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구비설화의 상상력과 지역적 특성

        오세정(Oh Se-jeong) 우리말글학회 2006 우리말 글 Vol.37 No.-

        Nowadays we can find the increasing awareness and interesting of stories(narratives), especially oral folktales occupied attention of the research of the locality. Oral literature has some remarkable traits in contrast with the written literature and other art form. The oral folktales have archetypal imaginations and that are made and transmitted in the local environment(material and moral culture, history, circumstance … etc.) thus to study oral folktale helps to discover the new way in concerned today's various cultural demands, exactly locality of the cultural tradition and imaginations of local resident. The tales of Lee Seongkye(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are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Korea. The noted types of the these tales are ‘Hero's struggle and triumph over adversity’, ‘the destiny to become the king(dream, prophecy, a good omen, etc)’, ‘God and other helper's assistance and support.’ These tales have common motifs which belong to the pattern of ‘Hero's life story’, however the emphasis of tales of Lee is not a display of the heros' own ability or power but a support or good fortune. That is most likely to the result of Lee's historical career; Lee has two persona, one is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other the traitor to the Goryeo Dynasty. Lee could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getting the validity to become the King of the new country. However these tales of Lee are not found in South Jeolla province. This province's antipathy against Lee and central government has been figured as ‘King Lee banished Jirisan from Gyeongsang-do to Jeolla-do’. In addition that case, there are Mudeungsan's objection to Lee's taking the throne, the existence other hero, Uturi. Futhermore really South Jella province had a tying experience, historic firsthand information and dread result in absence of the Lee's tale.

      • KCI등재

        지표성으로 본 한국 전설의 유형론

        오세정(Oh Se Jeong)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4

        전설은 증거물에 대한 이야기이거나, 어떤 사건을 증거물에 담아 전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전설 텍스트를 증거물, 즉 지시대상에 대한 지표로 볼 때, 지표성을 중심으로 지시대상에 작동하는 전설 기호의 성격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설에 대한 새로운 유형화가 가능하며, 이 유형화를 토대로 전설에 대한 논의를 다양화ㆍ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성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증거물의 존재와 관련된 전설에서 이전에 존재하지 않던 대상이 생겨난 이유가 드러나는 경우는 이 전설이 증거물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으로 ‘증명성’이라 칭할 수 있다. 그렇다면 논리적인 관계항으로 이전에 존재했던 대상이 사라지게 된 원인을 밝히고 있는 전설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로 대상이 사라지게 된 원인을 중심으로 이야기되며, 그 결과로서 증거물이 소멸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설의 경우 그 지표성을 ‘인과성’으로 칭하기로 한다. 증거물의 존재가 새롭게 생겨나거나 소멸하는 것과 달리 재탄생 내지 재의미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미 존재하던 대상에 이름을 붙이거나 어떤 특성이 부각되고 각인되어 다른 대상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게 되는 경우이다. 이때 전설의 지표성은 ‘유일성’이라 칭할 수 있다. 증거물의 존재에 관련된 이야기가 아닌 증거물 자체 혹은 그 증거물의 특정한 성격을 주요 내용으로 삼는 전설이 있다. 이때 전설은 증거물을 가리켜 그 대상의 존재나 대상의 주요 속성 중 특정한 가치관을 떠올리게 한다. 이때 전설의 지표성은 ‘환기성’이라 칭할 수 있다. 전설이 증거물이 지니는 특이한 속성, 예컨대 신이함이나 영험함, 비극성이나 희극성 등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있다. 이는 전형화되거나 널리 알려진 성격을 환기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대상의 특이한 자질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이 지표성은 ‘강조성’이라 칭할 수 있다. 이밖에 전설이 증거물과 관련된 행위나 인식 등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설의 지표성은 ‘지속성’이라 칭할 수 있다. A legend can be a story about evidence, or which conveys an event through evidence. Considering a legend as an index objects(evidence), legends can be understood as signs that work on obje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x.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new typology of Korean legends. Accordingly this typology will diversify the study of these legends. The idex characteristics of Korean legend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Attestation: A legend that reveals why an object was born that did not exist previously. This legend type attests to the very existence of the object. ▸Causality: A legend that reveals why a previously existing object disappeared. This legend type focuses on the cause of the object’s disappearance. ▸Singularity: A legend that reveals how an existing object receives a new name or meaning. This legend type illustrates the singularity of the object. ▸Reminiscence: A legend that reminds us of an obect’s presence or an object’s widely known value. This legend type has the function of evoking the object. ▸Emphasis: A legend that highlights an object’s mysterious or unusual character. This legend type mainly deals with special cases. ▸Continuity: A legend that reveals how actions or perceptions related to an object continue to this day. This legend type focuses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past.

