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수온도차발전의 국내 적용을 위한 OTEC 바아지 및 라이저 개념설계

        오태원(Taewon Oh),김현주(Hyeonju Kim),서종범(Jongbeom Seo),문정현(Junghyun Mo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해수온도차발전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온도차가 충분한 해역을 대상으로 하여야 하며, 하계에는 태풍이 내습하는 극한 환경에 견뎌야 하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해양관측, 인공용승 등의 다양한 기능이 가능한 스파부이식 라이저를 적지에 부유 설치해 두고 OTEC 바아지가 안전한 운전조건의 기상조건 시 접근 및 연결하여 운영하는 착탈식 해수온도차발전 시스템의 개발 개념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1MW OTEC을 탑재하기 위한 OTEC 바아지의 플랜트 배치 설계 및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고, 운전 조건 시 스파부이식 라이저가 연결된 OTEC 바아지의 안전성과, 황천시 스파부이식 라이저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운영 개념을 정리하였다. In order to apply Ocean Termal Energy Conversion to the domestic sea, it must be installed in an area with a sufficient temperature difference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to withstand the extreme environment conditions like typhoons in summer. Therefore, the concept that the spar buoy riser with ocean observation and artificial upwelling function is moored in the sea permanently and the detachable OTEC barge is connected to the spar buoy in oper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set up. The plant arrangement design and stability of the barge equipped with 1MW OTEC were reviewed and the safety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 of OTEC barge connected to the spar buoy riser and the safety under the storm condition of the spar buoy riser were evaluated.

      • KCI등재

        새정부 정보화법체계 변화 동향과 과제

        오태원(Oh Tai Won) 한국정보법학회 2011 정보법학 Vol.12 No.2

        In 2008, it was one of the big news that new government tried to change the legal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Unfortunately, the change was not originated from the argument that had raised by scholars and officials, but from the influence of political situation and reason. Ironically, the change included some issues which had raised to be resolved and reformed. The procedure of reform, however, was not wholly proper. Specially, decreasing the simple number of law might make a new problem that some acts could not be together because the object and substance of the acts were not similar. An amendment which is prepared in haste cannot operate properly.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was not supported by the exact analysis of the circumstance and system, either. It is true that government have not made enough effort to appropriate architecture of regulation for the layers of network. Although the change of legal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y be encouraged by non-legal reason, such as political reason, As Atiyah discussed, the change must include the arguments which have been already raised. Therefore, scholars and officials should study and discuss the issues of information and communcation laws and should be concern about the movement of legal framework for information society and network. 2008년을 뜨겁게 만든 정보화 및 정보통신 법체계의 개편 움직임은 그동안 학계와 실무계에서 꾸준히 제기한 문제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다분히 정치적인 영향으로 강하게 추진되었다. 그 과정 속에서 발표된 여러 개정안들은 아이러니하게도 기존에 꾸준히 제기되어온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측면이 있다. 과거 다소 지나친 면이 있었던 개별 입법과 그로 인한 다수의 개별 법률이 통합되는 것이나, 방송과 통신의 융합 및 통신사업에 대한 재편 움직임, 정보통신망에 대한 규제의 문제 등 이러저러한 이유로 미루어져오던 일들이 추진되고 있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올해의 법체계 개편과정이 완전히 옳은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법률 숫자의 인위적 감소의 압박은 정보통신기반보호법과 전자서명법의 통합과 같이 내용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통합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법률 개정의 성급한 추진은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체, 형식적인 개정안만을 양산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정보화촉진기본법의 개정안도 마찬가지로 국가사회정보화의 총괄적인 추진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 담보해주지 못한 체, 허겁지겁 만들어진 개정안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영향력을 가지고 작동하게 될 것인지 다소 의문스럽다. 방송·통신의 융합에 있어서도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환경과 구조에 대하여 명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서 이루어진 융합이라기 보다는 정치적 논리로 이루어진 통합이기 때문에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네트워크를 어떻게 분석하여 해당하는 레이어에 적절한 규제의 구조를 형성하는 노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군다나 현실적인 몇가지 문제로 인하여 매우 규제적인 방향으로 편향되어 가고 있다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일 것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정보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하다. 본고에서 현실의 정보화법체계 개편 움직임과 논리적 문제점 분석 및 검토를 병렬시킨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현재의 정보화법체계 개편과정이 법현실주의적 비판에 매우 잘 들어맞는 상황인 것은 사실이지만, 법현실주의가 비판법학운동과 법경제학으로 계승된 것처럼, 정보화 및 정보통신법체계의 변화 내용은 나름의 이론적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정보사회의 발전 방향 및 법이론적 분석과 방향을 함께하고 있다.

