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년자인 상속인의 한정승인에 관한 절차법적 검토

        오진숙 한국가족법학회 2022 가족법연구 Vol.36 No.2

        In many cases, minor heirs are damaged by obligations with the inherited estate.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an amendment to the Civil Code to protect minor heirs. The amendment can relieve some of the heirs, but it cannot protect minor heirs who become aware of their inheritance obligations when they are minors. In addition, legislation on the procedure for liquidation of Inherited Estate is necessary. If minor heirs passed the period for acceptance and renunciation, qualified acceptance should be regarded. And the provisions for bankruptcy of inherited property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should also be revised. The amendment to the Family Litigation Act should be amended that minors have non-litigation capacity in cases related to qualified acceptance. In the procedure of accepting the qualified acceptance report of minor heirs, the judge can appoint a procedure assistant to support minor heirs. In judicial procedures that affect the minor himself, the minor's own partici- pation must be guaranteed. A court may grant a litigation aid to participate in family litigation procedures that have an important impact on one’s life.

      • KCI등재

        일본 임상법학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오진숙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0

        In Japan, 74 law schools opened around the country between 2004 and 2005. 39 law schools operated legal clinics, but only 33 law schools currently recruited new students, and most law schools can not fill the student quota. In the law school, the proportion of the two-year course increased, and it became possible to take the bar exam while attending law school. In spite of these problems, Waseda Law School has been operating an affiliated law firm for clinical law education for more than 20 years, and professors and lawyers have collaborated to practice legal clinic classes. The characteristic of clinical legal education in Japanese law schools is to operate law firms that practice cases with students. Although the number of the law firms in Japan is decreasing, Korean law schools can refer to operation of Waseda lawschool legal clinic and Sibuya Civic law firm(public law office) of Tokyo Bar Association. In addition, Korean law schools will be able to publish journals and hold symposiums for networks of clinical law education officials like the Japan Clinical Legal Education Association. And each law school can engage law school students in legal aid and public interest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Bar Associations. Although Law schools in Korea and Japan have common challenges such as low bar pass rate, the law schools need to continue expanding their clinical legal education programs. 일본은 2004년 법과대학원 제도를 도입하여 74개 학교가 출범했고 39개 학교에서 실제 사건을 다루는 리걸클리닉을 운영하였지만 현재 신입생을 모집하는 곳은 33개에 불과하여 법과대학원 제도 자체가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법과대학원에서는 법학부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2년 코스의 비중이 높아지고 법과대학원 재학 중 사법시험의 응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와세다 대학 법과대학원은 20여년 동안 임상법학교육을 위한 부설 법무법인을 운영하고 있고 연구자 교원과 법무법인의 변호사가 협업하여 리걸클리닉 수업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임상법학교육에서 대표적으로 참고할 만한 것은 실제 사건을 수임하는 대학 부설 법률사무소를 운영한다는 것이다. 법과대학원 제도 자체의 축소로 인하여 부설 법률사무소 운영도 축소되고 있지만, 와세다 대학의 사례와 도쿄변호사회의 공설 법률사무소의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 아울러 임상법학교육을 위한 연구와 교육 방법 교류를 위해 학술지를 발간하고 국내외 네트워크 활동으로 연례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는 임상법학교육학회의 활동과, 법률구조 활동을 중심으로 변호사회와 협력하는 것은 우리 법학전문대학원에서도 실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법시험(변호사시험) 합격률이 당면 과제가 되고 있지만 현장 실무 경험을 통한 법학 교육과 사회공헌의 기회를 제공하는 임상법학교육을 위한 노력은 지속해야할 것이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조인 양성 제도 속에서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는 일본의 임상법학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교류를 지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리걸클리닉 교육 현황과 개선안으로서 공익법률사무소 운영