      • KCI등재

        한국 신화의 여성 주인공에게 나타나는 반인반수의 성격

        오세정 ( Se Jeong Oh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1 No.-

        The examples of therianthropic character in Korean myths are Yuhwa(柳花) who is heroine of Goguryeo foundation myth, Aryeong(閼英) who is heroine of Silla foundation myth and Chilseong who is goddess of wealth and fertility in Jeju island. These characters are common properties of animals or therianthropic feature having a partly animal and partly human form. And their common point is transformation into other beings. Therefore, the study of therianthropic feature of the heroines in Korean myths should focus on the character`s transformation process. Heroines of myths should fulfill a particular task and then obtain the sacred ontological status. Their main tasks are to marriage with the sacred king and to give birth to the sacred being. Before being the sacred, namely the step of non-divinity, they should temporarily have a therianthropic shape or animal natu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rianthropic god in Korean mythology, because the therianthropic character is a transitional phenomenon. The heroines therianthropic shape or animal nature in Korea mythology is the mythical indication of non-huamanity and a step toward being the divinity. In Korean mythical tradition, human beings have been accepted the therianthropy as ambivalent character that is variable, transitional and marginal.

      • KCI등재

        무속신화 속 탐색 가치와 여성주체의 의미

        오세정 ( Se Jeong Oh )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6 No.-

        Unlike the founding myths, subjects and objects of narrative are intertwined as the double layered or mutually in shaman myths. Especially what is the final quest or goal of the story is difficult to judge. For example, the final quest of <Baridegi> is the revival of the King, or the Princess`s transformation? This case can be found in other shaman myths. The myths show the community`s important values and meanings, and confirm the collective ideology, ethical norms, and the way of behavior. Typically, the core value or idea of the story is expressed through the protagonist`s identity and capability. The heroines in the shaman myths are subject to meta-principles such as patriarchy. The identity and status of the female subjects are determined and severely restrict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home. The female subjects acquired the objects and have a ont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quest for family.