      • KCI등재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에서 본 현대예술의 상호작용성

        오태원(OH, Tae W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최근 현대예술은 예술과 공학의 기술이 만나 이루어 낸 첨단 미디어와 기술에 의한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작품들에 적지 않은 호기심과 함께 주목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예술에서 인터미디어아트의 장르에 속하는 작품사례들을 중심으로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의 관점에서 상호작용적 예술에 대해 고찰해 본 연구이다. ‘관계미학’의 관점에 대한 정의는 니꼴라 부리오 (Nicolas Bourriaud) 의 저서 ‘관계미학’, 「Esthetique relationnelle, 1998」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현대예술의 사용 매체들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인터미디어아트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점은 상호작용과 소통일 것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관람자 (사용자)와 작품과의 양방향 소통이다. 이를 연결시켜 주는 도구와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한 관계적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예술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관계적 예술’이라 칭할 수 있다. 관계적 예술에 대해 부리오의 이론을 바탕으로 기술하였으며, 그러한 예로 부리오가 ‘관계미학’에서 손꼽는 ‘관계미학’의 패러다임을 제시한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상호작용성의 예로 ‘관계미학’의 소통을 주제로 한 작품사례들을 2011년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미술관 분관)에서 소개되었던 작가들의 작품과 최근 미디어예술 작품사례 등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와 작품, 관객의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요구하는 인터미디어아트는 관계적 예술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관계미학’의 특징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인터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 또한 ‘관계미학’의 정의로 포괄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향후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의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Contemporary art has recently seen a surge of works that combine high-tech media and technology, where art meets engineering. Such works of art have drawn quite a lot of curiosity and interest from the public. This study is the study of interactive art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esthetics’ (esthétique relationnelle) by Nicola Bourriaud, focusing on works of art belonging to genre of inter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e definition of relational aesthetic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at given by Nicolas Bourriaud in his book 「Esthetique relationnelle, 1998」.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ll be very important in intermedia art in the changing medium of use of contemporary art. The common thread is the interaction that occurs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user). Tools that connect the two parties, too, take on a very important relational status. From this perspective, one of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can be referred to as ‘relational art’. I have described the relational arts based on Bourriaud’s theory. I have looked at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who have presented the paradigm of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by Bourriaud. For example, In 2011, the works of the artists that were introduced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Deoksugung Art Museum) and recent media art works.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ter media art, which requires interaction between artists, works and audiences, can be seen as a category of relational ar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have concluded that the interactivity of intermedia art can be included by the defini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As a follow-up study,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s of art will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esthetics’.

      • KCI등재
      • KCI등재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태원(Taewon 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In contemporary society, visual design surpasses mere aesthetic expression, establishing itself as a crucial field for message delivery and communication through a variety of media.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are increasingly recognized for acquiring a range of professional skills, including creativity and technical expertise. During this process,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emerge as significant factors.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how the self-esteem of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impa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In this study, 251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by compo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s findings reveal that the sub-components of self-esteem, namely the social, familial, and academic selves, predominantly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substantial effect of self-esteem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students in visual design majors. This study anticipates stimulating more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this field. 현대 사회에서 시각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표현물을 초월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소통하는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은 창의력과 기술력 등 다양한 전문기술의 획득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는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25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는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아, 가정적 자아, 학교 자아는 전공만족도에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위치정보의 보호와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결정 연구

        오태원(Oh, Tai-Won) 한국의사결정학회 2015 의사결정학연구 Vol.23 No.2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은 2005년 제정 당시 위치정보의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선도적으로 제정된 법률이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한 기술 및 사회환경은 기존의 위치정보법을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지 못하는 법률의 사례로 손꼽히게 만들었다. 위치정보와 개인위치정보의 개념문제, 이와 더불어 개념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항상 논란이 되고 있는 사물위치정보의 문제는 단순히 사물위치정보의 무단 수집 또는 이용에 대한 규제조항의 삭제만을 생각할 것이라 아니라 사물위치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념규정하여 산업진흥의 방편으로 삼는 방법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위치정보사업자와 위치기반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관리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정보사업자에 대한 허가제와 위치기반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신고제는 분명히 변화의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지 허가제와 신고제를 신고제 등으로 단일화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허가제와 신고제를 취했던 본래의 취지, 즉 위치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자는 입법취지를 고려하여 현실에 맞는 사후적 관리체계와 결합된 규제체계를 만드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Location Privacy Protection Act was one of the most progressive act in Korea when people did not use location information generally. However, technological and social environment which was rapidly changed with smart devices make Location Privacy Protection Act to be the case which the act did not correspond against social change. The concept of lo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ing which was not formally regulated in the act, are the first issue of the arguments. deleting the prohibi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ing is not a good answer. We need to consider promotion of industry by formalizing the concept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ing and some method of enhancement. It is necessary that license system of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report system of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r should be changed. However, it is not a good answer that merging of license system and report system without any consideration. we need to consider the purpose of license system of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report system of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r. The meaning of two systems is protection of location privacy. It is better that we make regulation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administrative authentication about privacy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