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FTA 체결에 따른 국내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활용방안 연구 -국내 저가항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오인균 ( In Kyun Oh ),이단비 ( Dan Bee Lee ),오인균 ( In Kyun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3

        오늘날 영국, 미국 등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70% 이상을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그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인하여 서비스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대표적인 서비스산업 중 하나인 항공 산업 또한 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니치마켓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저가항공사가 탄생하였다. 초기에 설립된 국내 저가항공사는 가격을 위하여 일부 서비스를 포기한 결과 국내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였다. 하지만 그 이후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한 결과 2011년에는 저가항공사의 국내선 분담 비율이 40%를 넘는 성공을 거두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의 저가항공사의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준비 중인 기획자와 디자이너들에게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 저가 항공사 5곳을 대상으로 문헌연구방법과 사례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국내 저가항공사의 서비스디자인 사례는 4가지로 분류가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한 3가지의 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해 내었다. Today, GDP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so on in the services industry accounted for more than 70%. The propor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as the result of FTA with EU and America, the service sector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domestic. In these changes, the airline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leading service industries is also changing. Consequently, low-cost airlines have emerged as a new airline business model which focuses on niche markets. The early part of the domestic LCC had eliminated some services for the prices and it result consumers to turn away. Since then, however, new services had developed and domestic flights passed 40 percent in its share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to planner and designer for service upgrade through analysis of service design case in domestic low cost airlines.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ary and example survey about five discount aviation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design for service instances of inexpensive freight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d three kind of design planning for service improvement.

      • KCI등재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방안 연구 - 전공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활용 문제점과 교육 요구를 중심으로 -

        오인균(Oh, In-K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2

        본 연구는 최근 디자인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의 활용이 확대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인공지능 활용 문제점과 교육 요구도를 기반으로 활용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조사, 그룹인터뷰(FGI), 보리치(Borich) 교육요구도 설문조사 그리고 중요도 수행성 분석(IPA)을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교육요구가 제일 높은 것은 ‘디자인 구체화’ 역량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 다음 진행한 중요도 수행성 분석결과는 ‘디자인 구체화’와 ‘프로젝트 유지/관리’ 역량에 대해서 현재수준과 미래수준을 높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용 경험과 수준의 차이는 유료화, 영어 등의 이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산업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중에서 양산단계는 인공지능 활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관련 학습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이 확대되려면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과 3D 모델링 교육 강화 그리고 유료화 문제해결 등이 요구되며,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generative AI technology in the design fiel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and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sights for the expan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utilization in industrial design. To achieve this, the educational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AI in design were measured.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text research, FGI and on-line surveys. Borichs educational needs analysis method and IPA were applied for surve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derivation of a model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urriculum consisting through interviews. Based on this, a survey of students in the major was conducted,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demand identified as the Design visualization competency. Importance analysis indicated that design learner perceive their current and future levels to be high in the competencies of Design visualization and Project maintenance/management. These research paper findings were analyzed to b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limited proliferation of AI utilization and differences in personal usage experiences. Additionally, FGI revealed variations in experience and individual usage levels due to factors such as money and English. Experts suggested that due to challenges in AI in the industrial design development process, particularly in mass production processes, relevant learning is necessary for student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strengthening 3D modeling education, and solving payment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industrial design field in the future. And it is hoped that research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industrial design field will continue.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조기진단을 위한 체외 진단기기 제품디자인 개발연구

        오인균 ( In-kyun Oh ),이단비 ( Danbee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류마티스 관절염은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노년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소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체외진단기기를 활용해야 하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관련 제품을 전량 수입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 B제조사에서는 기존 특허를 융합하는 방식으로 관련 제품개발에 성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제품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산학연계를 통해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의 경우 문제정의, 스타일링 그리고 목업 제작 및 평가의 3단계를 적용하였다. 문제정의과정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스타일링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도출된 아이디어를 스케치와 3D 렌더링을 통해서 구체화 하였다. 목업 제작 및 평가는 목업제작 이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룹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아이디어 스케치와 2회의 3D 렌더링 진행을 통해서 최종디자인 시안을 도출하였고, 기구설계부서의 검토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자인 목업을 개발했다. 최종 전문가 평가결과 목표값 3.5를 넘는 4.01이 나왔다. 그리고 이들은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최초 류마티스 관절염 체외진단기기 제품디자인 개발을 진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디자인 개발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의료종사자들의 의견반영을 통한 실증적 디자인 개발 수행과 시제품 개념을 적용한 목업 제작으로 설계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사전에 예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Rheumatoid Arthritis(RA) is an unexplaine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the sickness can be alleviated through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VD must be used for rapid ascertainment of the RA, but all related products are imported in the country. The B manufacturer succeeded in developing a pain measuring instrument through the convergence of existing pat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product design through cooperation. Methods The study method applied three stages of problem definition, styling, and mock-up making and evaluation. In the first step, the researcher grasped the text background and requirements. The designer embodied it through idea sketch and 3D rendering in the second process. Finally, we had a FGI after a prototype production. Results The design researchers completed the final design draft and made the work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review data. The final specialist evaluation result was 4.01 above the goal(3.5). And they expected the designed medical product to be highly utilized in the future. Conclusion This conclusion of thesis by conducting th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for the first rheumatoid arthritis in the nation helped strengthen the design development capabilities of small company.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Development of empirical design through reflection of medical staff's opinions and prevention of mistakes in the engineering process from real model making in advance.