      • KCI등재

        퍼스 기호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 전설의 기호적 성격과 유형

        오세정 ( Oh Se-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본 논의는 퍼스의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전설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의 수립과 연구 방법론 모색을 시도하였다. 다른 문학텍스트와 구별되는 전설의 정체성은 지시 대상과의 실제적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기호학적 관점에서 보면 전설의 증거물은 대상이 되며, 전설은 지표기호로 간주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전설의 지표적 특성은 대상의 존재와 관련해서 증명성, 인과성, 유일성으로, 대상의 속성이나 의미와 관련해서 강조성, 환기성, 지속성으로 모두 여섯 가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전설의 지표성은 퍼스의 범주론에서 2차성에 해당하는 기호와 대상의 관계 유형에 따른 것인데, 보다 종합적으로 전설의 기호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1차성인 표상체(기호)의 유형과 3차성인 해석체의 유형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퍼스 기호 분류에 따라 지표적 성격을 가진 전설은 ‘잠재적 지표적 실재기호’, ‘사실적 지표적 실재기호’, ‘잠재적 지표적 법칙기호’, ‘사실적 지표적 법칙기호’의 네 가지로 유형화된다. 잠재적 지표적 실재기호로서 전설은 대상에 대한 존재 여부를 증명하는 기호라 할 수 있다. 사실적 지표적 실재기호로서 전설은 대상에 대한 경험적·실제적 의미를 지시하는 기호라 할 수 있다. 잠재적 지표적 법칙기호로서 전설은 대상에 대한 속성을 관념적으로 강조하고 고착시키는 기호라 할 수 있다. 사실적 지표적 법칙기호로서 전설은 대상에 대한 실제 영향을 지속시키거나 관습화하는 기호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대상에 대한 단순 유형화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형을 결정짓는 요소들과 그 관계에 대한 논의로 확장·심화시킬 수 있다. 비단 설화나 전설뿐 아니라,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기호 유형중심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퍼스의 기호학적 방법은 문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하고 새로운 시각과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based on Peirce's semiotics theory, I tried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and explore the research methodology on the study of Korean legends. Unlike other literary texts, the identity of a legend can be found in its actual relationship with its referent. Therefore, the evidence of the legend is the object, and the legend can be regarded as an index.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of Korean legends appear in six ways: attestation, causality, and singularity in relation to the existence of the object, and emphasis, reminiscence, and continuity in relation to the attribute or meaning of the object.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depends on th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 and the object that corresponds to the secondness of the Peirce's category.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semiotic feature of legend, the type of the sign of the secondness and the type of the interpretant of the thirdnes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According to the Peirce's sign classification, legend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hematic Indexical Sinsign’, ‘Dicent Indexical Sinsign’, ‘Rhematic Indexical Legisign’, and ‘Dicent Indexical Legisign’. As a Rhematic Indexical Sinsign, a legend can be said to be a sign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an object. As a Dicent Indexical Sinsign, a legend can be said to be a sign indicating the empirical and actual meaning of an object. As a Rhematic Indexical Legisign, a legend can be said to be a sign that conceptually emphasizes and fixes the attribute of an object. As a Dicent Indexical Legisign, a legend can be said to be a sign that persists or makes a customary effect on an object. This analysis does not stop with simple typification of the object, but can be deepened by discuss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type and their relationship. Studies focusing on the three types of signs can be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not only for folktales and legends, but also for general literary texts. Peirce's semiotic method can provide a variety of new perspectives and tools in literary research.

      • KCI등재

        유화와 자청비를 통해 본 한국 농경신의 성격 -남성 인물과의 대립체계를 중심으로-

        오세정 ( Se Jeong Oh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유화는 한국의 대표적 건국신화인 <주몽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주인공이며, 자청비는 제주도에서 행해지고 있는 큰 굿 중 농경신에 대한 제의에서 불리고 있는 <세경본풀이>의 주인공이다. 이처럼 다른 전승맥락을 가진 두 신화는 한반도 북쪽과 남쪽에서 생성·전승되며, 서사 내 행위 범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두 신화의 여성 주인공인 유화와 자청비는 농경 유래신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들은 다른 신화의 주인공들에 비해 여성으로서의 삶과 운명을 잘 보여주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특히 두 여성 인물은 남성과의 만남을 통해서 새로운 삶의 국면을 맞이하고, 남성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수립해 간다는 데에서도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두 여성 인물들은 농경신으로서의 정체성을 남성들과의 대립적 관계속에서 확립시켜 간다. 천상의 남성인물, 자신을 추방하는 친부, 감금 혹은 겁탈하려는 남성들, 이들과의 대립 체계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탐색하고, 기존 질서체계에서 벗어나며, 시련을 극복하고 자신을 성숙시킨다. 더욱이 두 여성 인물은 모두 애초의 정인과 재결합하지 못한 채 새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농경 원리를 형상화한다. 이것은 여성에 의해 혹은 여성성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문화와 세계에 대한 발견이기도 하다. 남성과의 결합이 아닌 자생력을 갖춘 대지의 생산력을 획득한 것이다. 최초의 곡식 씨앗은 유화와 같이 땅속에서 유폐되어 자신을 죽여가며 새로운생명을 가꾸는 것이다. 유화는 기존의 남성들로 대표되는 세계와 결별하고 자신의 아들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개창했다. 자청비 역시 문도령이아닌 정수남이를 선택함으로써 수렵문화 체제에 드디어 농경을 전파하며 농경을 위한 목축문화 체계를 새롭게 도입하고 있다. 한국의 두 농경신은 곡종의 전파라는 업무뿐 아니라 자신의 삶을 통해 삶과 죽음, 재생으로 반복되는 농경의 원리와 그 속에 담긴 생명과 결실의 의미를 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Yuhwa is a heroine in Korea`s representative foundation myth <Jumong-myth> and Jacheongbi is a heroine in shaman agricultural myth <Segyeong-bonpuri>. The <Jumong-myth> is written myth and transmitted in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gyeong-bonpuri> is oral myth and transmitted in the Je-ju island. In addition, each heroine showed the opposite behavior categories. But each female protagonist as the heroine of the myth has a common feature as agricultural origin. In addition, these women showed the women`s lives and fate better than the other characters in Korean mythology. Also the journey of two women`s life can be summarized as meeting and parting with men. Yuhwa and Jacheongbi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formed the opposition system with male characters; the first lover who is from the heaven, the father who expels daughter and the tough and strong guy who imprisons or tries to rape woman. In the system heroines quested new value and got out of old culture and world. Yuwha broke the old world and made a new world by helping her own son. Jacheongbi`s choosing Jeongsunami, not Mundoryoeng made possible to introduce the agricultural culture and system on the ground. Through the course of their life Yuhwa and Jacheongbi were setting up their own identity as the agricultural goddess. They acquired a rich production of the earth through the journey of own life.