        오진숙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90

        All law schools nationwide have legal clinic centers, and most of them offer legal clinic classes. Clinical leg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it is not well operated and only meets the evaluation standards. There is a gap in Clinical legal education among law schools.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 lawyers as clinical professor or instructor at legal clinic centers. It is necessary to hire lawyers and have a system that can carry out lawsuits. As a measure to improve Clinical legal education,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Public Interest Law Center at law schools, and specific operational plans are presented focusing on the projects being conduct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Public Interest & Legal Clinic Center. Public Interest Law Center at law schools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s a legal aid organization. and the center will be in charge of Clinical legal education at the law school. Public Interest Law Center can establish the Legal Aid Clinic and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Clinics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activities of the clinical professors or instructors.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public interest activities outside of class, pro bono and public interes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can be operated, and community public interest lawyer can work at the Public Interest Law Center. 전국의 모든 법학전문대학원에 리걸클리닉센터가 설치되어 있고 대부분이 리걸클리닉 수업을 개설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하여 리걸클리닉 교육은 실질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정량적 평가기준을 형식적으로 맞추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학교들 사이에 교육내용과 수업의 격차도 발생하고 있다. 리걸클리닉을 전담하는 인력이 부족하고 실제 사건을 수행할 수 있는 변호사가 없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이므로 전담 변호사를 채용하고 실제 사건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리걸클리닉 교육의 목적은 공적 마인드를 갖춘 법조인의 양성에도 있는 것이므로 공익사건의 수행과 프로보노 활동, 공익진로 개발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리걸클리닉 교육 현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학전문대학원에 공익법률사무소를 설립하는 것을 제안하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공익법률센터의 사업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리걸클리닉 공익법률사무소는 지역의 법률구조 기관으로 법률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으며 법학전문대학원에서는 리걸클리닉 교육을 전담하는 조직이 될 것이다. 임상법학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지역사회 법률구조 클리닉을 통해 학생들과 실제 사건을 수행하고, 소속 변호사의 공익활동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익인권 클리닉을 개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업 이외에 학생들의 공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프로보노와 공익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공익법률사무소 자체가 재학생 실무수습과 변호사 실무연수 기관이자 지역의 공익변호사가 활동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리걸클리닉 교육이 실질적으로 운영된다면 법학전문대학원은 지역에서 사회적 역할을 다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따뜻한 시선을 가진 법조인이 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오진숙,강은주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dance attitud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of dance class participation in girl’s middle school.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73 students who took part in dance class once a week in the school, were selected from two girl’ middle school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school grade, dance career, dance preference, dance satisfaction) and dance class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Second, aesthetic emotional experience of dance attitude influenced on self-confidence, leadership. Social experience influenced on self-confidence, competition, hostility. Third, aesthetic emotional experience of dance attitude influenced on obedience to school rule,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school event, friendship. Social experience influenced on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with school rule. Fourth, self-confidence of peer relationship influenced on learning ability, obedience to school rule,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school event, friendship. Competition influenced on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ly influenced on obedience to school rule. Leadership influenced on obedience to school rule,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school event and negatively influenced on learning ability. Hostility influenced on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ly influenced on obedience to school rule, relationship with school event, friendship.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dance attitude,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e dance attitude influenced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peer relationship. 이 연구는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충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개교를 선정하여 주1회 무용수업에 참여한 373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및 무용수업 참여(학년, 참여기간, 수업선호도, 수업만족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관계의 관계에서 미적감성 경험은 자신감, 지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경험은 자신감, 경쟁성, 적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미적감성 경험은 규칙준수관계, 교사관계, 학교행사관계,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경험은 학습관계, 규칙준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중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신감은 학습관계, 규칙준수관계, 교사관계, 학교행사관계,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쟁성은 학습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규칙준수관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도성은 학습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규칙준수관계, 교사관계, 학교행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적대성은 학습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규칙준수관계, 학교행사관계, 교우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무용태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또래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가정법원에서 장애인의 사법접근권 보장

        오진숙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1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guaranteed as legally binding rights. Since family cases generally involve issues between spouses, parents, and children and family courts handle a wide variety of cases involving domestic matters,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Family courts.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provisions that States Parties shall ensure effective access to just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an equal basis with others.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rts must provide legitimate convenience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use substantially equal services in all legal proceeding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family courts,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legitimate conveniences for the disabled was not practically operated and had many things to improve, such as the inability to provide basic convenience.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family cour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rocedure Assistant System for the disabled in the family court procedure and to operate Exclusive Investigation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 Statement Assistant with expertise in disability. The amendment bill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needs to include The Procedure Assistant System and Exclusive Investigation System of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legislation and other improvements, family courts and other courts need to check the current system to guarantee access to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actually operate, and regular surveys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o guaranteed The Right of Access to Justi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장애인의 접근권은 법적 구제 수단이 있는 법적 권리이고,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법접근권이 전제되어야 한다. 가정법원이 담당하는 사건은 가족 및 신분 관계에 관한 사건으로 사회적인 취약계층이라도 누구나 예외 없이 겪을 수 있는 사법절차이고, 성년후견제도의 도입 이후 가정법원에서의 사법절차는 특히 장애인이 이용할 여지가 많아졌기 때문에 가사사건에서 장애인의 사법접근권 보장이 필수적이다. 각급 법원에서는 장애인의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해 도입한 제도들은 실질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었고 다른 법원과 달리 후견적 역할까지 담당하는 가정법원 역시 장애인을 위한 여러 가지 편의제공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개선해야 할 점이 많았다. 장애인의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우리나라의 법제와 물리적 편의시설은 형식적으로는 마련되어 있으나 그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장애인에게 활용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가정법원에서 장애인의 사법접근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법이 추진되고 있는 미성년 자녀를 위한 절차보조인 제도는 장애인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장애인이 해당 사건 절차에서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맞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재판부에 연계할 수 있도록 장애에 관한 전문성을 갖춘 전담 가사조사관을 운영하고, 장애인의 진술청취 의무가 부여된 사건 등에서 진술조력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장애인 사법접근권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하여 제안한 제도의 입법적인 도입은 물론, 가정법원을 비롯한 각급 법원의 현장에서 장애인 사법접근권 보장을 위한 제도들이 실질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고 이에 대한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