものだ」文이 정의문인「PはQものだ」의 형식을 취하는 이유는 화자의 명제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기 위함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젊은 COVID-19 뇌경색 환자: 혈관염 소견 및 뇌혈관 협착의 변화

        오현선,김기정,장준영 대한신경과학회 2023 대한신경과학회지 Vol.41 No.4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infection increased risk of stroke.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nd COVID-19 stroke patients. There are unusual patterns of stroke occurred in COVID-19 patient are reported. Pathophysiologic theories about the relationship of COVID-19 infection and stroke are being published.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stroke in a young COVID-19 patient,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vasculitis, and vessel changes that might have been caused by vasospasm based on serial brain imaging follow-up data. And we interpret this case based on pat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