      • KCI등재

        수로부인의 원형성과 재조명된 여성상- 『삼국유사』 <수로부인>과 극 <꽃이다>(2012)를 중심으로

        오세정 ( Oh Se Je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삼국유사』의 <수로부인>은 자용절대의 미인을 둘러싼 이야기이다. 『삼국유사』에서 예외적으로 표제에 여성을 내세운 이 이야기는 주인공 수로의 미적 자질이 갖는 신이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매력적인 인물을 다룬 환상적인 이야기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많은 해석을 양산하게 했고, 문화ㆍ예술계에서 다양한 텍스트 다시 쓰기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야기의 주인공 수로는 특이하게도 서사 내 행위주체로 기능하지 않고 파송자나 수령자, 대상으로 존재한다. 절대미의 가치를 스스로 획득하기보다는 타자에 의해 규정되고 있는 것이다. 많은 경우 신화나 설화에서 여성 인물들은 수로처럼 행위 주체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수동적 존재들이다. 이는 과거 여성들의 존재론적 지위와 관련되며, 주체로서 행위 기능을 수행했다 하더라도 기록되거나 서사화 되는 과정에서 그 행적이 은폐되고 남성적 시각에 의해 타자화 되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여성은 철저히 남성적 세계 속에서 그 의미와 가치가 제한되고 왜곡되기 마련이다. 국립극단에 의해 새로 쓰여진 수로부인 이야기 <꽃이다>는 원전의 핵심 사건들을 따르면서 수로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관계와 갈등을 새롭게 형상화했다. <꽃이다>는 자용절대의 수로를 둘러싼 은폐화ㆍ타자화의 메커니즘을 폭로하고, 주체로서 역할을 드러내고 새롭게 재생시키고 있다. <꽃이다>는 모본 <수로부인> 서사의 행위자와 가치를 둘러싼 모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고전문학 다시 쓰기의 의의는 원전 서사의 원형성과 함축적 의미에 관한 새로운 시각과 담론을 생산하는 것이다. The <Suro-buin> of Samgukusas is the fantastic story of the most beautiful woman that was a thousand years ago in Silla. This old short story has led the literary researchers to produce much discussion and the artists to rewrite new and other texts of <Suro-buin>. Suro who is the main character in this story does not function as subject but object or sender and receiver. The case of Suro as protagonist does not apply in general narrative grammar or actant model. She does not get a significant value by herself and her value is defined by others. That is a common feature of the female character who appears in the Korean old narrative. The first reason is women’s the social status in the past and the second is the concealment and distortion by male’s view in the male-dominated world. <This is a flower(꽃이다)> was performed by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in 2012. The script of this play is one in which it was rewritten to <Suro-buin>. <This is a flower> followed faithfully the main events and episode of the original text. The main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text is that a variety conflicts would occur around Suro. This work could expose the mechanism of concealment and distortion over the most beautiful woman and regenerate role as a subject of the narrative. This rewritten text raises critical question about narrative inconsistency of the original text and gives a answer to the question. The significance of rewriting of classical literature is to produce a new perspective and discourse about the archetypality and implications of the original tex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