      • KCI등재

        스마트폰 CMF 디자인 개발에서 빅데이터(big data) 분석기술 활용방안 연구

        오인균(Oh, In Kyun),김영미(Kim, Young Mi),차성욱(Cha, Sung W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빅데이터는 방대한 데이터 속에 숨겨진 정보를 찾아내는 것을 말하며, 현재 경제 트렌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 중 하나이다. 경제 트렌드에서 빅데이터가 주요 키워드라면 디자인분야에서는 소비자 감성과 경험이 주요 키워드이며, 스마트폰 디자인에서는 이러한 소비자 감성과 경험을 CMF 디자인을 통해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F 디자인 개발에 이러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총 3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문헌연구 중심으로 빅데이터에 대한 이론적 정의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적용한 디자인분야의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을 하였다. 또한 관련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CMF 디자인개발 프로세스와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2단계에서는 객관적인 연구결과 도출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 CMF 디자이너들의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는 중간정도였으며, 업무 활용가능성은 높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CMF 디자이너들은 프로세스에서 빅데이터 활용가능성이 제일 높은 단계로 Design Research단계를 뽑았다. 3단계에서는 이러한 조사결과와 그룹인터뷰(FGI)를 바탕으로 CMF 디자인개발에서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작성하였다. 활용방안은 CMF 디자인개발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별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접목하였다. 이러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실무에서의 활용가능성을 높인 것이 장점이며,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좀 더 소비자들의 니즈를 담은 CMF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Big data will find the information that was hidden in a large data. Big data is a keyword that appears the most in the current economic trends. If the big data is a major keyword in economic trends, experience and sensibility of the consumer is an important keyword in the design. The design of the smart phone, it have to express and experience sensibility through the CMF(Color, Material, Finishing). Therefore, we aim to develop CMF design, we propose a big data utilization of these methods, and through a process of three stages in this study. In first step, as a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 the previous studies of big data applications and theoretical definition of big data and were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ers was to organize the process of developing smart phone CMF design. In second step, researchers perform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objective.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the big data of CMF designer is moderate results of the survey, it is thought very likely take advantage of the business. In addition, CMF designer chose the Design Research step at the stage most likely of the big data utilized in the design process. In final step,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 results, we created a big data utilization plan of the development of CMF desig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MF design, leverage proposal, a fusion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 which can be used at each step. We combine the ability to take advantage of each step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CMF Utilization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The advantage to this process is built around the Big Data Application of the enhanced availability of in practice. And we expected by this, increase the efficiency of business, and help in the development of CMF design that incorporates the needs of more consumers.

      • KCI등재

        산업디자인 전공 대학생과 기업 디자이너의 구직역량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오인균(In Kyun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2015년 전문기관의 조사 결과 현재 국내 취업률은 외환위기 때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구인-구직 미스매치 유발요인 분석 및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이 보고서는 실업률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동시에 중소기업에서는 인력난을 겪고 있는 현상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연구결과 구인기업과 구직자 사이에 상당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미스매치 요인이 디자인분야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탐색하기위한 목적으로 실시 되었고, 대학생과 기업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구직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의 경우 객관적인 연구결과 도출을 위하여 문헌조사방법(Text Research)과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및 양적연구방법(Quantitative Research)을 적용했다.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FGI를 통해서 13개 디자인 취업 역량요소를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양적 연구방법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채용과정 중 1차 서류전형에 필요한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업 디자이너들은 반대로 2차와 3차 채용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2가지 이유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는 채용 과정별 운영부서가 다른 구조적 문제가 있었으며, 두 번째는 학생들이 취업 이후 진행되는 디자인 개발 업무진행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도가 부족한 것 때문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nnounced that employment rate is lower than the financial crisis in the current.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published. Lately, the report, the Job mismatch induced factor analysis, is released. The purpose of report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experiencing shortage in high-unemployment sit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ompanies and job seeker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smatch factor occurring in the design field. The subjects of paper is college students and corporate designers. The researcher applies the text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in this literature. The researchers selected 13 design elements work capacity by applying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 online-survey based on 13 elements. This paper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ents are the primary documents that look typical and professional designers consider seriously the second and third courses in the recruitment process. This result is analyzed to be due to two factors.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recruitment process varies by operating departments. The second reason is that students lack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design work in progress after employment. And Researchers propose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 씽킹 방법론 융합 정수기 제품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오인균(Oh, In Kyun),이단비(Lee, Dan B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2

        최근 국내 정수기 시장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수돗물 파동 등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 최대 가전 기업이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더욱 큰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B2B에서 B2C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려 하는 P 중소기업과의 산학협력에서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P사를 위한 정수기 제품디자인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 진행을 위하여 연구자는 제품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중 하나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융합하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사 요구조건(VOC)을 기본으로 시장조사와 사용자 관찰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둘째, 시장조사와 사용자 관찰, 인터뷰 결과는 AEIOU 프레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브레인 스토밍 결과 제품 상단에 무언가를 거치하는 것과 2개의 취수구가 문제점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하여 제품 PUI(Physical User Interface)를 상단에 배치하고 형태적으로는 Clean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등의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였다.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컨셉을 시각화시키고, 3D 렌더링으로 디자인 시안을 구체화 시켰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시안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시안에 대한 실장검토를 거쳐서 최종 3D 렌더링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향후 관련 제품을 디자인하고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 및 DB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Recently, a water purifier in the domestic market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 and the surge in tap water. Experts predict that the water treatment equipment market will grow further as the largest electronics company enters the marke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began with cooperation with small enterprises seeking to shift their business models from B2B to B2C. Therefore, this product design study aims to develop a water clean machine product design for P company. To the design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water filtration design through the four stages of the double diamond model by combin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VOC, market research and user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worked. Second, market research, user observation, and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AEIOU(Activities, Environment, Interaction, Object, Users) frame. The brainstorming results showed that putting something on top of the water product and two intake outlets were selected as user problems. Third, based on this, the designer has set up a concept such as placing the product PUI at the top and focusing on the Clean keyword in form for problem solving. The concept was visualized through an idea sketch and materialized in 3D rendering. The final draft was selec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the final 3D rendering was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reviewing the installation of the selected draft. Finally, I hope that these findings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and DB to researchers who design and study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 KCI등재

        나오토 후카사와(深澤直人) 디자인에서 나타난 UX 디자인 표현특성 및 소비자 반응 연구

        오인균(In Kyun Oh),이단비(Dan Bee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은 현재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UX 디자인의 중요성은 생산과 판매 중심의 산업구조가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지프 파인(Joseph Pine)과 제임스 길모어(James H. Gilmore)는 앞으로의 시장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가격이나 품질을 파는 것이 아니라, 경험(Experience)을 팔 수 있는 환경을 판매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렇듯 UX 디자인이 중요해지면서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이루어져있고 제품의 형태, 컬러, 소재 등을 중심으로 하는 UX디자인 연구는 부족하기 때문에 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는 UX 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나오토 후카사와 디자인에 나타난 UX 디자인 표현특성분석과 소비자 반응조사를 실시하였다. 나오토후카사와는 감성과 경험을 표현한 제품디자이너로 유명하며, 많은 선행연구에서 그의 디자인을 다루었다. 표현특성분석 결과 나오토 후카사와 디자인은 세 개의 UX 키워드 그룹(감각의 간접적 전달, 배경지식 없이 제품의 상태 및 의미전달, 어포던스 표현)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비자 반응조사 결과는 심미성과 혁신성항목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상징성과 기능성 항목에서는 일부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인 나오토 후카사와 디자인을 통한 제품에서의 UX 디자인 향상을 위한 시사점 세 가지를 도출해내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UX 디자인 연구영역의 확대를 기대한다. UX(User Experience) Design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 in current design field. Importance of UX design is because of the change in to service industry of the center of experience from production industry of the center of manufacture and sales. For example, James H.Gilmore and Joseph Pine, rather than sell the quality and price of the product to the consumer market in the future, was expected to sell an environment in which you can buy the experience. So, study of UX design is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research on UX design is configured around a graphic interface. Study result of UX design, mainly the product shape, product color, product materials, etc. are missing. Therefore, we conducted a survey of shown in UX desig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consumer response from the works of Naoto Fukasawa design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expression characterization, (indirect transmission of sense, meaning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product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affordance represent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UX keyword. The result of the consumer response research, the item of innovation and aesthetics showing a positive response and the item of functionality and symbolism showed a positive response of some. Finally,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results like this, it began to derive the three implications for UX design improvements in product design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I hope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f UX design from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